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안개
서울 5˚C
맑음
부산 4˚C
맑음
대구 4˚C
안개
인천 5˚C
맑음
광주 5˚C
흐림
대전 8˚C
구름
울산 5˚C
흐림
강릉 7˚C
흐림
제주 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복합리조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고용부, 해빙기 건설현장 집중 점검 나선다
[이코노믹데일리] 봄철 해빙기를 앞두고 고용노동부가 건설현장의 붕괴 위험을 집중 점검한다. 고용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올해 제4차 현장점검의 날을 맞아 전국 건설현장의 해빙기 사고 예방 및 화재·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을 한다고 26일 밝혔다. 2월부터 4월까지의 해빙기에는 겨울철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지반이 약화돼, 굴착면과 흙막이 가시설 붕괴 사고 우려가 있다. 또 새로 착공되는 현장이 많아지면서 굴착기 등 건설기계에 의한 사망사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고용부는 건설현장의 해빙기 주요 위험요인에 대한 안전조치 여부를 집중 점검하고, 해빙기 주요 사고요인과 사고 사례, 교육자료 및 핵심안전수칙 등을 담은 '해빙기 건설현장 길잡이'를 배포·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 14일 근로자 6명이 사망한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 화재사고를 감안해 마감공사 건설현장과 화재·폭발 사고사망자 다수 업종 사업장을 방문해 화재예방을 위한 기본적인 안전조치 준수 여부를 확인한다. 최태호 고용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해빙기 핵심안전수칙을 준수해 위험요소를 사전에 철저히 점검·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화재·폭발은 대규모 사망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업장에서 경각심을 갖고 안전관리에 한치의 소호함도 없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2025-02-26 16:28:00
'6명 사망' 부산 반얀트리 공사장 화재
[이코노믹데일리]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현장에서 14일 불이 나 근로자 6명이 숨졌다. 시공사는 부산 건설사인 삼정기업이다.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51분께 부산 기장군의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건설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로 6명이 심정지 상태로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연기 흡입 등 경상은 7명이다. 화재 당시 건물 내부에는 10여명이 작업 중이었고 현장 주변에도 수 백명이 공사에 참여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해당 리조트가 5월 개관을 앞두고 B동 1층 마지막 인테리어 공사 중 단열재에서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경찰과 함께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으며 공사장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점검도 병행할 방침이다. 화재가 발생한 '부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은 부산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대지면적 4만1271.5㎡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2층, 3동 규모 리조트를 짓는 사업이다. 객실 모두 바다 전망에 독립 테라스와 프라이빗 풀을 가진 고급 리조트로 건설 중이며 앞서 2022년 6월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아너스 멤버 라운지를 먼저 개관해 운영 중이다. 시공사인 삼정기업은 1985년 설립된 부산 지역 대표 종합건설사로 주택, 건축, 토목, 리조트, 레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펼쳐왔다. 아파트 건설 분야에서는 자연친화적 브랜드 '삼정그린코아'로 알려져 있으며, 부산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주택 사업을 해왔다. 고급 리조트 사업으로 지난 2021년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 고급 리조트 '파라스파라 서울'을 준공하기도 했다.
2025-02-14 15:56:1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