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4.11.23 토요일
흐림
서울 4˚C
흐림
부산 11˚C
흐림
대구 8˚C
맑음
인천 5˚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6˚C
흐림
울산 10˚C
흐림
강릉 7˚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전기차 공장'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전기차 캐즘이 뭐죠?"…中 전기차 내수·수출 모두 증가
[이코노믹데일리] 전 세계적인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중국 완성차 업계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9일 발간한 '중국 전기차 혁신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중국은 전기차 수출과 내수판매 모두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신에너지차 내수 판매량은 2012년 1만3000대에서 2023년 949만5000대로 730배가량 증가했다. 신에너지차는 순수 전기자동차(BEV),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로 분류된다. 중국의 신에너지차는 수출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0년 신에너지차 수출은 7만대에 불과했으나 2023년 120만3000대까지 증가했다. 이는 미국·EU 등 국가들이 중국 관세를 높였음에도 이룬 성과다. 중국 완성차 기업들은 높은 미국·유럽의 관세 장벽을 피해 브라질로 빠르게 타깃 시장을 옮겼다. 이에 올 1~4월 동안 브라질에서 총 4만8000대를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중국은 전기차 내수판매와 수출 모두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 1370만대 중 820만대를 차지해 전기차 판매량 1위에 올랐다. 중국 전기차 시장 성장세를 이끈 대표주자는 전기차 1위 업체 '비야디(BYD)'다. 무협 보고서는 비야디의 성장 이유로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와 많은 인력을 꼽았다. 비야디는 지난해 R&D 투자액으로 395억7000만 위안, 한 화로 약 7조5000억원을 사용했다. R&D 인력도 10만명에 달해 독보적이었다. 투자 규모와 인력을 바탕으로 비야디는 공격적인 해외 거점 확대 전략도 사용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최대 자동차 생산 거점인 태국을 겨냥해 지난 7월부터 4개 모델 출시와 함께 연산 15만 대 규모의 라용 현지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하반기엔 브라질 전기차 공장 완공에 이어 헝가리‧우즈베키스탄‧파키스탄 등으로 해외거점을 확대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산이 품질 낮은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품질이 좋으면서도 가격은 싸다"며 "수출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나라에게 중국은 경쟁자이기에 과감한 R&D 투자와 세제 혜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내 상품의 경쟁력을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2024-09-09 17:21:07
美서 승부수 띄운 韓 배터리 3사···中 배터리 북미 진입에 '촉각'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배터리업계의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중국 배터리업계도 북미 지역에 대한 공략을 저울질하고 있어 국내 배터리업계의 이목이 쏠릴 전망이다. 삼성SDI는 지난달 28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미국 내 합작 공장을 짓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총 35억 달러(약 4조6700억원)를 투입해 27기가와트(GW) 규모의 공장을 지으며, 향후 추가 투자를 통해 36GW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이미 미국 내 조 단위 투자를 확정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4월 7조2000억원을 투입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단독 배터리 공장을 짓겠다고 밝혔으며, SK온은 설비투자금 7조5000억원 대부분을 올해 안에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건설에 사용할 예정이다. 국내 배터리 3사가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는 배경엔 미국의 낮은 전기차 전환율이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미국 전기차 침투율이 8.9%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미국에서 팔린 차량 100대 중 9대가 전기차였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세계 평균치(16%)나 유럽(23.4%)에 비해 월등히 낮은 수치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침투율이 낮은 대신 성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중국 배터리업계에서도 멕시코 등 수출 우회로를 통해 미국 시장을 욕심 내고 있다. 미국에서 중국 회사가 합작 공장을 지을 경우 중국 쪽 지분율이 25%를 넘지 못하게 막는 등 일부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약이 덜한 멕시코에 투자해 미국으로 수출한다는 전략이다. 대표적으로 중국 내 1위 전기차 업체인 BYD는 지난 2월 멕시코 내 전기차 공장 건설을 고려 중이라고 알렸다. 이후 공장 건설 계획이 중단됐다는 블룸버그통신의 보도가 나오자, 스텔라 리 BYD 부사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멕시코 공장 건설과 관련해 결정을 연기한 바 없다"며 투자 추진 의사를 보였다. 국내 배터리업계에서 중국의 북미 투자에 곤두선 이유는 앞서 유럽 시장 패권을 빼앗긴 선례가 있어서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의하면 지난 2021년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3사의 점유율은 70.6%에 달했다. 이후 중국 업체들이 공격적 투자로 현지 생산 물량을 늘리면서 지난해 국내 3사의 점유율은 57%까지 낮아졌다. 배터리업계는 북미 시장에서 중국 배터리업체가 당장 위협이 되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추세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미·중 갈등을 겪으며 미국이 중국에 대해 여러 장벽을 세워둔 만큼 북미 시장에서 중국 배터리업계가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긴 어려울 것"이라며 "다만 미국 대통령 선거 등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2024-09-04 18:40:5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T1, '제우스'와 계약 종료…'제오페구케' 3년 역사에 마침표
2
'전기 먹는 하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SMR이 '해결사' 될 수 있을까?
3
1세대 화장품 기지개 켜는데…네이처리퍼블릭 '뒷걸음질'
4
'기후깡패' 트럼프 당선 이후 기후변화 둘러싸고 흔들리는 국제사회
5
[종합] 현대차 울산 공장 연구원 3명 사망…"원인 규명 조속히"
6
지스타 2024, 4일간의 대장정 성료…새로운 방향성 제시하며 성황리에 막 내려
7
'4만전자' 반도체 경쟁력 하락… 외국인 투자자 "'지배구조 리스크'가 키웠다"
8
['차이나 테크로드'의 역습‧⑤]태양광·배터리·드론까지···미래 '알짜 먹거리' 독식하는 중국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AI 시대, 개발자의 미래와 생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