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건
-
-
-
-
한화·LIG넥스원, UAE 방산전시회 참가… 중동 집중 공략
[이코노믹데일리] 한화, LIG넥스원 등 국내 대표 방산기업들이 중동·아프리카 최대 규모 방산전시회에 참가해 통합 방공망 시스템 등 앞선 기술을 선보이며 'K방산' 역량을 선보인다. 한화와 LIG넥스원은 오는 17~21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IDEX 2025’에 참가한다고 13일 밝혔다. 1993년 시작된 IDEX는 올해 65개국·1350개 업체가 참여하는 중동·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 방위산업 전시회다. 한화와 LIG넥스원은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시스템(L-SAM)을 해외 방산전시회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한화는 유도탄, 발사대, 발사관, 다목적 레이다를 생산하고, LIG넥스원은 이를 통합 운영할 통제소를 만든다. 한화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등 2개 계열사가 참여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통합전시관을 운영한다. 한화는 L-SAM과 함께 지대공 요격미사일, 안티드론 시스템 등 다양한 고도를 방어할 수 있는 통합 방공망을 선보여 글로벌 대공망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이 밖에도 한화에어로는 이번 전시회에서 국산 엔진을 탑재한 K9 자주포 실물을 전시한다. 한화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도를 자랑하는 0.25m급 소형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을 중동 시장에 처음 선보인다. SAR 위성은 야간 및 악천후에서도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해 주목받고 있다. LIG넥스원 역시 중거리·중고도 요격체계 '천궁Ⅱ', 장사정포요격체계 'LAMD' 등을 선보이며 중동 시장 확대에 나선다. 다양한 모듈형 장비를 탑재 가능한 무인수상정(USV), 유도무기, 미래 병사용 스마트 무장 등도 소개한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K방산의 지평을 넓히는 것은 물론 수출국가와의 신뢰를 더욱 돈독히 하는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2-14 09:25:45
-
김동관 한화 부회장, 美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
[이코노믹데일리]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과 캔들라이트 만찬, 스타라이트 무도회 등에 참석해 트럼프 정부 주요 각료를 비롯한 정·재계 인사들과 두루 소통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다졌다고 22일 밝혔다. 아울러 19일 저녁 국립건축박물관에서 개최된 캔들라이트 만찬에서는 신 행정부의 마크 루비오 미국 국무부장관,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장관 지명자, 마이크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등을 만나 환담했다. 트럼프 정부 출범 후 한미간 조선 및 방산 분야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김동관 부회장은 미국 새 정부의 주요 국방안보 책임자들과의 미팅을 통해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사업역량을 소개하고 미국 내 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 더그 버검 내무부장관 후보자를 만나 신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고, 다수의 공화당 상하원 의원 및 글로벌 방산기업 최고경영자(CEO) 등과 비즈니스 미팅을 소화하며 한화그룹은 물론 대한민국 민간 외교사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4박5일간 짧은 일정에도 불구하고 광폭행보를 펼쳤다. 한화그룹은 조선, 방산, 에너지 분야에서 미국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신사업 발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며 미국 군함 사업 확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으며, 국내 처음으로 미 해군 유지·보수·운영(MRO) 사업 2건을 수주하기도 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미 10개국에 수출된 K9 자주포를 중심으로 미 국방 조달 시장 공략을 꾀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국방부 핵심 관료 출신이자 방산 전문가인 마이클 쿨터를 해외사업 총괄 대표로 선임해 방산 시장 진출에 힘을 쏟고 있다. 한화큐셀은 올해 안에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북미 최대의 태양광 제조기지 '솔라허브'를 완공 후 본격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며, 미국 내 발전사업과 EPC 사업 또한 수행할 계획이다. 태양광 분야는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국의 중국 태양광 견제로 인해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다.
2025-01-22 17:48: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