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요일
흐림 서울 18˚C
흐림 부산 20˚C
흐림 대구 21˚C
흐림 인천 18˚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20˚C
강릉 15˚C
흐림 제주 26˚C
금융

카드사, 하반기 ESG 채권 발행 우리카드 '톱'…저금리 조달 속 '이미지 세탁' 논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방예준 기자
2025-08-26 07:10:00

이달 기준 하반기 ESG 채권 발행액 9700억원...전년 比 16% ↑

삼성·현대 등 카드사도 관련 채권 발행 중...비용절감·ESG 경쟁력 이점

자료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료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하반기 국내 6개 전업카드사(삼성·신한·현대·KB국민·우리·하나카드)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 발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ESG채권 발행의 목적이 표면적으론 친환경·사회적 책임 강화지만 실상은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편법적 수단'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우리·삼성·현대·롯데카드가 발행한 ESG 채권은 총 9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8300억원)보다 16.87% 늘어난 수치다. 상반기 발행액이 전년 동기 대비 줄었으나, 하반기 들어 발행 규모가 다시 확대됐다.

카드사별 발행 규모는 △우리카드 4200억원 △현대카드 3000억원 △삼성카드 2000억원 △롯데카드 300억원 순이다. 우리카드는 지난해에도 사회적 채권 9900억원을 발행하며 카드사 중 최대 규모를 기록한 바 있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조달 자금은 영세 소상공인 결제 대금 단축에 쓰였다"고 설명했다.

현대카드는 3000억원 규모의 녹색 채권을 발행해 전기차·하이브리드차 구매 금융 지원에 활용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지난해 1500억원에서 올해 3500억원으로 발행 규모를 두 배 이상 늘렸다. 롯데카드는 300억원 규모의 녹색 채권을 발행하는 데 그쳤다.

업계는 카드사들의 ESG 채권 확대 배경에 '저금리 자금 조달'이라는 실리적 동기가 자리 잡고 있다고 본다. ESG 채권은 일반 회사채보다 낮은 금리로 발행이 가능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카드사 입장에서는 차입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친환경·사회적 책임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일석이조 전략인 셈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ESG 채권이 카드사의 근본적인 사업 리스크와 무관하다는 점에서 '이미지 세탁용'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카드업권은 수익성 악화와 규제 강화로 구조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ESG 채권 발행이 투자자 보호와 건전성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ESG 경영 기조에 맞춰 채권 발행을 늘리고 있지만, 실제 자금 사용처가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는지는 끊임없는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LG
빙그레
동아쏘시오홀딩스
삼성화재
바이오로직스
kb캐피탈
KB증권
삼성증권
포스코
kb금융그룹
롯데케미칼
KB국민은행_1
KB국민은행_2
KB국민은행_3
기업은행
신한라이프
신한카드
LG
키움증권
sk
부광약품
한국증권금융
부영그룹
신한금융지주
KB손해보험
하나증권
하나카드
GC녹십자
HD한국조선해양
농협
한화
미래에셋자산운용
쿠팡
신한라이프
농협
롯데카드
하이닉스
다올투자증권
국민카드
한화
KB국민은행_4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