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4건
-
태양광·배터리·드론까지···미래 '알짜 먹거리' 독식하는 중국
[이코노믹데일리]미래 '알짜 먹거리'로 불리는 태양광, 배터리, 드론 산업은 사실상 중국이 장악한 상태다. 중국이 과거 추격자의 자리에서 선도하는 자리까지 올라왔다는 시장 진단도 나온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중국학과 교수는 18일 "공산당 일당 체제인 중국은 각종 지원책과 보조금으로 미래 산업을 빠르게 육성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이 중국과 경쟁하려면 더 높은 차원의 기술 경쟁력으로 극복하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태양광의 경우 중국산 제품이 가격은 물론 성능까지 훌륭해 다른 나라 경쟁 업체들을 앞선 상태다. 지난 9월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발표한 '2023년 주요 상품·서비스 세계 점유율 조사'를 보면 중국은 지난해 세계 태양광 패널 시장에서 점유율 59.3%를 달성해 1위에 올랐다. 2018년 25.8%이던 점유율이 5년 만에 33.5%p 상승한 것이다. 배터리 역시 중국의 위상이 만만치 않다. 시장조사기관 QY리서치코리아는 지난 3월 '중국 배터리 기업 경쟁력 평가'를 통해 지난해 세계 전기차 배터리 제조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 합계 점유율이 62.0%라고 추정했다. 2위인 한국(26%)의 2.3배나 되는 규모다. 특히 중국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CATL 점유율은 36.8%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 합계 점유율(23.1%)보다 높았다. 중국 배터리 시장의 성장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중국자동차배터리혁신연합(CABIA)은 지난달 전기 자동차 부문에서 59.2기가와트시(GWh) 배터리가 중국에서 생산됐다고 전했다. 전월과 비교했을 때 8.6% 증가한 것이고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무려 51% 급증한 수치다. 독일의 IT전문 매체인 일렉트리브닷컴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두 개의 뛰어난 상위 업체가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여기서 두 상위 업체는 전 세계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의 CATL과 BYD(비야디)다. 지난달 미국의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이 발간한 '배터리 경쟁의 승자'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선 중국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량 생산 경쟁에서 승리했다고 단언했다. 승리 요인으로는 '광산-소재 가공-제조'로 이어지는 배터리 가치사슬 확보를 꼽았다. 배터리 소재를 캐내는 광산을 보유한 데다 이를 가공해 셀이나 팩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중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80% 이상 장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과 한국은 틈새 시장을 파고들며 자기 역할을 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은 경쟁력면에서 훨씬 뒤처져 있다는 뼈아픈 진단도 내놨다. 드론 시장도 중국산에 점령 당한 상태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해 세계 드론 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이 70% 이상일 거라 봤다. 특히 민간용 드론 시장은 중국 최대 드론 제조사인 DJI가 약 75%를 점유한 걸로 알려졌다. 중국이 전 세계 드론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하는 셈이다. 중국의 태양광, 배터리, 드론이 생산성과 기술력을 끌어올리게 된 배경엔 거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책이 있었다. 카네기재단도 중국 정부의 끈질긴 투자를 중국의 배터리 산업 성장 이유로 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내연기관차 시장에서 미국과 일본을 따라잡기 어려울 거라는 판단에 따라 2001년 전기자동차(EV)와 배터리를 전략적 우선순위 산업으로 선정했다. 이후 세금 감면, 저렴한 가격의 토지 공급 등의 방식으로 지원했다. 보고서는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배터리와 EV 부문에 총 2300억 달러(약 322조원)를 지원했다는 추정값도 제시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아프리카에 공을 들인 덕분에 중국의 배터리 관련 기업들은 10년간 아프리카에서 나오는 리튬의 90% 이상을 차지하게 됐다. 태양광이나 드론도 다르지 않았다. 중국은 2020년 가정용 태양광에 대해 킬로와트시(㎾h)당 0.08위안(16원)의 보조금을 줬는데, 같은 해 중국 내 가정용 태양광 설치 규모는 10.1기가와트(GW)에 달했다. 10GW는 원자로 10개 분량의 발전 규모다. 드론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책을 쏟고 있다. 가격과 기술 경쟁력을 앞세운 이들 기업은 자가 발전하고 있다. 로이터는 최근 CATL 창업자인 로빈 젱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CATL이 배터리를 넘어 전력망·EV 플랫폼으로 진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제는 중국 업체들이 시장을 독식하며 타국 산업까지 위협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최대 태양광 제조기업인 한화솔루션의 경우 지난해 충북 음성군의 음성공장 가동을 중단하며 국내 태양광 사업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드론의 경우 군사적 효용성이 높아 안보 우려까지 키우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선 수십만원짜리 드론이 수백억원짜리 군사 장비를 무력화시켜 세계적으로 충격을 줬는데, 이 전쟁에 사용된 드론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 제품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는 "군사용 드론을 국내 업체가 납품하기 위해선 해외 부품 비율이 일정 이상을 넘으면 안되는데, 국내 업체들 사이에선 해당 기준을 맞추는 게 어렵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우려했다.
2024-11-19 06:00:00
-
SNE리서치 "국내 배터리 3사 시장 점유율 전년 대비 3.4%p 하락"
[이코노믹데일리]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전 세계 시장 점유율 합계가 전년 대비 3.4%p 하락한 20.8%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6일 '2024년 1~9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자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기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HEV) 차량에 들어간 배터리 사용량은 599기가와트시(GWh)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485GWh보다 114GWh(23.4%) 더 높은 수치다. HEV는 전기차처럼 외부 전력으로 충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을 말한다. 국내 배터리 3사의 판매량도 소폭 성장했지만, 중국 전기차·배터리 업체의 가파른 상승세에 밀려 점유율은 하락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전년 대비 성장률을 살펴보면 SK온이 12.4%로 가장 높았고 삼성SDI가 5.4%, LG에너지솔루션이 4.3%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국 업체의 판매량은 CATL이 26.5%, 전기차 제조사인 BYD(비야디)가 28.0% 늘었다.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놓고 보면 CATL이 36.7%로 1위 자리를 지켰고 이어 BYD(16.4%), LG에너지솔루션(12.1%), CALB(4.9%), SK온(4.8%) 순으로 이어졌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이유는 유럽 전기차 시장의 역성장에 있다. 배터리 3사는 독일 폭스바겐이나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유럽 자동차 업계와 긴밀한 관계를 구축했는데, 유럽 전기차 시장이 전년 대비 1.4% 감소하며 판매량에 영향을 받은 걸로 보인다. 주목할 부분은 CALB의 성장세다. CALB는 중국 방위산업 업체와 지방정부가 연계해 지난 2015년 설립한 기업이다. 매년 고성장을 이어오면서 올 1~9월 판매량도 지난해 대비 27.0% 성장했다. 시장 점유율에서 SK온과 일본 파나소닉을 제친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유럽에선 미국과 같은 첨단세액공제(AMPC)가 없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국내 배터리 3사가 미국, 유럽에서 완성차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게 더욱 중요해진 시기"라고 평가했다.
2024-11-06 11:18:43
-
-
-
전 세계 배터리 사용량 성장세··· SNE리서치, 1~7월 성장률 전년보다 두 자릿수
[이코노믹데일리]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올 1~7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한국의 배터리 점유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세계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약 434.4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22.4% 성장했다고 4일 밝혔다.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2% 성장한 53.9GWh로 3위였고 SK온은 20.5GWh로 4.5% 성장하면서 4위를 차지했다. 삼성SDI의 성장률은 국내 배터리 3사 중 가장 높았다. 18.8GWh로 13.2% 성장률을 보이며 6위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Y, 폭스바겐 ID.4, 포드 머스탱 마하-E, GM 캐딜락 리릭 등 유럽과 북미에서 높은 인기를 보이는 주요 고객사 차량들이 견조한 판매량을 유지하며 배터리 사용량 성장세를 이끌었다. SK온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아이오닉5, EV6, EV9와 포드 F-150 라이트닝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성장세를 탔다. 삼성SDI는 BMW i4, i5, i7, iX와 아우디 Q8 이트론, 지프 랭글러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가 유럽에서 판매 호조세를 보였고 북미에선 리비안 R1T와 R1S가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다만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1%p 하락한 21.5%였다. 파나소닉은 일본 업체 중 유일하게 상위 10곳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배터리 사용량 18.8GWh를 기록해 7위에 올랐지만 전년 동기 대비 25.4% 역성장했다. 중국의 CATL과 BYD는 나란히 글로벌 1, 2위 자리를 지켰다. CATL은 전년 동기 대비 29.9%(163.3GWh), BYD는 23.4%(69.9GWh)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4-09-04 21:31:50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