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1건
-
-
삼성물산 패션, 온·오프라인 통합 할인…빈폴·구호 등 최대 10% 할인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봄 시즌을 맞아 온·오프라인 대규모 통합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11일 삼성물산 패션부문에 따르면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전국 백화점, 쇼핑몰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브랜드 데이’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브랜드 데이 행사에는 올해 봄 시즌 신상품을 10% 할인하며 빈폴, 갤럭시, 구호, 르베이지 등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자체 브랜드 뿐만 아니라 르메르, 아미, 메종키츠네, 가니 등 수입 브랜드까지 총 32개 브랜드가 참여한다.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추가 5%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현장 이벤트도 있다. 빈폴, 갤럭시, 구호플러스, 준지, 시프트지, 랙앤본 등 14개 브랜드는 스크래치 이벤트를 함께 진행한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SSF샵은 오는 17일 오전 9시 59분까지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SSF샵은 올해 봄 시즌 신상품을 최대 20%까지 할인 받을 수 있는 쿠폰을 행사기간 동안 지급한다.
2025-03-11 09:49:55
-
대원제약 '콜대원' 시리즈, 편리한 감기약으로 소비자 만족도 UP
[이코노믹데일리] 대원제약의 대표 감기약 브랜드 ‘콜대원’ 시리즈가 간편한 복용 방식과 효과적인 성분 조합으로 감기약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7일 대원제약에 따르면 콜대원 시리즈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감기약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2021년 35억4504만4674원이었던 매출은 2022년 113억9521만8340원, 2023년 177억1504만9055원, 2024년 194억3557만710원으로 4년만에 약 448%가 증가했다. 특히 소아용 감기약인 ‘콜대원키즈’도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2021년 31억762만1680원이었던 매출이 2022년 85억146만8930원, 2023년 131억5881만3888원으로 증가하며 빠르게 시장을 확대했다. 2024년에는 117억4130만6460원를 기록하며 어린이 감기약 시장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다졌다. 대원제약의 대표 감기약 브랜드 콜대원은 스틱형 포장으로 개발돼 간편하게 짜먹는 방식의 감기약을 선보이며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성인이 섭취할 수 있는 콜대원은 두통·오한·몸살 증상에는 빨간색 ‘콜대원 콜드에스’를 기침·가래·인후통 증상에는 파란색 ‘콜대원 코프에스’, 콧물·코막힘·재채기 등에는 초록색 ‘콜대원 노즈에스’로 맞춤형 처방이 가능하다. 키즈제품도 마찬가지다. 성인용과 동일하게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으로 구분했다. 여기에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제 제품은 보라색, 이부프로펜 성분 제품은 주황색으로 패키징해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대원제약은 기존 성인용과 소아용에 이어 최근 신제품 콜대원 나이트를 출시했다. 나이트 제품은 감기로 인한 기침, 코막힘,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해 숙면을 돕는 야간 전용 감기약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해열·진통),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완화), 덱스트로메토르판브롬화수소산염수화물(기침 억제) 등이 함유돼 있어 수면을 방해하는 감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해준다. 또한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독시라민숙신산염을 함유해 진정 작용을 제공하며 각성 효과가 있는 카페인이 포함되지 않아 밤에도 부담 없이 복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카페인이 없어 예민한 이들도 편안한 밤을 보낼 수 있다. 이처럼 대원제약은 기존 성인용 콜대원 시리즈에 야간 전용 제품이 추가되면서 라인업 구축이 완료됐으며 증상과 시간대에 맞춰 보다 맞춤형 감기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콜대원나이트 출시로 총 4개의 제품 라인업을 구축함으로써 종합감기, 기침감기, 코감기 등 증상에 따른 케어는 물론이고 낮과 밤 온종일 대응할 수 있는 제품군을 모두 갖추게 됐다“면서 ”원조 짜먹는 감기약 기업인 만큼 앞으로도 변함없는 품질과 높은 안정성으로 소비자의 신뢰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봄철 환절기인 요즘은 알레르기나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운 시기"라며 "콜대원과 콜대원나이트는 이러한 시기에 효과적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3-11 06:00:00
-
-
AI 기반 통합 플랫폼으로 진화한 '포티애널라이저', 중소기업 보안 운영 효율 극대화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포티넷 코리아가 중견/중소기업(SMB)을 위한 보안 운영 솔루션 ‘포티애널라이저(FortiAnalyzer)’의 주요 업데이트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포티애널라이저는 AI 기반의 통합 플랫폼으로 진화하여 사이버 보안 전문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보안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포티애널라이저는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환경을 모두 포괄하는 단일 플랫폼 솔루션으로 기업의 보안운영센터(SOC)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앙 집중화된 가시성을 확보하고 지능적인 위협 탐지 및 자동화된 사고 대응 기능을 제공하며 즉시 배포 가능한 턴키 방식으로 설계되어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복잡성을 가중시키지 않으면서도 민첩성과 역량을 강화하여 보안 운영 범위를 빠르게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강점을 지닌다. 니라브 샤(Nirav Shah) 포티넷 제품 및 솔루션 담당 수석 부사장은 “오늘날 기업의 보안팀은 고도화되고 표적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이번 포티애널라이저 업데이트는 추가적인 보안 운영 도구 없이도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환경을 아우르는 AI 기반의 통합 보안 운영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리소스가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포티애널라이저는 단일 플랫폼에서 위협 탐지 강화, 사고 대응 자동화, 핵심 보안 운영 기능 간소화 등 보안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AI 기반 보안 운영 기능 강화다. 포티애널라이저는 통합 데이터 레이크 기반의 중앙 집중화된 가시성을 확보하여 보안 운영의 복잡성을 줄였다. 포티넷 보안 패브릭 전반의 네트워크 및 보안 로그, 보안 분석, 규정 준수 보고를 단일 플랫폼 뷰로 통합 제공하며 IoT, SOC, 이메일 보안, 엔드포인트 대시보드 개선을 통해 고위험 사고, 손상된 호스트, 취약점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통찰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포티가드랩(FortiGuard Labs)의 지능형 위협 탐지 및 AI 기반 분석 기능이 강화됐다. 포티가드 IoC(침해 지표) 및 아웃브레이크 탐지 구독을 포함한 통합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해 강화된 가시성을 제공, 분석가들이 신속하게 취약점을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포티애널라이저에 내장된 AI 기능은 우선순위가 높은 경보를 자동 식별하고 관련 이벤트 핸들러, 연관관계 규칙 및 보고서를 제공하여 공격의 배경, 타임라인, 영향받은 기술, 위협 인텔리전스 등 공격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도록 돕는다. 특히 ZTNA(Zero-Trust Network Access,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접근) 기반 탐지 및 세이프가딩(Safeguarding) 기능은 유해 콘텐츠 탐지 능력을 향상시켜 새로운 위협 식별 및 완화에 효과적이다. 자동화된 사고 대응 기능 또한 강화됐다. 사전 구축된 새로운 SOC 자동화 콘텐츠 팩은 최신 이벤트 핸들러, 플레이북, 아미스 플랫폼(Armis Platform), MS 오피스 365(Microsoft Office 365) 등 외부 플랫폼 로그 파서(Log Parsers)를 제공, 최소한의 수동 개입으로 위협 억제 및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확장된 자동화 커넥터를 통해 포티어센티케이터(FortiAuthenticator), 포티샌드박스(FortiSandbox), 포티웹(FortiWeb), 포티메일(FortiMail), 바이러스토털(VirusTotal) 등 다양한 보안 솔루션과의 통합을 통해 자동화 기능을 확장, 사고 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포티넷 보안 패브릭과의 통합은 엔드-투-엔드 보안을 보장한다. 포티넷의 폭넓은 사이버 보안 솔루션과의 통합 및 상호 운용성을 통해 AI 기반 연관 분석 및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서드파티(Third-Party) 디바이스 및 동적 SOC 서비스 지원을 통해 기존 인프라에 포티애널라이저를 원활하게 배포하고 통합 플랫폼을 통해 전체 IT 생태계를 포괄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GenAI 어시스턴트 ‘FortiAI’도 새롭게 내장됐다. 포티애널라이저에 내장된 GenAI 어시스턴트 ‘FortiAI’는 제품 기능, 원격 관리 정보 및 분석을 극대화하여 보안팀이 AI 기반의 빠른 속도로 위협을 조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포티넷 측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포티애널라이저는 리소스가 부족한 보안팀이 대규모 인력이나 복잡한 보안 도구 없이도 효율적으로 하이브리드 환경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통합 플랫폼 내에서 위협 탐지 속도를 높이고 더욱 스마트한 대응과 효과적인 위험 완화를 구현하여 기업들이 복잡성 증가 없이 보안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포티가드(FortiGuard)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포티애널라이저 고객은 현재 업데이트된 최신 기능을 즉시 사용할 수 있다. 포티넷은 향후에도 새로운 위협 및 변화하는 고객 요구사항에 발맞춰 콘텐츠 팩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SOC 운영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2-24 16:19:17
-
-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 해외로 눈 돌리는 건설업계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주요 건설사들이 해외시장 개척에 집중하고 있다. 탄핵 정국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주택사업마저 수주절벽 위기가 고조되자 해외시장 개척으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해외건설 수주액 목표를 전년 대비 35% 증가한 500억 달러로 정했다. 유럽과 중동,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지역별 맞춤 수주 전략을 통해 해외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해외건설 목표 수주액을 지난해(371억 달러)보다 34.8% 증가한 500억 달러로 설정했다. 해외건설 연간 수주액은 2010년 716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2015년 461억 달러로 500억 달러 선이 무너졌다. 이후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00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목표치를 달성한다면 11년 만에 500억 달러대로 복귀하는 것이다. 정부가 수주 목표치를 500억 달러로 상향한 것은 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24조원 규모의 체코 원전 사업이 오는 3월 계약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계약이 성사되면 지난해 최대 수주 사업장인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플랜트 증설 공사(약 11조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또 현대건설든 8조원 규모의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설계·조달·시공(EPC) 본계약을 하반기 체결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유럽은 원전 및 인프라, 중남미는 고속·공항 철도, 동남아시아는 신도시 및 플랜트, 중동은 재건사업·도시개발 등을 중점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사업 부진을 해외에서 만회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사우디 아미랄 등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어졌던 중동지역에서 비경쟁·고부가가치의 수주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올해 신규 수주(29조원) 중 40%를 해외에서 확보할 계획이다. 사우디 네옴(NEOM) 터널, 사파니아 유전(36억 달러), 파드힐리 가스전(47억 달러)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현대건설 측은 "해외에서 이미 중국과 인도 등의 저가 공세로 단순 도급 사업만으로는 수익성 확보에 한계가 있다"며 "비경쟁·고부가가치 사업에 집중하고, 충분한 자금 조달을 통해 투자개발 사업으로 해외 수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우건설 역시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특히 해외 도시개발사업에 집중하며 디벨로퍼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우건설은 미국 뉴저지를 중심으로 북미 지역,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 중앙아시아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가 단순 도급에서 투자개발로 수주의 패러다임 전환을 강조하는 만큼 이에 발맞춰 해외 투자개발형 사업을 계속해서 늘려나가는 곳도 있다. 도급형은 발주처 재정 상황에 따라 공사비를 받지 못할 수 있고 건설사 간 경쟁이 심화하면 '저가 수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투자개발형 사업은 수익성과 현지 저변 확대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고 평가받는다. 사업 초기 재원 부담이 있지만, 건설 후 유지보수를 담당하면서 운영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특히 투자개별형 사업은 도급 사업보다 수익률이 2~3배 높아 건설사들이 선호하는 해외시장 개척 방법이다. 실제로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해외 투자개발형 사업 수주액은 51억6700만 달러로, 총 수주액(371억1400만 달러)의 13.9%를 차지했다. 전년(14억6400만 달러)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우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필리핀 마닐라 니노아키노국제공항 개발·운영 사업을 따냈고, GS건설은 브라질과 오만에서 수처리 등의 투자개발형 사업을 수주했다. 아랍에미리트(UAE)에서는 한국서부발전이 아즈반 1500㎿ 태양광발전 사업 첫 삽을 떴다. 반도건설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자체 개발 사업을 하고 있다. 2023년 3월 '더 보라(The BORA) 3170' 주상복합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데 이어 지난해부터는 'The BORA 3020'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추후 4차까지 사업을 진행해 1000가구 규모의 '유보라타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2025-01-23 10:00:00
-
-
-
-
동화약품 판콜에스, 2년 연속 감기약 시장 매출1위 달성 외
[이코노믹데일리] ‘안서희의 제약바이오’는 한 주간 제약바이오 업계의 새로운 소식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신제품 출시부터 연구개발·임상시험·해외진출 등 다양한 업계 소식을 모아서 전해드립니다. <편집자 주> ◆동화약품 판콜에스, 2년 연속 감기약 시장 매출 1위 달성 동화약품은 지난 17일 종합감기약 ‘판콜에스’가 2년 연속 감기약 시장 매출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가 최근 발표한 2024년 IQVIA 3Q MAT데이터(2023 4Q~2024 3Q)에 따르면 동화약품 판콜에스는 358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판매 1위를 유지했다. 이는 약 1430억원 규모의 감기약 시장에서 25%의 점유율에 해당하는 수치다. 앞서 판콜에스는 2023년 IQVIA 3Q MAT데이터(2022 4Q~2023 3Q)에서 처음으로 감기약 매출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판콜에스는 출시된 지 5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대표적인 감기약”이라며 “앞으로도 높은 품질과 안정성을 유지하며 감기약 시장을 이끌어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원제약, 골관절 종합영양제 ‘멘토콘드정‘ 출시 대원제약은 지난 17일 골관절 통증 완화 종합영양제 신제품 ‘멘토콘드정‘을 출시했다. 멘토콘드정은 콘드로이틴설페이트나트륨과 비타민B군을 함유한 복합제로 고령화 시대에 늘어나는 관절 및 신경 통증 완화 수요에 맞춰 출시한 종합영양제다. 제품명은 ‘멘토’와 주성분인 ‘콘드로이틴’을 결합해 지어졌다. 주성분인 콘드로이틴은 연골·뼈·각막 등 결합 조직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관절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특히 체내 합성률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므로 외부 보충이 필요하다. 멘토콘드정은 하루 1정에 800mg의 콘드로이틴을 포함해 무릎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이 외에도 신경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B1, B6, B12, 항산화 효과가 있는 비타민C, E 간 기능 개선 성분 UDCA 그리고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D 등이 함유돼 있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관절 통증과 신경통으로 불편을 겪는 중장년층은 물론, 관절 사용이 많은 청년층에도 유용할 것”이라며, “‘멘토’ 브랜드로 다양한 영양 솔루션 제품군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동아ST,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유럽 품목허가 획득 동아ST 본사 전경[사진=동아ST] 동아에스티는 지난 18일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뮬도사는 10월 유럽 의약품청(EMA)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품목허가 승인 권고를 받은 지 약 두 달 만에 최종 승인을 받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했다. 이뮬도사는 얀센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로 판상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스텔라라 주요 성분인 우스테키누맙은 2023년 기준 누적 매출 203억2300만 달러를 기록한 대표적 바이오 의약품이다. 이뮬도사는 2013년부터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메이지세이카파마가 공동 개발을 시작했으며 2020년 동아에스티가 개발·상업화 권리를 이전받아 메이지세이카파마와 협력 중이다. 2021년에는 글로벌 제약사 인타스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인타스 계열사를 통해 전 세계 상용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의 연이은 품목허가를 통해 이뮬도사의 글로벌 의약품 시장 진출이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며 “이뮬도사가 글로벌 시장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아 많은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독, 크론병 환자용 영양식 ‘엘리멘탈028엑스트라’ 바나나향 출시 한독은 크론병 환자를 위한 특수의료용도식품 '엘리멘탈028엑스트라'의 바나나향을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이번 신제품은 바나나향을 추가해 환자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기존 오렌지향과 무향을 포함해 총 3가지 종류를 제공한다. 엘리멘탈028엑스트라는 글로벌 식품기업 다논의 특수영양식 전문 자회사 뉴트리시아에서 개발한 균형 잡힌 영양식으로, 한독이 국내에 공식 수입·판매 중이다. 이 제품은 아미노산을 비롯해 탄수화물, 지방, 미네랄, 비타민 등을 함유하며 소화흡수가 빨라 단일 영양공급원 또는 영양 보조식으로 활용 가능하다. 엘리멘탈028엑스트라 1포(100g)당 427kcal를 섭취할 수 있어 환자의 체중 증가에도 도움을 주며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난치성 흡수장애, 단장증후군, 장누공 환자들이 섭취할 수 있다. 엘리멘탈028엑스트라 바나나향은 3세 이상, 오렌지향과 무향 제품은 12개월 이상 섭취 가능하며 물에 타서 먹는 분말 형태다. 19세 미만의 크론병 또는 단장증후군 환자는 보건복지부의 모자보건사업을 통해 엘리멘탈028엑스트라를 지원 받을 수 있다.
2024-12-21 06:00:00
-
-
실적 효자 '바이오 매각' 나선 CJ제일제당, '제2 빅픽처' 그리나
[이코노믹데일리] CJ제일제당이 세계 점유율 1위 바이오 부문 매각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우수한 기술력과 판매망으로 바이오 부문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나 글로벌 확장 가능성과 미래 잠재력 측면에서 성장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 매각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CJ제일제당이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인수합병(M&A) 자금 마련을 위해 바이오 사업을 매각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앞서 CJ제일제당은 CJ헬스케어 매각 후 미국 식품업체를 인수, 지난해 10배에 달하는 매출액을 달성했다. 올해 CJ제일제당이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내수 소비 부진과 원가 부담 등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은 만큼 행동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CJ제일제당이 K-푸드 수출로 매출 고성장을 이룬 만큼 매각 대금으로 또 한 번 글로벌 기업 인수에 나설지 주목된다.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바이오사업부 매각을 위해 매각 주관사로 모건스탠리를 선정하고 인수 후보와 접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CJ제일제당의 바이오 부문은 식품 조미 소재와 동물 사료용 아미노산 등을 생산하는 그린바이오 사업이 주력이다. 이번 매각은 그린바이오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는 화이트바이오와 신약 기술 등을 개발하는 레드바이오는 제외된다. CJ제일제당 바이오 부문은 지난해 4조1343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올해는 3분기까지 3조1474억원의 누적 매출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이 실적 효자 노릇을 하고 있는 그린 바이오 부문을 매각하기로 한 것은 미래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또 업계에서 바이오 부문 몸값이 6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높은 매각 금액을 따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바이오 사업은 곡물 가격 등 원재료 시황과 육류 소비 수요에 따라 실적 변화가 있다는 점이 매각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용 아미노산 전체 시장에서 비중이 높은 라이신, 트립토판 등의 품목은 진입장벽도 높지 않으며, 최근 중국 업체는 저가 공세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 부문은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등 주요 국가에 11개 대형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다. 글로벌 1위 사료용 아미노산 브랜드 라이신과 트립토판, 발린을 포함해 8종의 대표 브랜드를 보유했다. 시장 내 입지가 탄탄하고 꾸준히 이익을 내 인수 후보자들이 선호할 만한 점을 지녔다. 이번 매각과 관련해 CJ제일제당 측은 “바이오 사업에 대한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일축했다. 업계는 CJ제일제당이 그린바이오 매각 대금으로 인수·합병(M&A)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CJ제일제당은 2019년 미국 냉동식품 2위 업체 슈완스컴퍼니를 인수했고 이후 미국 식품 매출이 급증했다. 슈완스 물류망과 주류 유통 채널 등을 활용해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결과 2018년 3649억원 수준이던 CJ제일제당의 미국 내 식품 매출은 지난해 4조3807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CJ제일제당의 전체 매출 중 바이오 비중은 14%, 식품은 39%에 달한다. CJ제일제당이 K푸드 성장세로 해외 식품 시장에서 호실적을 냈지만 내수 소비 부진으로 인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돌파구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CJ제일제당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27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늘었고, 매출은 4조6204억원으로 1.1% 감소했다. 자회사인 CJ대한통운을 포함한 CJ제일제당의 연결기준 매출은 7조4143억원으로 0.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126억원으로 5.1% 늘었다. 식품 사업 부문은 매출 2조9721억원으로 1.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613억원으로 31.1% 줄었다. 이 중 해외 식품사업 매출이 1조4031억원으로 절반 수준에 달한다. 독일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 유럽 매출이 40% 증가했고, 대형마트 체인 판매가 확대된 오세아니아 지역 매출도 24% 늘었다. 북미에서는 주력 제품인 만두와 피자 매출이 각각 14%, 11% 증가했다. 올해 1~9월까지의 비비고 만두 매출 증가율은 33%에 이른다. 식품 사업의 해외 매출은 5.1% 늘었지만, 내수 소비 부진과 원가 부담 등으로 국내 사업 매출은 6.1% 감소했다. 고물가 사태가 장기화되고 소비에 적극적인 20~49세 인구가 줄어들어 실적 돌파를 위한 자구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해외 식품 사업이 고공성장 하고 있는 만큼 CJ제일제당이 매각 대금으로 슈완스를 잇는 초대형 인수합병에 나설지 주목된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업부 매각이 성사된다면 전사 실적 안정성과 재무 안정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핵심 관전 포인트는 차입금 상환 규모와 M&A 방향성 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2024-11-19 21:42:53
-
'상위 전통제약사 빅5' 3Q 실적 희비...녹십자 웃고, 종근당 울고
[이코노믹데일리] 올 3분기 성적표를 받아 든 국내 전통 제약사 빅5의 희비가 갈렸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유한양행과 녹십자, 대웅제약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증가한 반면 종근당과 한미약품은 고전했다. 유한양행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올렸다. 유한양행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4.8% 증가한 5852억원, 영업이익은 690% 증가한 545억원을 기록하며 업계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올렸다. 매출 증가의 핵심요인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다. 유한양행은 존슨앤존슨의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으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지난 9월 얀센으로부터 렉라자에 대한 상업화 기술료 6000만 달러(약 804억원)를 수령했다. 이로인해 3분기 누적매출 1조5329억원을 기록하며 연매출 2조원 달성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또한 렉라자의 미국 처방이 본격화되면 로열티로 수익이 발생하고 , 유럽 승인을 받을 경우 추가적인 마일스톤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지난 2분기 전통제약사 가운데 유일하게 적자를 기록했던 GC녹십자는 3분기 매출 4649억원, 영업이익 422억원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8%, 20.8% 증가한 수치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1조2390억원, 영업이익 422억원이다. 실적 개선의 주요 원인으로는 알리글로의 미국 출시 영향이 컸다. 알리글로는 7월 미국으로 수출돼 본격적인 판매가 시작된 후 발생한 306억원의 매출이 영업이익 증가를 이끌었다. 대웅제약은 3분기 매출액 3159억원, 영업이익 411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6%, 20.32% 증가한 수치다. 대웅제약의 매출 성장에 주요 제품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와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의 영향력이 컸다. 나보타의 3분기 매출은 474억원으로 연간 누적매출이 1376억원에 달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나보타의 성장은 계속됐다. 현재 나보타는 전 세계 톡신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에서 미용 시장 분야 중 매출 2위를 지켜내며 메이저 톡신으로 자리를 잡았다.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는 3분기 매출 226억원을 기록했으며 연간 누적 매출은 3분기 기준 739억원으로 연매출 1000억원 달성을 앞두고 있다. 펙수클루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진출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출시된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필리핀 △멕시코 △에콰도르 △칠레 5개국이다. 품목허가 신청국은 중국과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11개국이며 수출계약을 맺은 14개 나라를 합치면 총 30개국에 달한다. 종근당과 한미약품은 3분기 실적에서 부진했다. 두 회사 모두 매출 증가에 한계가 있었으며 영업이익 감소와 함께 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했다. 종근당은 3분기 매출액 408억원, 영업이익 25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3.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2.5% 급감했다. 영업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은 HK의 이노엔의 케이캡 공동마케팅 종료 때문이다. 전문의약품 케이캡은 첫 출시부터 함께 마케팅을 시작해 오면서 종근당의 캐쉬카우로 자리했었다. 그러나 올해 계약종료 후 종근당은 대웅과 펙수클루 공동 마케팅을 시작했지만 케이캡의 공백을 빠르게 메우기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미약품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매출액은 36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했으며 영업이익도 11.4% 줄어든 510억원을 기록했다. 한미약품의 실적견인은 로수젯의 성장을 꼽을 수 있다.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의 3분기 처방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한 535억원을 달성했다. 상반기 누적 원외처방 매출도 1000억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고혈압 치료 복합제 아모잘탄패밀리도 3분기 36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한미약품의 매출과 영업이익 감소 원인으로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이 지목됐다. 북경한미약품은 영업 일수 감소와 중국 대홍수에 따른 유통망 차질 등이 이번 실적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3분기 북경한미 영업이익은 15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2.4% 감소했고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843억원, 128억원으로 9.7%, 46.2% 줄었다. 또한 한미약품과 경영권 갈등 구도인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 역시 3분기에 영업이익 2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37.2% 줄었다.
2024-11-13 05:00:00
-
"K푸드 날고 내수는 줄고" CJ제일제당, 3Q 영업익 전년比 0.4%↑
[이코노믹데일리] CJ제일제당이 K푸드 성장세로 해외 식품 시장에서 호실적을 냈지만 내수 소비 부진으로 인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CJ제일제당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27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늘었고, 매출은 4조6204억원으로 1.1% 감소했다. 자회사인 CJ대한통운을 포함한 CJ제일제당의 연결기준 매출은 7조4143억원으로 0.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126억원으로 5.1% 늘었다. 식품 사업 부문은 매출 2조9721억원으로 1.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613억원으로 31.1% 줄었다. 이중 해외 식품사업 매출이 1조4031억원으로 절반 수준에 달한다. 독일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 유럽 매출이 40% 증가했고, 대형마트 체인 판매가 확대된 오세아니아 지역 매출도 24% 늘었다. 북미에서는 주력 제품인 만두와 피자 매출이 각각 14%, 11% 증가했다. 올해 1~9월까지의 비비고 만두 매출 증가율은 33%에 이른다. 그러나 내수 소비 부진과 원가 부담 등으로 국내 식품사업이 위축돼 실적이 쪼그라들었다. 바이오 사업 부문 매출은 1조694억원으로 1.1% 늘었고 영업이익은 824억원으로 74.9% 증가했다. 고수익 제품인 트립토판과 사료용 알지닌 매출이 각각 21%, 35% 늘었다. 고부가가치 품목인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등 스페셜티 아미노산의 매출 비중 또한 22%에 달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피드앤케어 매출은 5789억원, 영업이익은 327억원을 기록했다. 주요 사업국가에서의 사료 판가 및 판매량 하락으로 매출은 소폭 줄었으나, 사업 구조 및 생산성 개선 등을 통해 지난 분기에 이어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다양한 글로벌 콘텐츠와 협업해 ‘비비고’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높이고 ‘K-푸드 신영토 확장’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바이오 사업 부문은 프리미엄 조미 시장을 이끌고 있는 ‘테이스트엔리치’의 신규 수요를 계속 발굴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도 한층 고도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2024-11-12 10:3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