검색결과 총 24건
-
-
-
-
-
-
웹툰 업계, 불법 사이트 '오케이툰' 운영자 엄벌 탄원…"제2의 누누티비 막아야"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네이버웹툰, 리디 등 국내 주요 웹툰 기업들이 불법 웹툰 사이트 ‘오케이툰’ 운영자에 대한 법적 최고 형량의 엄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오케이툰’ 운영자가 과거 불법 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누누티비’를 운영했던 동일 인물이라고 지목하며 솜방망이 처벌 시 제2, 제3의 불법 사이트가 속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12일 웹툰불법유통대응협의체(웹대협)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네이버웹툰, 리디, 레진엔터테인먼트, 키다리스튜디오, 탑툰, 투믹스 등 웹대협 소속 7개사는 ‘오케이툰’ 운영자 A씨의 엄벌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대전지방법원에 제출했다. 오는 20일 대전지방법원에서는 A씨의 저작권법 위반 혐의에 대한 1심 3차 공판이 진행될 예정이다. 웹대협은 ‘오케이툰’이 총 1만 개의 웹툰, 80만 회차에 달하는 방대한 불법 콘텐츠를 유통하며 웹툰 업계에 최대 494억원의 금전적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오케이툰’ 운영자가 이미 악명 높았던 불법 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누누티비’를 운영했던 인물과 동일하다고 지적하며 A씨의 범죄 이력이 더욱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피고인은 ‘누누티비’ 폐쇄 직후 ‘오케이툰’과 ‘티비위키’를 연이어 개설하는 등 저작권 침해 행위를 멈추지 않았다”며 “이는 창작자와 업계에 대한 최소한의 죄책감도 느끼지 못하고 법의 처벌을 가볍게 여기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어 “불법 콘텐츠가 광범위하게 유통됨으로써 발생하는 2차, 3차 피해는 금액으로 환산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이번 사건을 통해 불법 유통을 근절하고 K콘텐츠 산업의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웹대협은 탄원서를 통해 △장기간에 걸친 K콘텐츠 저작권 침해 △‘누누티비’ 폐쇄 후 즉각적인 불법 사이트 추가 개설 및 운영 △수익 추구를 위한 적극적인 불법 행위 △진정성 없는 반성문 제출 등 피고인의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현재 불법 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처벌 수위는 피해 규모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며 “만약 ‘오케이툰’ 운영자에게 솜방망이 처벌이 내려진다면 이는 불법 사이트 운영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앞서 300만건 이상의 불법 콘텐츠를 유통한 ‘아지툰’ 운영자 역시 징역 2년과 7000만원의 추징금만 선고받은 바 있다. 웹대협 관계자는 “만약 이번에도 ‘오케이툰’ 운영자가 낮은 수위의 처벌을 받는다면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처벌로는 불법 웹툰 시장을 근절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과 같다”며 “이번 재판을 통해 불법 콘텐츠 유통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저작권자들이 안심하고 창작 활동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웹대협 외에도 영화 및 방송 업계 역시 ‘오케이툰’ 운영자에 대한 엄벌 탄원에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03-12 13:44:37
-
-
-
-
네이버웹툰, 동남아 현지 창작자 육성 박차…글로벌 웹툰 시장 선도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1위 스토리테크 플랫폼 네이버웹툰이 동남아시아 지역의 현지 웹툰 창작자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글로벌 웹툰 시장에서의 선도적인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아시아 권역에서 한국어, 일본어뿐만 아니라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중국어(번체)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 웹툰의 해외 진출과 더불어 현지 웹툰 생태계 구축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글로벌 웹툰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지난 19일 태국 방콕에서 인기 한국 웹툰 <킬러 배드로>의 김정현 작가(글)와 임리나 작가(그림)를 초청하여 태국 웹툰 창작자 64명을 대상으로 창작자 교육 프로그램인 ‘트레이닝 캠프’를 진행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트레이닝 캠프는 약 5년 만에 재개되었으며 이번 행사는 재개 이후 세 번째로 개최되는 행사이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는 네이버웹툰이 현지 창작자 육성에 얼마나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2017년부터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트레이닝 캠프는 한국과는 달리 웹툰 창작 관련 전문 교육을 받기 어려운 해외 웹툰 창작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수준 높은 창작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트레이닝 캠프에서는 한국 프로 작가의 웹툰 제작 노하우 전수, 질의응답, 태국 현지 작품 원고 피드백 등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번 캠프를 통해 자신의 작품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태국의 나츠카이리 작가는 “한국 웹툰을 보며 독학으로 연출, 구성 등을 공부했는데 한국의 유명 작가님들로부터 원고에 대한 피드백을 직접 받을 수 있어 매우 영광”이라며 “네이버웹툰에서 태국의 정식 연재 작가는 물론 아마추어 창작자들까지 세심하게 신경 쓴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러한 현지 창작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은 네이버웹툰의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시사한다. 네이버웹툰은 2014년 7월 중국어 번체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태국어, 2015년 4월 인도네시아어 서비스를 차례로 선보인 이후 아마추어 작가 플랫폼인 ‘캔버스’와 현지 공모전을 통해 각 언어권의 우수한 작가와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왔다. 시장 진출 초기부터 웹툰 생태계 구축에 꾸준히 투자한 결과 네이버웹툰이 발굴한 현지 작품들은 영상화 사업으로까지 이어지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태국에서는 ‘캔버스’에서 발굴한 <브레이크업 서비스>, <아임 더 모스트 뷰티풀 카운트>가 올해 안으로 TV 드라마로 방영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파수트리 가제>, <세코텡스>, <10PM> 등 현지 작품들이 지난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되어 공개되었다. 또한 대만 오리지널 웹툰 <검은 상자>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역시 올해 공개를 앞두고 있다. 이러한 영상화 성공 사례들은 네이버웹툰의 현지화 전략이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웹툰 원작의 한국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동남아에서도 현지 웹툰 판권에 대한 문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현지의 문화와 감성을 반영한 수준 높은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압도적인 1위 웹툰 플랫폼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글로벌 웹툰 생태계 확장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2025-01-20 10:09:5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