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9건
-
-
-
-
-
숨겨진 알짜 생활비 카드의 발견, 하나 '원더카드 Life'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고물가 장기화에 원·달러 환율도 치솟는 가운데 초콜릿, 과자, 음료, 샴푸 등 생필품 가격이 새해부터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숨만 쉬어도 돈이 나간다'는 말, 직장인 자취생이라면 공감할 것이다. 그렇다고 안 먹을 수도, 전기와 가스를 안 쓸 수도 없는 노릇인데 줄줄 나가는 생활비를 그냥 보고만 있어야 할까? 직장인 자취생의 의(로운) '식주'를 책임질 생활비 할인 카드가 있다. 바로 하나카드의 '원더카드 Life'다. 4일 카드 비교 플랫폼 카드 고릴라에 따르면 하나 '원더카드 Life'는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의 주범, 공과금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아파트관리비, 전기세, 가스비를 포함하는 생활요금에 대해 10% 할인받을 수 있다. 요즘 고정비가 되어버린 영상 스트리밍 구독료도 할인받을 수 있다.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웨이브(Wavve), 유튜브 프리미엄 4곳에서 결제 시 40% 할인을 제공한다. 보통 20% 이하로 디지털구독 할인율을 제공하는 것을 참고해 봤을 때 상당히 높은 할인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집순이 자취생이라면, 특히 영상 스트리밍을 2개 이상 구독하고 있다면 이 카드에 주목해야 할 이유다. 단 생활요금과 영상 스트리밍 모두 자동이체로 정기적으로 결제할 경우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직장인의 필수 생활비, 식비와 교통비 할인 혜택도 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직장인의 생활패턴에 최적화된 영역만 선별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먼저 아침을 카페인으로 여는 직장인을 위해 카페 이용금액을 10% 할인해 준다. 할인 대상은 스타벅스, 커피빈, 이디야, 폴바셋, 투썸플레이스, 블루보틀이다. 요즘 직장인들의 단골 점심 맛집, 편의점도 10% 할인을 제공한다. 1만원이 넘는 점심값에 편의점 도시락을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들이 증가한 만큼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편의점 4사에서 모두 10% 할인받을 수 있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역시 10% 할인받을 수 있다. 과도한 배달앱 수수료로 인해 이중가격제가 도입되고 최소주문금액 조건 등으로 배달앱 이용이 부담으로 다가온 요즘, 집에서 밥을 해 먹기 쉽지 않아 배달 음식을 자주 시켜 먹을 수밖에 없는 직장인에겐 식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맞춤 혜택이라 볼 수 있다. 할인 대상은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다. 뚜벅이 직장인이라면 대중교통비 할인도 챙겨보자. 버스, 지하철 이용 요금에 대해 10% 할인을 제공한다. 이 카드로 전월실적 40만원에 맞춰 이용한다면, 한 달에 최대 3만2000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실적에 따라 7만4000원까지도 할인이 가능하다. 직장인 자취생의 주요 생활비 지출에 이만큼이나 집중해서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라 더욱 더 추천한다. 다만 주의할 점은 있다. 실적 제외 대상에 아쉽게도 할인받은 건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할인받지 않은 결제 건으로 지출을 더 해야 실적을 채울 수 있다. 전월실적 기준 카드를 더 써야 하는 것이다. 이런 실적 제외 항목 때문에 아무래도 대학생보다는 고정적인 수입이 있는 직장인이 사용하는 데 수월하고 부담이 덜할 수밖에 없다. 이 카드를 쓸 땐 각 할인 대상의 최소결제 금액과 전월실적에 해당하는 금액만큼만 사용해 추가 지출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 할인 대상별 최소 결제금액에 맞게 월 지출을 계획하고 전월실적을 채운다면 매달 3만2000원 절약, 1년에 38만4000원을 아낄 수 있을 것이다.
2025-01-04 06:00:00
-
호텔 케이크부터 초특가 위스키까지…연말 홈파티족을 위한 편의점 할인카드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편의점 빅 4사(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가 연말을 맞아 조선호텔의 케이크·디저트부터 파티에 빠질 수 없는 와인, 위스키, 밀키트까지 홈파티 필수 먹거리를 출시하고 있다. 카드사들도 합리적인 가격에 홈파티를 즐길 수 있도록 편의점 할인에 나섰는데, 편의점 할인·적립률이 최소 5% 이상인 카드를 모아봤다. 14일 카드 비교 플랫폼 카드 고릴라에 따르면 신한 '신한카드 Mr.Life'는 편의점 4사와 대형마트에서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편의점은 월 최대 5000원, 마트는 월 최대 1만원까지 할인된다. 편의점은 타임(TIME) 할인서비스, 마트는 주말 할인서비스로 적용돼 주중과 주말, 이용 시간대를 잘 확인해야 한다. BC 'BC 바로 클리어 플러스'는 편의점 10% 할인을 적용하는데,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결제한 점심값 7% 할인과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7% 할인도 있다. 홈파티와 점심값 모두 할인받을 수 있어 직장인에게 유용한 카드다. 현대 '현대카드 MX Black Edition2'는 프리미엄 카드로 편의점, 백화점, 카페·베이커리, 온라인 쇼핑, 주유 영역에서 10% 할인받을 수 있다. 여기에 기본적으로 한도 제한 없이 국내외 가맹점에서 1%를 M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어 10% 할인과 1% 적립을 중복으로 적용받는다. 삼성 '삼성카드 taptap O'를 사용하면 자신의 소비 패턴에 맞춰 원하는 혜택 패키지를 고를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패키지 옵션 중 3번과 6번 패키지를 선택하면 편의점에서 7% 할인된다. 최근 핑크빛 파스텔톤으로 플레이트를 변경해 소장하고 싶은 카드로 눈 도장을 찍었는데, 해외 1.3% 적립 혜택도 추가됐다. 신한 '신한카드 처음'은 음식점, 카페, 편의점, 온라인 쇼핑 영역에서 5%를 적립해 준다. 이 카드는 소비 관리 보너스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이번 달 목표 소비 금액 설정 시 500포인트 적립, 이번 달 목표 소비 금액 5만원 이내이면 5000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또 이번 달 일시불 이용 금액을 즉시 결제하면 0.3% 적립해 줘 자취하는 1인 가구 및 대학생의 첫 신용카드로 적합하단 평이다. 삼성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블루(American Express Blue)'는 편의점과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에서 7% 멤버십 리워즈가 적립된다. 여기에 교통비, 통신비는 5% 적립돼 20대 주요 지출에서 혜택을 제공한다. 그래서 20대 추천 카드로 꼽히기도 한다. 단 주의할 점으로는 해당 결제 건들은 전월 실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KB국민 '다담카드'는 편의점 결제 건에 대한 혜택을 받으려면 5가지의 선택 적립 서비스 중 직장인팩을 선택해야 한다. 커피 업종은 7%, 음식점·편의점은 5% 적립 받을 수 있다. 연말에 모임이 많거나, 홈파티를 여는 직장인이 쓰기에 좋은 카드다. NH농협 'NH트래블리체크카드'는 편의점에서 한도 없이 0.6%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이달 이마트24에서 농협카드로 홈파티 아이템 결제 시 30% 할인된다. 우리 'DA카드의정석Ⅱ'는 모든 가맹점 0.8% 할인에 편의점 결제 시 0.5% 추가 할인받을 수 있다. 이달 CU에서는 우리카드로 결제 시 인기 와인 41종을 20% 할인해 준다.
2024-12-14 06:00:00
-
美·日 20% 오를 때 올해 한국만 '마이너스' 성적표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들어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국 증시는 20% 가까이 상승한 반면 한국 증시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도 늘면서 국내 주식시장은 더 외면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는 내년 국내 증시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지수는 지난 12일(2482.57)까지 7.01% 감소했다. 올해 초 2669.81에 시작한 코스피는 7월 11일 2891.35 고점에 오르며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한 달 뒤 블랙먼데이(8월 5일, 이하 현지시간) 여파로 2441.55까지 내려갔다. 이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면서 이달 13일에는 2415.77까지 떨어지며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글로벌 증시는 고공행진 중이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 당선된 후 뉴욕 증시는 연일 기록을 세우고 있는데 지난 11일 뉴욕 증시 3대 지수인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나스닥지수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요 국가들의 대표 주가 지수를 분석한 결과, 미국 다우지수의 연간 상승률은 16.43%로 집계됐다. 올해 3만7715.04로 출발해 지난 7월 17일 4만1198.08에 고점에 올랐다. 이후 전 세계 증시가 폭락한 블랙먼데이에는 3만8703.27까지 하락했지만 반등에 성공하면서 지난 12일 4만3910.98에 마감했다. S&P500지수의 올해 상승률은 26.17%로 △1월 2일 4742.83 △7월 16일 5667.20 △8월 5일 5186.33 △11월 12일 5983.99를 기록하는 흐름을 보였다. 나스닥지수도 12일까지 30.58%(1만4765.94→1만9281.40) 증가하며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의 연간 상승률을 살펴볼 때 대만 자취엔지수가 28.72%,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가 18.29%,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15.52%로 집계됐다. 올해 한국을 제외한 주요 국가에서 모두 20% 가까이 올랐다. 글로벌 증시는 블랙먼데이 후 반등에 성공했지만 국내 주식 시장은 회복하지 못하면서 제2의 블랙먼데이 사태도 우려되고 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보다 부진했던 주식시장은 올해 멕시코, 브라질 정도"라며 "상대 수익률의 하락이 장기화되면서 투자자들도 인내심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매력 없는 국내 증시에 투자자들은 해외로 눈을 돌리는 추세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관액(지난 12일 기준)은 전년 대비 57.6% 급등한 1023억6216만 달러(약 186조3934억원)로 집계됐다. 통계가 집계된 2011년 이래 최대치다. 같은 기간 국내 증시의 예수금 성격의 투자자 예탁금은 51조1952억원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국내 증시 부진 원인에 대해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최근 펀더멘털 요인(기업실적)보다는 모멘텀 요인(거시경제 및 금융시장 변수)에 의한 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원화 가치 절하로 인한 환차손이 발생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고자 매도세가 확대됐고,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국내보다 미국 증시의 투자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투자자의 미국 증시 쏠림 현상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도 나온다. 서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초부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환율의 상승 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면서 "국내 증시도 미국 시장변수에 의해 좌우될 경향이 있고, 국내 기업들의 펀더멘털 요인보다는 미국발 모멘텀 요인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한수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개인투자자의 해외 주식투자 확대 추세는 외환 부문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투자 증가는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최근에는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임박한 시점으로 추세 반전 시 외환부문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선행돼야 국내 증시를 회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투자자 입장에서 주식 거래와 관련된 배당세, 소득세, 증권거래세 등 국내에서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는 세금을 줄여줘야 한다"며 "또한 기업에도 세금 부담을 줄여 실질적으로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가 기업들이 스스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국내 주식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2024-11-14 06:00:00
-
또다시 '체크카드' 열풍…20·30 '요노족'의 선택은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자료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20·30 세대의 소비트렌드는 '요노(YONO)'로 불린다. 요노는 'You Only Need One(필요한 건 하나뿐)'의 약자로 욜로(YOLO·You Only Live Once, 인생은 오직 한 번뿐)와 상반되는 합리적 소비트렌드 지향을 의미한다. 실제 '요노족'은 체크카드 사용을 늘리는 추세다. 고물가 영향도 있지만 해외여행 특화카드인 '트래블카드'의 인기 때문인데, 신용·체크카드 둘 다 운영이 돼도 연회비 없는 체크카드를 선택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8개 카드사(신한·KB국민·현대·삼성·롯데·하나·우리·BC)에서 신규 발급된 체크카드는 총 1억2389만장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억2271만장)보다 118만장 늘어난 수치다. 다시 돌아온 체크카드 붐에 맞춰 요노족을 위한 알짜 체크카드를 모아봤다. 26일 카드 비교 플랫폼 카드 고릴라에 따르면 꼭 필요한 것만 구매하는 요노족에겐 생활비 절약 체크카드로 엔에이치엔페이코 'PAYCO 포인트 카드'를 추천한다. 국내 어디서나 온라인 1%, 오프라인 0.5% 무한 적립해주기 때문이다. 여기에 매월 바뀌는 브랜드에서 추가로 적립 혜택을 제공, 실적이나 연회비 등 조건이 없어서 혜택을 받기 수월한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신한 '신한카드 딥드림 체크'도 어디서나 0.2% 무제한 적립되는 카드로 편의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카드다. 마트, 편의점, 영화, 통신, 커피 등 주요 생활비(DREAM영역)에서는 기본의 3배, 그중 가장 많이 쓴 곳은 5배까지 적립해 줘 오랜 기간 사랑받고 있다. KB국민 '노리2 체크카드'는 커피, 편의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통신,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등 다양한 생활 지출에서 5~10% 할인 또는 1000~4000원 할인을 제공한다. 여기에 KB Pay로 결제하면 2% 할인을 더해준다. 전월실적 기준이 20만원이지만 실적을 채우지 못해도 커피 10% 할인은 제공된다. 실적 20만원에 맞춰 쓴다면 한 달에 2만원까지 할인받는 가성비 최고의 체크카드다. KB국민 '노리체크카드'도 교통, 통신, 영화, 편의점 등 다양한 생활 지출 영역에서 할인되는데 아웃백, 빕스, 스타벅스 등 할인 니즈가 큰 외식·커피 브랜드에서 20% 할인을 제공하는 점이 매력 포인트다.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는 3가지 캐시백 중 1가지를 택할 수 있다. 어디서나 쓰고 싶다면 '모두 다 캐시백'으로 오프라인 0.7%, 온라인 1.2% 캐시백을 받으면 된다. 지출이 명확하다면 자주 쓰는 브랜드에서 7% 캐시백을, 아니면 3번 결제할 때마다 '1000원 즉시 캐시백'을 택할 수도 있다. KB국민 '트래블러스 체크카드'는 해외결제 수수료 면제와 함께 국내 철도, 맛집, 커피 등에서 할인을 제공해 다른 트래블카드와 달리 여행과 일상의 혜택을 모두 챙길 수 있다. 우리 '우리 K-패스(쿠키 체크)'는 뚜벅이 요노족에게 필수인 K-패스와 주요 생활비 캐시백 혜택을 탑재했다. KG모빌리언스 '모빌리언스카드'는 무제한 오프라인 0.5%, 온라인 1% 즉시 페이백을 바탕으로 휴대폰결제 충전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어디서나 결제 가능하다. MG새마을금고 '더나은 체크카드'는 최근 재테크 유튜버·블로거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카드다. 9만원을 지출하면 1만8000원까지 캐시백 받을 수 있다. KB국민 '청춘대로 싱글 체크카드'는 자취하는 요노족의 체크카드로 적합하다. 편의점, 다이소, 쿠팡에서 5% 할인되는데, 매월 싱글데이에는 할인율을 2배로 높여준다.
2024-10-26 06: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