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5 금요일
흐림
서울 31˚C
흐림
부산 31˚C
흐림
대구 34˚C
흐림
인천 29˚C
맑음
광주 31˚C
흐림
대전 30˚C
구름
울산 32˚C
구름
강릉 28˚C
흐림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올레도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삼성D, 초고해상도·초슬림 모니터 개발…기술력 차이 입증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디스플레이가 초고해상도, 초슬림 베젤 신기술을 개발하며 소비자 수요를 늘릴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소비전력 문제를 해결하고자 초격차 기술을 개발해 양산에 적용,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해서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는 'K-디스플레이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를 통해 발광다이오드(LED)와 초미세 올레도스(OLEDoS) 기술을 대중에 공개했다. 앞서 삼성디스플레이는 글로벌 부품 기업으로 지난 2007년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양산한 이후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QD(퀸텀닷)-OLED 기술을 통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 다양한 영역에서 프리미엄 디스플레이를 공급하고 있는 중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지난 7월 '올해 1분기 OLED 패널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 리포트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연성) 및 리지드(경성) OLED 부문 1위 유지하고 있으며 아이폰용 OLED 최대 공급사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올해 1분기 OLED 패널 출하량과 매출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 2% 증가한 것을 미루어 보아 삼성디스플레이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날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 김현석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본부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을 살펴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미디어아트와 스트리머 체험 공간, 게임존 등을 통해 혼합현실(XR) 기기용 올레도스와 차세대 스마트워치용 6000니트 밝기의 마이크로 LED를 포함해 디스플레이 화면이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스트레쳐블 등을 대거 공개했다. 전시장 한켠에는 폴더블 OLED 신규 브랜드인 몽플렉스 존이 마련돼 마크 데니스의 화풍을 구현한 인공지능(AI)를 관람객이 직접 체험해볼 수 있었다. 또한 4000니트의 퀸텀닷-OLED 모니터도 전시했다. 빛을 받으면 스스로 색을 내는 기술로 보다 흑백 컬러를 선명하고 깊게 확인할 수 있다. 차세대 스마트워치용 6000니트 밝기의 마이크로 LED도 최초 공개됐는데 이 제품의 해상도는 326PPI로 디스플레이를 자유롭게 구부리고 펼 수 있었다. 아울러 삼성디스플레이는 졸음운전을 방지해 주는 디스플레이를 전시했다. 운전자의 졸음이 확인되면 알림음을 보내는 방식으로 구현한다는 게 골자로, 현재는 개발 단계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관람객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확인하고 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2025-08-14 17:03:07
차세대 폴더블 OLED 기술 '몽플렉스' 첫선
[이코노믹데일리] 지난 9일 종료한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Display)'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LEAD™', '몽플렉스' 등 신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기술들에 대해 전문가들은 특히 삼성의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기술이 중국과 비교해 초격차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7일~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K-Display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시회의 가장 큰 부스 두 개 중 하나를 운영하며 이번 전시회 성공을 견인하는 데 일조했다. K-Display는 지난 2001년 첫 개최 이후 25년간 개최된 디스플레이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는 어린 학생부터 외국 회사의 바이어 등 기술을 살펴보러 방문한 방문객들로 가득했다. 한국디스플레이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은 50.8%로 33.1%인 한국보다 높다. 하지만 지난해 전체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시장 점유율은 한국이 67.2%로 중국의 33.3%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전 세계 모니터용 OLED 패널 출하량 약 200만대 중 143만대가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로 71.2%의 점유율에 달했다. 이 같이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의 점유율을 지키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회에 본사가 어떻게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존재감을 표출하는 지를 증명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초미세 올레도스(OLEDoS:OLED on Silicon)'를 활용한 기술과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 LED 워치', 기존 OLED 패널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던 편광판이 없는 OLED 기술 'LEAD™', 차세대 폴더블 OLED 기술 '몽플렉스(MONT FLEX)' 등을 선보였다. 초미세 올레도스는 확장현실(XR)에 접목해 현실과 그래픽의 구분을 매우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기존 발표 대비 50% 더 밝아진 마이크로 LED 워치와 편광판이 필요 없어 더욱 얇고 가벼운 LEAD™기술도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이번 전시회를 위해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공개한 몽플렉스는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의 핵'으로 자리매김했다. 해당 기술은 기존 OLED보다 더 얇고 가볍지만 50만회 접는 테스트를 통과하는 내구성도 가졌다. 몽플렉스는 삼성디스플레이가 7년간 만든 폴더블 OLED기술의 정수로 해외 기업과의 초격차를 다시 한번 증명했다. 몽플렉스 섹션에 방문한 VIP들도 이 기술에 깊은 관심을 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방문객들에게 제품에 대한 흥미를 돋우기 위해 다양한 방문객 참여형 프로그램도 놓치지 않았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의 입구에 위치해 눈길을 끈 '센서 OLED' 체험과 방문객의 사진을 전문 작가의 작품과 어우러지게 만드는 '인공지능(AI) 셀피' 체험까지 방문객들의 재미를 위한 부스들로 구성됐다. 센서 OLED를 체험한 한모군(16)은 "삼성디스플레이의 참여형 프로그램 중 이번 프로그램을 처음 체험했고 센서 OLED 체험은 재미있는 경험이었다"며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자신감'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었다. 중국 폴더블폰의 공습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번 신기술을 공개적으로 선보인 이유는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의 발로라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번 신기술 공개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OLED 기술력이 중국의 폴더블 OLED 기술력보다 몇년의 격차가 존재하는 것을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2025-08-11 18:09:2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서희건설, 부사장 '385억 부풀리기' 13억대 횡령…특검·상폐 위기 겹악재
2
삼성·LG, 디스플레이 '왕좌의 대결'…"같은 듯 달랐다"
3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논란… "법치주의 무시한 발언" 반발 확산
4
희비 엇갈리는 '1세대 K-뷰티'…팔리거나 혹은 버티거나
5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6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7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8
특검 칼끝 겨눈 서희건설… 지주택 성장 뒤에 쌓인 민원과 의혹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