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30 목요일
맑음
서울 6˚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5˚C
구름
인천 11˚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9˚C
맑음
강릉 9˚C
구름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신진연구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배경훈 부총리, 'R&D 예산 삭감' 피해 전면 조사…"신진연구자 피해 컸다"
[이코노믹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윤석열 정부 시절 단행된 연구개발(R&D) 예산 대폭 삭감에 따른 피해 실태 전면 조사에 나선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신진연구자들의 피해가 컸다"며 사태의 심각성을 공식 인정했다. 배 부총리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해 이 같은 내용의 'R&D 삭감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 중간 결과를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1단계로 피해 실태 전수조사를 진행한 뒤 연내 관련 용역을 발주해 내년 5월까지 구체적인 영향 분석을 완료할 계획이다. 배 부총리는 “과학 기술은 안정적이고 중장기적으로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성과들을 만들어가야 하는데 신뢰가 많이 무너졌다”고 토로하며 지난 국감에 이어 재차 사과의 뜻을 밝혔다. 하지만 이날 감사에서는 예산 삭감 과정에서 일부 과기정통부 공무원들이 이를 공적으로 인정받아 포상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3년도 우수공무원 35명 중 4명이 공적 내용에 R&D 예산 삭감 관련 내용을 기재해 포상을 받았다"고 질타했다. 이 의원은 “연구생태계가 무참히 무너지고 인재들이 나라를 떠나는 상황에서 과기정통부 공무원들은 (예산 삭감을) 공적으로 기재해 포상받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배 부총리는 “관련 문제가 있다면 기존에 받은 포상 취소 방안도 행정안전부와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배 부총리는 "공무원 포상은 공직 근무 전체에 대해서 평가를 받는 것"이라며 "제가 와서 느낀 건 과기정통부 공무원들이 주어진 일에 굉장히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 줬고 그런 부분에서 이들 중에도 피해자가 있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뒤늦게나마 정부가 진상 조사와 피해 구제에 나섰지만 연구 현장의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2025-10-29 20:55:38
KAIST 박상후 교수, 세계 양대 플라즈마 학회 신진연구자상 석권
[이코노믹데일리] 카이스트(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박상후 교수가 세계적 권위의 플라즈마 학술대회 두 곳에서 잇달아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미국물리학회(APS)가 주관하는 플라즈마 학술대회(GEC)와 국제플라즈마화학회(IPCS)에서 각각 신인연구자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미국물리학회 GEC 신진연구자상은 2년마다 전 세계 단 한 명에게만 수여된다. 연구 우수성과 학문적 영향력 학회 기여도 등을 종합 평가하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시상은 내년 10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GEC 2025’에서 진행된다. 77년 역사의 GEC가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교수는 이 행사에서 초청 연사로 나서 ‘플라즈마 분광학 고도화를 위한 딥러닝 기반 분광 데이터 분석법’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는 복잡한 분광 데이터 분석을 딥러닝 기술로 자동화해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하는 길을 여는 연구다. 앞서 박 교수는 지난 6월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린 제26회 국제플라즈마화학심포지엄(ISPC 26)에서도 신진연구자상을 받았다. 이 상은 박사학위 취득 10년 이내 연구자 중 탁월한 성과를 거둔 과학자에게 주어진다. 박 교수는 플라즈마-액체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공기 중 질소를 친환경적으로 고정하는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 성과를 냈다.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화학물질의 양과 종류를 정밀 제어하는 실시간 광학 진단 기술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기초 연구 성과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 녹색 에너지, 바이오 등 첨단 산업 전반에 기여할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박상후 교수는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에서 열리는 GEC 행사에서 한국을 대표해 신진연구자 상을 받게 되어 매우 뜻깊다”라며 “플라즈마 기초 과학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성과를 인정받아 기쁘게 생각하고 KAIST 연구진의 노력을 세계 최고 학회에서 인정받아 더욱 의미 있다”고 말했다.
2025-08-15 14:13:5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SDV'…편리함에 숨은 보안 위험성
2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3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4
트래블 선두 하나카드, 해외 체크카드 점유율 소폭 ↓...KB국민카드, 60% 성장하며 3위 부상
5
삼성물산 시공 판교 공사현장서 근로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수사 착수
6
KT, 내달 초 차기 CEO 공모 착수…김영섭 대표 연임 '빨간불'
7
네오플 노조, 넥슨 노조와 갈등 끝에 해산…게임업계 첫 파업 중단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