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4건
-
-
-
차세대 배터리 왕좌 쟁탈전 살펴보니···차세대 소재에 '돈다발' 몰린다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1일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에서 전기차 화재 사고가 발생한 이후 차세대 배터리에 대한 관심도가 늘고 있다. 국내외 배터리 업체가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배터리 자리를 두고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소재로 쓰일 희귀광물 대체품에도 자금이 몰리는 모습이다. 차세대 배터리 개발 분야에서 가장 앞서 나가는 건 삼성SDI다. 삼성SDI는 2027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하겠다고 공언했으며, 올해 안으로 전고체 배터리를 만들기 위한 공법을 확정 지을 예정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모든 소재가 고체인 배터리를 말한다. 일반적인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질이라 불리는 액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충격에 따른 누수 위험과 화재 위험성이 크다. 반면 전고체 배터리는 누수 위험에서 자유롭고, 부피 당 밀도가 높은 고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도 일반 배터리 대비 2배가량 더 높다. 전고체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선 무엇보다 고체 전해질이 핵심 소재로 뽑힌다. 에코프로비엠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씨아이에스 등이 개발 중인데,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지난 5일 150억원을 들여 전북 익산시에 시험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도 했다. 일단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황 배터리에서 차세대 배터리 왕좌를 차지할 기회를 잡으려 한다. 리튬황은 기존 양극재 소재로 쓰이는 니켈이나 코발트, 망간 대신 유황을 사용한 걸 말한다. 희귀 금속이 아닌 값싼 유황을 사용해 양극재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무게도 가볍기 때문에 중량 당 에너지 밀도는 일반 배터리에 비해 약 7배 더 높은 걸로 알려졌다. 리튬황 배터리의 선도 기업으로 알려진 미국 라이텐 역시 지난해 9월 세계적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물류사 페덱스, 첨단 소재사 하니웰로부터 총 2억 달러(약 266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기도 했다. 리튬 이외의 소재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는 움직임도 있다. 중국에서 점찍은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그 주인공이다. 나트륨은 리튬과 같은 주기율표 상 1족에 속해 있어 화학적으로 성질이 유사하지만, 가격은 리튬의 70~80분의 1 수준이다. 그간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도 적고 수명도 짧아 외면 받아왔지만, 중국 내부에서 전기차 가격 경쟁을 위해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CATL과 BYD, 스웨덴의 배터리 제조사 알트리스 등이 뛰어들어 성능이 급격히 개선됐다. 올해 초 CATL이 공개한 1세대 모델은 에너지 밀도가 ㎏당 160와트시(Wh)로 저가형 리튬인산철 배터리(150Wh)와 비슷한 수준이다. 향후 개발될 2세대 모델은 ㎏당 에너지 밀도를 200Wh까지 늘릴 계획이라, 고가의 삼원계 배터리 성능까지 노릴 수 있을 걸로 보인다.
2024-09-15 14:36:35
-
현대차·GM 공동개발·생산 발표…"기회지만 섣부른 판단 말아야"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자동차가 지난 12일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자동차부터 연료·소재까지 전방위적인 기술 협력에 나선다고 밝힌 뒤 시장은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일단 현대차와 GM이 배터리 소재와 철강재 등 주요 부품 공급망을 공유하기로 하면서 계획대로 된다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개발·생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다. 다만 현대차와 GM이 체결한 건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이라는 점에서 섣불리 결과를 예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조심스러운 시각도 나온다. 현대차는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가 향후 주요 전략 분야에서 협력을 통해 생산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 제품군 다양화 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승용·상용차, 내연 기관, 친환경 에너지, 전기 및 수소 기술의 공동 개발·생산 등을 잠재적 협력 분야로 꼽았다. 나아가 배터리 원자재, 철강 등을 통합 조달하기 위한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각자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는 미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려는 상황에서 미국의 생산 라인을 이용할 수 있고, GM은 현대차로 부터 약한 고리인 전기·수소차 기술 부문에서 협력할 수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와 GM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본다. 현대차는 앞서 나가는 전기차나 수소차 쪽 기술을 전수해 줄 수 있고 현대차는 픽업트럭 등 부문에서 미국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장밋빛 전망을 하기엔 이르다는 평가도 나온다. 주로 GM의 나라 미국 언론이다. 미 매체들은 그동안 GM이 여러 자동차 업체와 협력을 약속했지만 계획대로 끝까지 이어진 사례는 없다는 내용을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2일(현지시간) “두 자동차 제조업체가 내연기관, 전기·수소차 부문에서 협력하기로 했지만 어디서 협력할지, 얼마나 빠르게 새로운 모델을 내놓을지 등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다”며 “GM과 혼다가 전기차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어 GM 공장에서 2종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출시했지만 이후 협력 계획은 폐기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CNBC도 “GM은 그동안 많은 다른 완성차업체와 많은 제휴를 맺고 거래했지만 처음에 기대했던 것만큼 많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며 “2010년대 초반 미국 포드, 전 프랑스 자동차 업체 푸조·시트로엥(PSA)과 주목할 만한 파트너십을 맺었고 현재는 스텔란티스와 맺고 있지만 기대한 결과는 얻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MOU가 실행에 옮겨질 경우 GM에 주는 건 많고 현대차가 취하는 건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가 미국의 생산 라인을 이용하는 대가로 GM에 전기·수소차 기술을 제공한다는 점 때문이다. 여기에 GM의 전기차 배터리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차와 협력을 맺었다는 해석도 있다. CNBC는 “GM은 최근 대형 배터리 공장을 지으면서 과잉 생산이 불가피해졌다”며 “배터리 과잉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GM이 다른 제조업체와 협력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와 관련해 김철수 호남대 미래자동차공합부 교수는 “실제로 협상을 해보면 서로 경쟁 관계인데 협력할 부분이 없는 경우가 많다. 벤츠나 포드랑도 협력한다고 했었는데 제대로 성사된 적은 한번도 없다”며 “배터리 공급망에서 협업하는 정도의 수준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2024-09-13 18:30:14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