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7건
-
-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12년 결실..."코스닥 상장기업까지 배출"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이 2013년부터 12년간 진행해온 '미래기술육성사업'의 성과를 대외에 처음 공개했다. 7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2025 애뉴얼 포럼'에는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장석훈 삼성사회공헌총괄 사장 등 학계·산업계 인사 400여명이 모였다. 삼성은 기술중시 경영철학을 기반으로 국내 첫 민간 주도 기초과학 연구 지원 사업을 출범시켰다. 1조5000억원 규모의 기금을 마련해 880개 연구 과제에 1조1419억원을 투입했다. 91개 기관에서 약 1만6000명의 연구 인력이 참여했으며 이 중 1만4000여명의 이공계 대학원생이 실험 장비와 재료비를 지원받았다. 김현수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장은 "기초과학 발전과 산업기술 혁신을 통해 세계적 과학기술인을 육성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 목표"라며 "올해 포럼을 외부에 처음 공개한 것은 그 성과를 널리 알리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업의 차별점은 연구비 지급에 그치지 않고 과제 선정, 성과 극대화, 기술 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엔드 투 엔드' 패키지를 운영한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단계별 전문가 멘토링, 산업계 기술교류, 창업 지원까지 받을 수 있다. 실제로 65개 과제가 기술창업으로 이어졌다. 서울대 윤태영 교수가 세운 '프로티나'가 대표 사례다. 2014년부터 5년간 지원을 받아 고속 항체 스크리닝 플랫폼 기술 개발에 성공한 프로티나는 지난 7월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다. 현재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서울대와 함께 AI 항체 신약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도 선정됐다. 오프닝 세션에서는 주요 성과 4건이 소개됐다. 전명원 경희대 교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와 표준 우주론 간 불일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로 순수과학 지원의 모범 사례로 꼽혔다. 김재경 KAIST 교수의 생체시계 연구는 갤럭시 워치8의 'AI 수면코치' 기능으로 상용화되는 성과를 냈다. 조용철 DGIST 교수는 신경 재생과 퇴행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마비 환자 치료법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서울대 김장우 교수는 데이터센터 과부하 해결 시스템 반도체 기술로 2022년 '망고부스트'를 창업해 글로벌 진출을 이어가고 있다. 새로 신설된 '미래과학기술 포럼'에서는 64개 주제 발표가 있었다. 기초과학 4개 분야(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와 공학 6개 분야(전자소재, 소자, 통신/컴퓨팅, 바이오/메디컬, 에너지/환경, AI/로보틱스)에서 50개 과제가 발표됐다. 학계·산업계 전문가들이 공동 선정한 10대 유망기술로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스마트 열관리 솔루션, 대체 에너지, AI 기반 배터리, 디지털 헬스케어, AI 기반 바이오 치료제, 바이오 컴퓨팅, 차세대 컴퓨팅 아키텍처, 휴머노이드 로봇, 포스트 휴먼 솔루션 등이 선정됐다. 강찬희 서울대 교수는 노화 전이 현상을 일으키는 세포 분비 물질 발굴 연구를, 신원재 고려대 교수는 위성의 기술적 한계를 장점으로 활용한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은 "국가 과학기술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해 연구자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은 "단기 성과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젊은 과학자들의 도전을 계속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11-07 17:55:27
-
-
-
-
-
-
-
-
-
-
한컴인스페이스, 9월 4일 'MARS 월드 포럼' 개최… 한-중 AI 기술 협력 비전 공유
[이코노믹데일리] 한컴그룹의 AI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한컴인스페이스가 오는 9월 4일 대전에서 ‘2025 MARS 월드 포럼’을 개최하며 미래 기술 융합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이 포럼은 모빌리티(M), 인공지능(A), 로보틱스(R), 우주(S) 분야의 기술이 서로 교차하며 만들어낼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망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전망이다. 올해 포럼은 ‘혁신의 교차점: 융합하는 MARS의 차세대 생태계’를 주제로 지난해의 두 배에 달하는 약 800석 규모로 열린다. 이는 MARS 기술 융합에 대한 산업계의 높아진 관심을 방증한다. 포럼에서는 자율주행 로봇, 심우주 탐사, 스마트 팩토리 등 각기 발전해 온 기술들이 만나 어떤 시너지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팡쿤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가 기조연설자로 나서 눈길을 끈다. 팡쿤 공사는 ‘AI 시대 중국과 중한협력의 고품질 발전’을 주제로 세계 AI 산업의 핵심 축으로 부상한 중국의 비전과 함께 한국과의 기술 협력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어서 단순한 기술 포럼을 넘어 양국 간 미래 산업 협력의 가능성을 가늠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후 세션에서는 항공안전기술원, 화웨이코리아, 한화시스템, 포스코DX, 카이스트 등 국내외 산·학·연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한다. AI·모빌리티와 우주·로보틱스 두 개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되는 강연을 통해 기술 융합의 최신 사례와 미래 전망을 공유하며 실질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한다. 또한 과학 유튜버 ‘안될과학’과 ‘1분과학’이 참여하는 특별세션을 마련해 전문가의 영역을 넘어 대중과 미래 기술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려는 시도도 돋보인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이번 포럼은 MARS 기술 융합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탐색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며 “미래 기술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해 산·학·연이 교류하고 협력하는 플랫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8-26 16:26:0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