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15˚C
흐림
부산 14˚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12˚C
맑음
광주 15˚C
구름
대전 17˚C
흐림
울산 12˚C
구름
강릉 11˚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도지코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비트코인, 미중 무역갈등 격화에 9만6천 달러대로 추락
[이코노믹데일리]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 격화 우려에 4일(현지시간) 다시 9만 6천 달러대로 내려앉았다.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매도세가 거세진 탓이다.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기준 이날 오후 4시 55분(서부 시간 오후 1시 55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4.81% 하락한 9만 6938달러(약 1억 487만 원)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2일 미국이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10만 달러 선이 붕괴, 9만 1000 달러대까지 밀려난 바 있다. 이후 전날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10만 달러 선을 회복하는 듯했으나 이날 중국에 대한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와 이에 맞선 중국의 보복 조치 예고로 미중 무역전쟁 우려가 다시 고조되면서 재차 하락세로 돌아섰다. 양국 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남아있지만 현재로서는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는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며 비트코인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중 무역 갈등의 향방이 비트코인 가격의 단기적인 방향성을 결정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뿐 아니라 다른 주요 가상화폐들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2.91% 하락한 2665달러에 거래되었고, 리플은 무려 9.48% 급락하며 2.44달러까지 떨어졌다. 솔라나와 도지코인 역시 각각 5.67%, 9.29% 하락한 204달러와 0.26달러를 기록하는 등 가상화폐 시장 전반이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한편 미중 무역전쟁이라는 대형 악재가 가상화폐 시장을 강타하면서 투자자들은 불안감 속에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025-02-05 08:22:28
트럼프 '관세 폭탄'에 비트코인 9만7000 달러대 추락...가상화폐 시장 '패닉'
[이코노믹데일리] 미국발 관세 전쟁의 포화가 가상화폐 시장을 강타했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10만 달러 아래로 급락하며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글로벌 무역 분쟁 격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가상화폐 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2일 오후 2시(미 동부시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0% 하락한 9만7759 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 역시 9.9% 급락하며 3000 달러 선을 내주고 2979달러를 기록했다. 리플(15.0%↓), 솔라나(12.1%↓), 도지코인(16.4%↓) 등 주요 가상화폐 역시 일제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전날 10만 달러 초반대를 간신히 유지하다가 오후 10시경부터 가파르게 하락하며 10만 달러 선을 내줬다. 이후에도 낙폭을 키우며 지난달 31일 오전 10만5000 달러대를 기록한 이후 사흘 연속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가상화폐 시장의 급락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2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한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의거, 이들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를 명시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오는 4일부터 캐나다산 물품에는 25%(석유와 천연가스는 10%), 멕시코의 모든 제품에는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중국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적용된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즉각 1억550 캐나다 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불을 놓았고 멕시코 역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로 대응에 나섰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미국의 불법 이민자 대량 추방 정책과 함께 재개된 무역 전쟁은 인플레이션을 가중하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비트코인 가격의 약세는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며 "시장에 위험자산 회피 신호를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투자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관세가 시작된다"며 "금, 은, 비트코인이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진짜 문제는 부채"라며 "이것(관세 전쟁)은 상황을 더 악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기요사키는 이러한 상황을 해당 자산들의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이번 사태는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가상화폐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추이에 대한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025-02-03 09:47:29
비트코인, 트럼프 취임 후 랠리 시동… 사상 최고가 경신 눈앞
[이코노믹데일리] 비트코인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다시 한번 상승 랠리를 시작하며 사상 최고가 경신을 목전에 두고 있다. 21일(현지시간)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미 동부 시간 오후 2시 27분 기준 10만 6924달러(1억 5359만원)에 거래되며 24시간 전 대비 3.48% 상승했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 기록한 사상 최고가인 10만 9000달러에 근접한 수치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직후 10만 1000달러 선 아래까지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으나 이날 10만 7000달러 선에 육박하며 빠르게 반등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첫날 행정명령에 가상화폐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 실망했던 투자 심리가 다소 회복된 결과로 풀이된다. 스탠다드앤드차타드의 디지털 자산 리서치 글로벌 헤드 제프리 켄드릭은 "가상자산 시장은 어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연설이나 첫날 행정명령에서 (가상화폐가) 언급되지 않은 것에 실망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가상자산에 대한 소식이 나오지 않으면 비트코인은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비트코인 가격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처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가상화폐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발표를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이다. 한편 주요 알트코인들도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0.14% 오른 3329달러, 리플은 1.13% 상승한 3.20달러에 거래됐다. 솔라나와 도지코인 역시 각각 3.71%, 7.22% 오르며 255달러와 0.38달러를 기록, 전반적인 가상화폐 시장의 상승 분위기를 이끌었다. 지난 17일 거래를 시작한 '트럼프 코인'은 11.55% 급등한 42.53달러를 기록하며 40달러 선을 회복했다. 트럼프 코인은 지난 19일 74달러까지 치솟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직전인 전날에는 31달러 대까지 50% 이상 급락하는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인 바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연관성이 부각되며 변동성이 극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멜라니아 여사가 출시한 '멜라니아 코인'은 24.88% 하락한 4.20달러를 기록하며 상반된 움직임을 보였다.
2025-01-22 10:49:12
비트코인, 4개월 만에 7만달러 돌파…미 대선 자금 유입 가속화
[이코노믹데일리]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4개월 만에 7만 달러를 다시 돌파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자금이 대거 유입되면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진 가운데 일론 머스크의 도지코인 발언까지 겹치면서 상승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미 동부시간 오후 6시 15분 기준으로 전일 대비 2.99% 상승해 7만12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번 상승으로 비트코인은 6월 7일 이후 처음으로 7만 달러를 다시 돌파했다. 비트코인은 24일에는 6만8천 달러 선까지 올랐다가 테더 홀딩스의 자금세탁 방지 규정 위반 조사가 보도되면서 일시적으로 6만5천 달러까지 하락했었다. 그러나 이후 빠르게 반등해 6만9천 달러 선을 회복한 뒤 다시 7만 달러를 넘어섰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가상화폐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가상화폐 자산운용사 코인셰어즈에 따르면 지난 한 주 동안 디지털 자산에 유입된 순자금은 9억1천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올해 누적 유입액을 270억 달러로 끌어올린 수치다. 이는 2021년의 약 3배로 당시 비트코인이 최고가를 기록했던 해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대선 결과에 상관없이 11월 말까지 비트코인이 8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선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서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옵션에 대한 베팅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비트코인은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에 대한 기대감에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공개적으로 트럼프를 지지하며 도지코인에 대한 언급을 이어가자 도지코인 가격 또한 급등세를 보였다. 같은 시간 도지코인은 14.07% 상승해 0.16달러에 거래되었다. 머스크는 트럼프 지지 발언과 함께 2021년부터 ‘도지 파더’로 불리며 도지코인의 주요 지지자로 활동하고 있다. 코인셰어즈 리서치 책임자 제임스 버터필은 “미국 정치 상황이 현재 비트코인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최근 자금 유입은 공화당의 여론조사 상승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비트코인의 이번 상승은 대선이 불러온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제 상황의 변동성이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상황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이 주목받고 있다는 평가다. 한편 투자자들은 정치적 변수와 규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가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단기적일 가능성도 있지만 시장의 유동성이 가상화폐 시장으로 지속 유입될 경우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24-10-29 07:59:5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7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