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맑음
서울 12˚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7˚C
맑음
인천 8˚C
구름
광주 10˚C
맑음
대전 11˚C
흐림
울산 10˚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중국 조선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글로벌 선박 공급망 변화 신호탄…대만 선사가 한화오션 택한 이유
[이코노믹데일리] 한화오션이 대만 최대 선사 에버그린과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한화오션이 대우조선해양 시절부터 쌓아온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에버그린과 직접적인 선박 계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에버그린이 중국 조선소 대신 한국 조선소를 선택한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기술력뿐 아니라 미·중 갈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풀이가 나온다. 한화오션은 17일 세계 최대 해운사 중 하나인 대만의 에버그린으로부터 2만4000TEU급 LNG 이중연료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6척을 수주했다. 이번에 수주한 컨테이너선은 길이 400m, 너비 61.5m에 달하며 2만4000개의 컨테이너를 한꺼번에 운송할 수 있는 초대형 선박이다. 특히 LNG 이중연료추진 엔진, 축발전기모터시스템(SGM), 공기윤활시스템(ALS) 등 한화오션의 최신 친환경 기술이 적용돼 연료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 한화오션은 “이번 계약을 계기로 에버그린과 첫 협력을 맺으며 신규 고객을 확보했다”며 “에버그린이 지속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향후에도 신조 선박 발주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번 첫 계약을 시작으로 장기적인 비즈니스 관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조선업계는 에버그린의 이번 선택이 글로벌 선박 공급망에 변화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라고 보고 있다. 에버그린은 지금까지 주로 중국 조선소와 계약을 맺어왔지만 이번에는 한국의 한화오션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우선 중국 조선소가 LNG 이중연료 추진 기술을 포함한 친환경 선박 건조 역량에서 한국 조선업계에 비해 여전히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LNG 이중연료 추진 선박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글로벌 선사들이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이번 계약은 한화오션이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기회로 평가된다. 한화오션은 대우조선해양 시절부터 LNG 관련 기술을 축적해 왔고 한화그룹 인수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로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특히 LNG 이중연료 추진 기술은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며, 한국 조선 3사가 이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에버그린의 이번 선택이 단순한 기술적 선택이 아니라 미·중 갈등 속에서 지정학적 리스크를 고려한 결정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나온다. 에버그린은 유럽과 미국을 주요 운항 구역으로 삼고 있는 글로벌 선사다. 미국은 최근 몇 년간 중국과의 경제적·기술적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추진하며 대만 기업에도 일정 부분 압박을 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에버그린이 중국 조선소를 배제하고 한국을 선택한 것은 LNG 이중연료 추진 선박을 안정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리스크를 고려한 전략적 선택일 가능성이 크다"며 "향후 미·중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한국 조선소들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2025-03-18 10:56:3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