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3 수요일
맑음
서울 33˚C
구름
부산 31˚C
흐림
대구 33˚C
맑음
인천 31˚C
맑음
광주 31˚C
흐림
대전 32˚C
흐림
울산 28˚C
흐림
강릉 28˚C
흐림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윈드서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오픈AI, 1.5조 소프트웨어 검수 스타트업 '스탯시그' 인수…역대 최대 M&A
[이코노믹데일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소프트웨어 테스트 플랫폼 스타트업 ‘스탯시그(Statsig)’를 11억 달러(약 1조5000억원)에 인수하며 공격적인 영토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오픈AI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으로 급등한 기업 가치를 바탕으로 AI 제품의 완성도와 사업성을 동시에 잡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시간), 오픈AI가 전액 주식 교환 방식으로 스탯시그를 인수한다고 보도했다. 2021년 설립된 스탯시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새로운 기능을 출시하기 전 실험하고 검증(A/B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오픈AI는 이전부터 스탯시그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였다. 이번 인수를 통해 오픈AI는 스탯시그의 기술력뿐만 아니라 핵심 인재까지 확보했다. 비제이 라지 스탯시그 공동 창업자 겸 CEO는 오픈AI의 애플리케이션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로 합류한다. 이 부문은 지난 5월 영입한 피지 시모 전 인스타카트 대표가 CEO를 맡고 있어 시너지가 기대된다. 오픈AI의 ‘인수 광폭 행보’는 올해 들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지난 7월 ‘아이폰 디자이너’로 유명한 조니 아이브의 AI 기기 스타트업 ‘io’를 65억 달러(약 9조 원)에 인수했으며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 인수도 시도한 바 있다. 이러한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한 배경에는 천문학적으로 치솟은 기업가치가 있다. 오픈AI는 지난 3월 3000억 달러(약 420조원)의 가치를 인정받아 400억 달러(약 56조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최근에는 5000억 달러(약 700조원) 가치를 기반으로 한 주식 매각까지 논의 중이다. 이번 인수로 오픈AI 내부 조직도 재편됐다. 챗GPT 개발팀과 헬스케어 제품팀 등이 시모 CEO의 애플리케이션 부문으로 통합되는 등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사업화와 제품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2025-09-03 13:49:39
AI 스타트업 코그니션, 구글이 인재 빼간 경쟁사 윈드서프 인수
[이코노믹데일리] AI 코딩 스타트업 코그니션이 경쟁사인 윈드서프를 인수한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인수는 오픈AI, 구글 등 빅테크까지 얽힌 복잡한 쟁탈전 끝에 이뤄진 것으로 AI 업계의 치열한 기술 및 인재 확보 경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코그니션은 이날 윈드서프의 지식재산권(IP), 제품, 브랜드 및 인력을 인수한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거래 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인수는 구글이 윈드서프의 최고경영자(CEO)와 주요 엔지니어를 영입했다고 발표한 지 불과 3일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사건의 전말은 복잡하다. 당초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AI 코딩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은 윈드서프를 30억 달러에 인수하려 했으나 협상은 최종 무산됐다. 그 배경에는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MS가 오픈AI의 모든 IP에 접근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픈AI는 윈드서프의 핵심 코딩 기술까지 MS에 넘어가는 것을 원치 않았다는 분석이다. 인수가 무산된 윈드서프에 접근한 것은 구글이었다. 구글은 윈드서프의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는 대신 약 24억 달러를 지급하고 CEO 등 핵심 인재와 기술 라이선스를 확보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윈드서프가 다른 기업에도 자유롭게 기술을 라이선스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조치였다. 결국 구글이 핵심 인력을 흡수한 직후 윈드서프의 경쟁사이자 AI 코딩 에이전트 ‘데빈(Devin)’으로 유명한 코그니션이 남은 회사와 IP, 인력에 대한 인수를 발표하며 쟁탈전의 최종 승자가 됐다. 스콧 우 코그니션 CEO는 “새롭게 합류하는 모든 직원은 기존 직원과 동일하게 투명성과 공정성, 그리고 능력과 가치를 깊이 존중하는 방식으로 대우받을 것”이라며 “오늘 이후 우리는 하나의 보트에 함께 탄 단합된 팀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인수는 AI 업계의 경쟁이 단순 기술력을 넘어 인재 확보와 전략적 M&A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2025-07-15 08:27:5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지방 부동산 침체 장기화…7월 준공 후 미분양 다시 증가
3
DL·대우·현대건설 줄줄이 사망사고… 정부, 입찰금지·과징금 정조준
4
KT·LGU+ '김수키 해킹' 의혹 증폭…정부 "정밀 분석 중" 뒤늦게 밝혀
5
노란봉투법·상법 개정안, 기업 경영 동시 흔드는 '이중 변수'
6
[K-제약, 뷰티 트렌드①] '먹는 화장품 시대'...제약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이너뷰티 선택
7
생명보험사 요양시설 사업 경쟁 본격화...KB라이프 '선두' 후발주자들 추격 가속화
8
[9월 첫째주 美 증시 체크포인트] 경제 일정 '빅매치' 몰린다…美 고용지표·연준 발언 집중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이재명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정책 실패, 금융업계만 '희생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