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7건
-
-
-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엔비디아 GPU 6만장…韓 산업 AI 전환, 네이버가 현실로 만들 것"
[이코노믹데일리] "AI는 이제 시대적인 흐름이며 GPU와 같은 인프라 확보는 국가적 투자 영역입니다. 우리의 기술과 인프라로 산업의 AI 전환을 현실로 만들겠습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6일 연례 기술 콘퍼런스 '단25'에서 인공지능(AI)을 단순한 기술을 넘어 국가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 규정하며 '한국형 소버린 AI 2.0' 시대를 열겠다는 강력한 포부를 밝혔다. 특히 최근 발표된 엔비디아와의 대규모 GPU 공급 계약과 관련해 구체적인 도입 시기와 활용 계획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대한민국 산업 AI 생태계를 이끌겠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첨단 반도체 수출 통제 가능성 등 넘어야 할 산도 만만치 않음을 내비쳤다. 네이버는 지난 10월 31일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 6만장을 공급받는다고 발표하며 시장을 놀라게 했다. 이에 대해 김유원 대표는 "GPU 6만장은 한 해에 들여올 규모는 아니다"라며 "데이터센터 준비 및 전력 확보, 엔비디아 측 공급 규모 등을 고려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구체적인 도입 시점에 대해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국내에 들어올 것이라고 밝히며 "네이버가 오는 2026년 GPU에 투자하는 1조원 중 굉장히 많은 비중이 엔비디아 GPU 구매에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막대한 규모의 GPU 확보에도 불구하고 김 대표는 오히려 부족하다고 말했다. "GPU의 경우 네이버는 이미 매년 몇만 장씩 사고 있는 상황"이라며 "도입하는 엔비디아 GPU 6만장은 하이퍼클로바X, 피지컬 AI, 버티컬 AI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예정인데 이를 고려하면 6만장도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네이버가 그리는 AI 사업의 규모가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임을 시사한다. 김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전략을 '소버린 AI 2.0'으로 정의했다. 기존의 '소버린 AI'가 자국의 언어와 문화에 기반한 기술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 단계 진화한 개념이다. 이미 네이버클라우드는 한화, HD현대, LS, 현대차, 그리고 1947년 설립된 국내 최초 농기계 기업 대동 등 국내 주력 산업의 리더들과 협력해 제조 공정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버티컬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태국 등 글로벌 시장으로 '수출형 소버린 AI' 모델을 확산시키고 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은 '피지컬 AI' 분야에서 빛을 발할 전망이다. 김 대표는 "피지컬 AI는 생성형 AI의 다음 단계로 텍스트 기반 모델을 넘어 실제 세계를 이해하는 월드 모델로 확장되는 흐름"이라며 "소버린 AI 영역은 굉장히 많은 플레이어들의 협업이 필요한데 네이버는 로봇 제조사와 엔비디아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즉 네이버클라우드가 OS와 API 등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며 피지컬 AI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장 진보된 칩은 미국 외에는 주지 않겠다'고 발언하며 첨단 반도체 수출 통제 가능성을 시사한 것에 대해 김 대표는 "해당 사안은 아직 엔비디아 측과 이야기한 바 없다"고 말을 아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가 AI 인프라 확보의 최대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한 것으로 향후 네이버의 GPU 확보 전략에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내비친 대목이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네이버는 GPU 공급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김 대표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엔비디아뿐 아니라 국내 NPU, AMD, 인텔 등 다양한 칩을 테스트하고 있다"며 "실제 서비스 트래픽을 보유한 만큼 반도체 설계사들과 협력해 실사용 환경에서 검증과 개선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거품론'에 대해서는 "핵심은 투입 대비 가치"라며 "경량화 모델과 효율화 중심으로 AI가 현실적인 가치를 만들 수 있도록 준비해왔다"고 일축했다. 김 대표는 "AI는 산업의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구조적 전환"이라며 "엔비디아, 정부, 국내 기업들과 함께 AI 인프라를 단단히 세워 한국이 이 전환을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2025-11-06 15:36:46
-
국민연금, 3분기 미국주식 평가이익 '톡톡'...AI 대장주 집중
[이코노믹데일리] 국민연금이 올해 3분기 미국 증시 불장 속에서 대형 기술주 중심의 공격적 투자로 상당한 평가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9월 말 기준으로 미국 552개 상장종목에 투자 중이라고 밝혔다. 투자 종목수가 지난 6월 말(534개)보다 소폭 늘었고 보유주식수도 8억805만주에서 8억5953만주로 6.4%가량 많아졌다. 같은 기간 국민연금이 보유한 미국 주식의 액면가치는 1158억3000만 달러(약 167조원)에서 1287억7000만 달러(약 186조원)로 11.2%(129억4000만 달러·약 18조7000억원) 증가했다. 평가액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은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였다. 지난 6월 말 기준 73억5210만 달러였던 국민연금의 엔비디아 주식 평가액은 9월 말에는 92억4574만 달러로 18억9363만 달러(25.8%) 급증했다. 국민연금은 엔비디아 보유주식수를 4654만주에서 4955만주로 6.5% 늘렸다. 애플 주식 평가액은 59억1177만 달러에서 75억6937만 달러로 16억5761만 달러(28.0%) 증가했고 보유주식수도 3.2%가량 많아졌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과 테슬라 주식 평가액은 각각 42.3%와 44.2%씩 뛰어올랐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주식수는 3.1%와 3.0%씩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그만큼 주가상승이 가팔랐던 까닭이다. 브로드컴과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램리서치 등도 국민연금 보유주식수가 1.5∼4.6% 증가한 가운데 평가액이 적게는 8.9%에서 많게는 52.1%까지 많아졌다. 주가가 내리며 평가액이 감소한 종목도 있지만 국민연금은 아메리칸익스프레스(-99.9%)와 도미노피자(-42.5%)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종목에서 보유주식수를 늘렸다. 국민연금의 넷플릭스 보유주식수는 3분기 동안 3.1% 증가했는데 평가액은 오히려 12억452만달러에서 11억1184만 달러로 7.7% 줄었다. 주가 하락을 저가매수 기회로 삼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세일즈포스와 코스트코, 치폴레멕시칸그릴, 월트디즈니, 코카콜라, 스타벅스, 코인베이스 등 3분기 약세 종목들에서도 국민연금은 1.3∼2.7%씩 보유주식수를 늘렸다. 국민연금이 3분기 들어 새롭게 투자한 기업 중에는 미국 주요 항공사와 전기차 제조업체는 물론 보수 성향 언론매체도 포함됐다. 6월 말 기준 '0'이었던 델타항공과 유나이티드에어라인홀딩스 보유주식수는 9월 말 현재 2만1170주와 6652주로 늘었다. 미국 전기차 제조사 리비안(1만4206주) 라스베이거스샌즈그룹(2만3464주) 등도 국민연금 보유종목 명단에 다시 이름을 올렸다. 미국 보수성향 유력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모회사인 뉴스코프 폭스뉴스의 모회사인 폭스코프 주식도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쳐 각각 8648주와 1만7134주를 신규 보유했다. 국민연금은 록히드마틴(2.8%), RTX(2.8%), L3해리스(4.1%) 등 미국 방위산업체들에 대해서도 보유주식수를 다시 늘리고 있다. 국민연금 미국주식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종목은 엔비디아(7.2%)였고 이어 애플(5.9%), MS(5.7%·74억 달러), 아마존닷컴(3.2%·41억5848만 달러), 메타플랫폼(2.5%·32억8282만 달러) 등 순이었다.
2025-11-06 08:14:40
-
-
한컴, 인텔·LG전자와 '온디바이스 AI 동맹' 구축…내년 초 LG 그램에 '어시스턴트 엣지' 탑재
[이코노믹데일리] 한글과컴퓨터(한컴)가 인텔, LG전자와 함께 '온디바이스(On-Device) AI' 삼각동맹을 구축하고,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하는 AI 솔루션을 내년 초 시장에 선보인다. 이는 인텔이 주창하는 'AI PC' 생태계의 구체적인 결과물이자, 한컴이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을 넘어 AI 기술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이정표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지난 28일 서울 강남 '인텔 익스피리언스 스토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무대에 올라 한컴의 미래 비전을 명확히 했다. 그는 "한컴이 기존 패키지 소프트웨어 중심 사업에서 기술 중심 AI 기업으로 대전환하고 있다"고 선언하며 그 구체적인 결과물을 공개했다. 김 대표는 "우리에게는 이미 한컴 AI 에이전트가 있고 11월에는 프로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또 내년 초에는 인텔, LG와 함께 온디바이스 AI를 선보이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삼각동맹의 결과물은 '어시스턴트 엣지'라는 이름의 온디바이스 AI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LG전자가 내년 초 출시할 차세대 '그램(Gram)' AI PC 신제품에 탑재된다. 심장은 인텔이 1.8나노미터(nm)급 18A 공정에서 생산하는 차세대 프로세서 '팬서레이크(Panther Lake)'가 맡는다. 강력한 AI 연산 능력을 갖춘 칩(NPU) 위에서 한컴의 AI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는 구조다. 김 대표는 직접 '어시스턴트 엣지'의 데모 버전을 시연하며 그 성능을 입증했다. 이 솔루션의 가장 큰 특징은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문서 초안 생성, 요약, 편집 등 핵심적인 AI 기능을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한다는 점이다. 이는 클라우드 기반 AI가 가진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와 통신 지연, 비용 부담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최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사활을 거는 기술 분야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 PC'를, 애플은 '애플 인텔리전스'를 발표하며 온디바이스 AI 생태계 선점 경쟁에 불을 지핀 바 있다. 한컴의 이번 도전은 문서에 대한 철학적 관점의 변화에서 출발한다. 김 대표는 "과거에는 모든 정보가 문서 안에 갇혀 있었다. 문서 형태로 만들어졌지만 모든 데이터의 기반이 되기에 우리는 문서를 데이터 컨테이너로 바라본다"고 역설했다. 이 철학을 기술로 구현한 것이 바로 AI 데이터 추출 솔루션 '데이터 로더'다. 김 대표는 "우리는 문서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매우 안정적인 솔루션을 갖췄다. 어떤 유형의 문서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데이터 로더'는 문서 속 텍스트, 표,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를 AI가 학습 가능한 정형 데이터로 변환하는 핵심 기술이다. 한컴은 지난 2022년 약 1100억원에 인수한 벨기에 PDF 솔루션 기업 아이텍스트(iText)의 기술력을 통합해 이를 완성했으며 심지어 오픈소스로 공개해 글로벌 개발자 생태계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한컴의 AI 비전은 문서에만 머물지 않는다. 김 대표는 "한컴은 AI 사업에서 사이버 보안과 관련해 생체 인증 기능도 갖췄고 디지털 자산 및 관련 기술에 대한 인증 솔루션도 개발하고 있다"며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나아가 "저궤도 위성도 보유하고 있어 인공위성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AI 에이전트를 통해 대시보드나 인쇄 형태로 전달한다"며 위성 사업과의 시너지까지 언급, AI 기술의 적용 범위를 무한히 확장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이번 한컴, 인텔, LG전자의 동맹은 각자의 필요가 완벽하게 맞물린 결과다. 인텔은 자사의 AI 칩 성능을 극대화해 줄 '킬러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고 LG전자는 프리미엄 노트북 '그램'에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강력한 AI 기능을 탑재해야 한다. 한컴은 이들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자사의 AI 기술력을 입증하고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며 AI 기업으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다. 30년 넘게 대한민국 문서 시장을 지배해 온 한컴이 AI라는 새로운 파도 위에서 어떤 항해를 보여줄지 업계의 모든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025-10-29 11:01:48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