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3 금요일
비
서울 19˚C
비
부산 20˚C
비
대구 19˚C
흐림
인천 19˚C
비
광주 18˚C
비
대전 23˚C
비
울산 19˚C
흐림
강릉 18˚C
비
제주 2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사회적 채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카드사, 하반기 ESG 채권 발행 우리카드 '톱'…저금리 조달 속 '이미지 세탁' 논란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하반기 국내 6개 전업카드사(삼성·신한·현대·KB국민·우리·하나카드)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 발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ESG채권 발행의 목적이 표면적으론 친환경·사회적 책임 강화지만 실상은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편법적 수단'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우리·삼성·현대·롯데카드가 발행한 ESG 채권은 총 9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8300억원)보다 16.87% 늘어난 수치다. 상반기 발행액이 전년 동기 대비 줄었으나, 하반기 들어 발행 규모가 다시 확대됐다. 카드사별 발행 규모는 △우리카드 4200억원 △현대카드 3000억원 △삼성카드 2000억원 △롯데카드 300억원 순이다. 우리카드는 지난해에도 사회적 채권 9900억원을 발행하며 카드사 중 최대 규모를 기록한 바 있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조달 자금은 영세 소상공인 결제 대금 단축에 쓰였다"고 설명했다. 현대카드는 3000억원 규모의 녹색 채권을 발행해 전기차·하이브리드차 구매 금융 지원에 활용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지난해 1500억원에서 올해 3500억원으로 발행 규모를 두 배 이상 늘렸다. 롯데카드는 300억원 규모의 녹색 채권을 발행하는 데 그쳤다. 업계는 카드사들의 ESG 채권 확대 배경에 '저금리 자금 조달'이라는 실리적 동기가 자리 잡고 있다고 본다. ESG 채권은 일반 회사채보다 낮은 금리로 발행이 가능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카드사 입장에서는 차입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친환경·사회적 책임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일석이조 전략인 셈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ESG 채권이 카드사의 근본적인 사업 리스크와 무관하다는 점에서 '이미지 세탁용'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카드업권은 수익성 악화와 규제 강화로 구조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ESG 채권 발행이 투자자 보호와 건전성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ESG 경영 기조에 맞춰 채권 발행을 늘리고 있지만, 실제 자금 사용처가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는지는 끊임없는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8-26 07:1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5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6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7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8
네이버, 업비트 '빅딜'…결제·가상자산 아우르는 '금융 공룡' 탄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