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56건
-
-
SC제일은행,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
[이코노믹데일리] SC제일은행이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예치 자산 10억원 이상의 고액 자산가(Affluent) 고객들을 위한 대규모 프라이빗 뱅킹 센터를 개설하고 국제적인 수준의 자산관리 비즈니스를 시작한다. SC제일은행은 모기업인 스탠다드차타드(SC)그룹이 진출한 선진 금융 시장에서 이미 검증된 글로벌 프라이빗 뱅킹 모델을 적용한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Private Banking) 센터'를 개설했다고 20일 밝혔다.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는 SC그룹의 주요 시장인 싱가포르, 홍콩, 대만, 아랍에미리트(UAE), 인도, 중국에서 성공한 글로벌 자산관리 센터 모델을 한국에 처음 도입한 것으로, SC그룹의 열여섯 번째 프라이빗 뱅킹 센터이다. 또한 한국은 SC그룹이 진출한 시장 중 일곱 번 째로 글로벌 프라이빗 뱅킹 센터를 운영하게 됐다. 이는 SC그룹의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인 한국에서 부유층(Affluent) 대상 자산관리 비즈니스 확대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는 SC그룹의 의지와도 맞닿아 있다. SC제일은행은 이번 압구정 센터를 시작으로 향후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해 부산 등과 같이 자산가 고객이 집중된 도시에도 순차적으로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에서 열린 오프닝 행사에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1호 고객 박세리 감독을 초대했다. 이 날 행사에는 이광희 SC제일은행장을 비롯한 SC제일은행 경영진과 사외이사, 주디 슈(Judy Hsu) SC그룹 소매금융 및 범중화권북아시아(GCNA) 최고 경영진(CEO)이 참석해 주요 초청 고객들과 함께 리본 커팅 및 센터 투어를 진행했다.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는 총 6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급 라운지와 리셉션 데스크, 대여금고와 함께 11개의 고객 상담 전용 공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센터장을 포함해 22명의 전담 직원(RM)과 4명의 투자, 외환, 보험 전문가 그룹이 상주한다. 자산관리 전문 RM들은 최소 10년 이상의 자산관리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 경영대학원인 INSEAD와 SC그룹의 연계 프로그램인 SC-INSEAD Wealth Academy를 수료한 금융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한편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오픈을 기념해 고객 이벤트를 진행한다. 선착순 200명에게 최대 60만 원의 현금 캐시백을 제공하고, 자산관리 상품 추가 가입 시 최대 1500만원 상당의 현금 캐시백 또는 대한항공 기프트카드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웰컴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오는 28일까지 프라이빗 뱅킹 고객 가운데 전월 대비 최소 1억원 이상 증액해 원화 및 외화 정기예금을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금리 이벤트도 진행한다. 증액 가입 금액을 기준으로, 3개월 만기 원화 정기예금의 경우 △1억원 이상~5억원 미만 연 2.9% △5억원 이상~10억원 이하 연 3.0%의 특별금리를 제공하고 외화 정기예금의 경우 △10만 달러 이상~50만 달러 미만 연 3.7% △50만 달러 이상~100만 달러 이하 연 3.8%의 특별금리를 각각 제공한다.
2025-11-20 15:38:56
-
-
-
우리아메리카은행, 텍사스 오스틴 1호 한인은행 개점식 개최
[이코노믹데일리] 우리은행은 미국 현지법인 우리아메리카은행이 지난 19일(현지시각) 텍사스주 오스틴지점 개점 행사를 가졌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우리아메리카은행은 지난 8월,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과 임직원들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텍사스 오스틴에 한인은행 최초로 지점을 열었다. 이날 개점 행사에는 류형진 우리은행 글로벌그룹장, 이태훈 우리아메리카은행 법인장을 비롯해 이옥희 오스틴 한인회 회장, 마크 듀발 오스틴 아시안상공회의소 최고 경영자(CEO), 데이브 포터 윌리암슨카운티 경제개발청 대표 등 주요 인사와 지상사 및 현지 기업 관계자 60여명이 참석했다. 텍사스주 오스틴은 정보기술(IT)·테크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지역으로, 최근 테슬라(Tesla), 오라클(Oracle), 애플(Apple) 등 대형 글로벌 기업과 삼성전자를 비롯한 한국계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우리아메리카은행은 미 남부지역의 성장성에 일찍이 주목해 2004년 휴스턴 대출사무소(LPO)를 시작으로 2018년 달라스에도 대출사무소를 개설했다. 이후 2020년 달라스 사무소를 지점으로 승격시켰으며, 2022년 조지아주 둘루스지점을 개점하는 등 미국 내 영업망을 지속 확장해 왔다. 한편 우리아메리카은행은 1984년 미국에 첫 진출한 이후 뉴욕, 뉴저지 등 동부지역을 기반으로 캘리포니아, 조지아, 텍사스 등 주요 지역으로 영업을 확장, 현재 22개 지점과 4개 대출사무소(LPO) 등 총 26개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아메리카은행은 △지상사 임직원 급여통장 개설 △신용카드 발급 △홈모기지 △기업 펌뱅킹 연계 서비스를 한인은행 중 유일하게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며 "이 지역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현지 고객들의 금융 니즈 충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11-20 11:07:06
-
-
-
오리온 꼬북칩, 남아공·UAE 시장 진출…5대륙 30개국서 판매
[이코노믹데일리] 오리온 과자 꼬북칩이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아랍에미리트연합국에 진출했다. 아시아,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에 이어 아프리카까지 5대륙에 진출하며 K-스낵로드를 확장하게 됐다. 20일 오리온에 따르면 이달부터 남아공 SPAR의 프리미엄 슈퍼마켓 300여 점포에서 꼬북칩 ‘콘스프맛’, ‘초코츄러스맛’, ‘카라멜팝콘맛’ 등 3종의 판매를 시작했다. SPAR는 케이프타운, 요하네스버그 같은 주요 대도시에서 대형마트 및 슈퍼마켓 체인을 운영하고 있다. 오리온은 지난 6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식품 전시회 ‘아프리카 푸드 쇼’에 참여했다. 꼬북칩 특유의 식감과 다양한 맛으로 당시 전시회에 모인 현지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현재 SPAR 외에도 2~3곳과 입점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오리온은 두바이, 아부다비 등 UAE의 여러 도시에도 꼬북칩 수출을 성사시켰다. 두바이에 본사를 둔 유통업체 GSL을 통해 현지 시장 특성을 고려한 비(非)할랄 마켓을 중심으로 입점을 시작했으며, 향후 인접 국가로 판매망을 넓혀갈 계획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이번 남아공 진출은 아시아를 넘어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대륙까지 ‘K-스낵로드’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꼬북칩을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브랜드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20 09:26:46
-
-
-
-
-
-
G마켓, 라자다 프로모션 매출 4배 폭증
[이코노믹데일리] G마켓이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계열의 동남아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라자다(LAZADA)’에서 가시적인 초기 성과를 내며 글로벌 판매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진행된 대형 프로모션에서 K상품 판매가 급증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G마켓은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4일간 라자다에서 열린 ‘11.11 Biggest Sale of the Year’ 행사에 참여해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5개국을 대상으로 7000여 셀러의 45만개 K상품을 선보였다고 19일 밝혔다. 행사 기간 라자다를 통한 해외 판매 건수는 전주 동요일 대비 319% 증가했고 총 거래액은 292% 뛰었다. 특히 행사 첫날에는 G마켓 상품이 메인 페이지에 노출되며 전주 동시간대 대비 거래액이 780% 폭증했다. 해외 판매 호조는 셀러들의 실적 개선으로 직결됐다. 가공식품을 취급하는 한 셀러는 단일 품목으로 행사 기간 1만개 이상을 판매하며 거래액이 전주 대비 770% 늘었고, 뷰티 카테고리 셀러 역시 같은 기간 50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해 ‘핫 아이템’으로 주목받았다. 카테고리별로는 뷰티 제품의 인기가 두드러졌다. ‘수분크림’이 라자다 5개국 전체에서 최대 거래액을 기록했으며, 가공식품군의 ‘과자·스낵’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 구매 성향도 차이를 보였다. 필리핀이 전체 거래액의 53%를 차지하며 가장 큰 시장으로 부상했고, 이어 싱가포르(18%), 태국(15%), 말레이시아(12%), 베트남(2%) 순으로 나타났다. 필리핀에서는 믹스커피·초코과자 등 가공식품이, 싱가포르에서는 스킨케어·바디크림 등 뷰티 상품이 특히 인기였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유산균 등 건강식품 주문이 많았다. 이번 성과는 G마켓의 글로벌 판매 채널 확대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합작법인(JV)은 G마켓 셀러의 해외 직진출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에 따라 G마켓은 지난 10월 라자다와 공식 판매 제휴를 체결했다. 현재 G마켓 글로벌 판매 참여 셀러는 1만6000명에 달하며, 이 중 7000명 이상이 라자다를 통해 온라인 수출에 나서고 있다. G마켓 관계자는 “라자다 판매 연동 후 한 달 만에 해외 플랫폼 직진출 전략의 효과가 가시화됐다”며 “앞으로도 서비스 고도화와 해외 마케팅 지원을 강화해 K셀러의 글로벌 성장 발판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9 10:5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