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8 월요일
비
서울 23˚C
흐림
부산 24˚C
비
대구 19˚C
비
인천 24˚C
비
광주 23˚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4˚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미국 공장'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전자, 멕시코·미국 공장 생산량 확대 나선다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사진은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생산량 확대 계획을 전면 중단하고 멕시코와 미국 공장에서의 생산량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에서의 TV, 가전 생산량 확대 계획을 보류하고 멕시코로의 생산량 전환을 확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을 시행하면서 베트남에 46%, 인도네시아에 32%의 고율 관세를 부과해서다. LG전자는 여태까지 각국에 공장을 세우고 물류비와 지역별 상황을 고려해 생산량을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스윙 생산 체재를 운영해 왔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정책으로 동남아 지역의 생산 계획이 무너지게 된 것이다. 이에 LG전자는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관세가 면제되는 점을 활용해 멕시코, 미국에서의 생산을 늘리기로 했다. 앞서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가전공장 인근에 냉장고 및 오븐 생산라인 확충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LG전자는 최근 미국 클락스빌·몽고메리카운티 산업개발위원회(IDB)에 테네시 공장 옆 부지에 창고시설 건설을 위한 인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 해당 창고 건설은 1428억원 규모의 투자로 내년 3분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LG전자가 미국 생산을 늘리게 될 경우 인건비가 높아지나 이를 감수할 만큼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시장이 될 수 있어 생산량을 늘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LG전자의 지난해 미주 매출은 23조원 가량을 올린 바 있으며 한국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테네시 공장에 냉장고·오븐 등을 생산할 수 있도록 부지 정비 작업이나 가건물을 올리는 작업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며 "멕시코에 관세가 부과되면 지체 없이 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2025-04-16 11:09:48
현대차그룹, 지난 20년간 美 현지생산에도 국내 생산·수출↑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 현지 생산을 늘리겠다고 밝힌 가운데 국내 자동차 산업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현대차그룹의 첫 미국 공장 준공 후 오히려 국내 수출과 생산이 늘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첫 미국 공장인 앨라배마공장 준공 후 20년간 현대차·기아의 국내 수출과 생산이 모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앨라배마공장 준공 전인 2004년 현대차·기아의 미국 수출 대수는 73만8868대에서 지난해 101만3931대로 37.2% 늘었다. 미국 수출액도 같은 기간 91억8400만 달러(13조5050억원)에서 지난해 274억1500만 달러로 198.5% 증가했다. 국내 생산도 함께 많아졌다. 현대차·기아는 국내 생산 대수는 2004년 269만대에서 지난해 341만대로 26.5% 늘었다. 현지 생산에 따른 신속한 공급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가 현지 판매 증가로 이어지며 얻을 수 있는 결과라는 것이 현대차그룹의 설명이다.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국내 자동차 산업에 중요한 축으로 작동할 계획이다.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은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미국 생산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국내에서 내수 진작과 수출 등을 늘려 나갈 것"이라며 말했다.
2025-03-31 10:11:3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4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5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6
롯데건설 김해 현장서 또 사망사고…5년간 16명 숨졌다
7
삼성전자·LG전자, 로봇청소기 보안 이끌지만…국내 제도는 여전히 미비
8
[기자수첩] 생산적 금융과 밸류업 사이 딜레마…은행 자본은 어디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