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1 토요일
비
서울 12˚C
맑음
부산 17˚C
맑음
대구 17˚C
구름
인천 14˚C
구름
광주 12˚C
맑음
대전 14˚C
맑음
울산 13˚C
맑음
강릉 13˚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브래드 스미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트럼프 訪英 맞춰 터진 '41조 잭팟'…MS, 영국에 '역대급' AI 데이터센터 구축
[이코노믹데일리]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영국에 4년간 300억 달러(약 41조4000억원)라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영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기술 투자 중 하나로 영국의 AI 산업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유럽 AI 허브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전망이다. MS는 16일(현지시간), 2028년까지 영국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영국 최대 규모의 슈퍼컴퓨터를 건설하는 데 이 같은 금액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계획은 마침 영국을 국빈 방문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정에 맞춰 발표돼 미-영 간의 강력한 ‘AI 동맹’을 과시하는 효과도 거뒀다. 구체적으로 MS는 데이터센터 등 자본 확장에 155억 달러, 인프라 운영에 151억 달러를 투입한다. 특히 영국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엔스케일(Nscale)’과 협력해 2만3000개 이상의 최첨단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탑재한 슈퍼컴퓨터를 구축, 영국의 AI 연구 및 개발 역량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번 발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MS의 영국에 대한 태도 변화다. 브래드 스미스 MS 대외 정책 총괄 사장은 이번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과거 영국 정부의 규제 환경을 비판했던 사실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2023년 MS가 게임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할 당시 이를 저지하려 했던 영국 경쟁시장청(CMA)을 비판했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당시 규제 환경 등으로 이런 수준의 투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영국에 대한 나의 입장은 시간이 지나며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며 “지난 몇 년간 영국 정부가 취한 조치들에 큰 고무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영국 정부가 브렉시트 이후 기업 친화적인 규제 환경을 조성하고 AI 산업 육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 이번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영국 정부는 지난해 2024년 11월 세계 최초로 ‘AI 안전 서밋’을 개최하는 등 AI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MS의 투자 발표에 즉각 환영의 뜻을 밝히며 “이번 투자는 영국의 기술 부문에 대한 기록적인 신뢰의 표시다. 이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를 성장시키며 미래 산업에서 우리의 위치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MS의 이번 투자는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영국의 AI 생태계 전반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영국 내 스타트업과 연구 기관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새로운 AI 기술과 서비스의 탄생을 촉진할 것이다. ‘AI 브리튼’을 향한 영국의 꿈이 MS라는 강력한 파트너를 만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2025-09-17 07:53:2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4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