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맑음
서울 4˚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7˚C
안개
인천 6˚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맑음
울산 5˚C
맑음
강릉 7˚C
구름
제주 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마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보스가 떠났다"…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별세, 삼성의 침통한 이별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의 핵심 리더였던 한종희 부회장이 25일 갑작스럽게 별세하며 삼성 내부와 전자업계 전반에 충격을 안겼다. 37년간 ‘삼성맨’으로 헌신하며 TV 사업을 세계 1위로 견인해온 그의 빈소에는 회사 동료들과 업계 인사들의 추모 발길이 이어졌다. 26일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에는 김용관 삼성전자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조문을 위해 찾아 애도를 전했다. 김 사장은 “자꾸 말 시키지 마라, 눈물 난다”며 말을 잇지 못했고,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 신종균·윤부근 전 고문, 최치훈 전 사장 등도 잇따라 조문하며 고인을 추모했다. 삼성 경영진은 평소와 달리 침통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고인은 지난 19일 주주총회에서도 모습을 드러내 “주가 부진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삼성의 기술 경쟁력 회복을 다짐했다. 그러나 그 다짐은 그가 생전 남긴 마지막 공식 메시지가 됐다. 삼성전자는 사내 게시판을 통해 “TV 글로벌 1위, 세트사업부 선도 등 회사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전했다. 한 부회장은 1962년생으로 천안고와 인하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 삼성전자 영상사업부에 입사해 개발팀장, 사업부장을 거쳐 부회장까지 올랐다. 영상디스플레이뿐 아니라 DX부문장을 맡으며 스마트폰과 가전까지 이끄는 전방위 리더였다. 현재 중국 출장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직접 조문은 하지 못했지만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를 전했다. 한 부회장의 별세는 삼성전자에 당분간 경영 리더십 공백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발인은 27일이다.
2025-03-26 18:47:12
'문송은 이제 안녕'...한강 노벨문학상 수상에 전국이 들썩
[이코노믹데일리]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54)을 향한 축하 물결이 전국을 뒤덮고 있다. 10일 스웨덴 한림원이 한강의 수상 소식을 발표한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서점가는 물론 연예계까지 축하 열기로 가득 찼다.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포털 사이트들은 수상 소식이 전해진 지 불과 2시간 만에 10만명의 사용자가 몰려들어 축하의 목소리를 높였다. 네이버의 '2024 노벨문학상' 오픈톡방에는 11일 오전 9시 기준 32만명이 방문해 "진심으로 기쁘다", "휴일로 지정하자" 등의 반응을 쏟아냈다. 서점가도 한강 특수로 들썩였다. 교보문고와 예스24 등 대형 서점 사이트는 주문 폭주로 한때 마비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교보문고 관계자는 "사이트 접속 불편과 페이지 전환 지연 등의 민원이 접수됐다"고 전했다. 실시간 베스트셀러 순위는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등 한강의 작품들로 채워졌다. 연예계에서도 축하 인사가 이어졌다. 방탄소년단(BTS) 멤버 뷔는 자신의 SNS에 "군대에서 '소년이 온다'를 읽었다. 축하드린다"고 적었고 RM도 수상 소식을 공유하며 기쁨을 표현했다. 배우 류준열, 문가영, 김민하 등도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가수 HYNN(흰·박혜원)은 "한강 작가님의 '흰'에서 영감을 받아 예명을 지었다"며 "한국 작품으로 전 세계를 감동시켰다는 점에서 더욱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한림원은 한강의 작품에 대해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하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수상으로 한강은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게 됐다. 온라인상에서는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 금지", "이게 문학의 힘, 문과를 무시하지 마라" 등의 재치 있는 반응도 나왔다. 한강은 연세대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한편 한국인의 노벨상 수상은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평화상에 이어 두 번째다. 아시아에서는 인도, 일본, 중국에 이어 다섯 번째 문학상 수상국이 됐다.
2024-10-11 09:57:3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