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6건
-
올해 증권사 ESG 모범생, '신한·KB·NH투증'…선진 지배구조 도입은 과제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국내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이 공개된 가운데 지배구조(G) 부문에서 국내 증권사 중 신한투자증권과 KB증권, NH투자증권이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 다만 타업권 대비 금융회사들이 다소 부진하면서 선진 지배구조 도입이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28일 한국ESG기준원(KCGS)의 '2024년 ESG 등급 부여 현황'에 따르면 G부문에서 신한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이 증권사 중 최고 등급을 받았다. KCGS ESG 기준위원회는 매년 국내 기업의 ESG 수준을 평가해 등급을 공표한다. ESG 등급은 △S(탁월) △A+(매우 우수) △A(우수) △B+(양호) △B(보통) △C(취약) △D(매우 취약) 순으로 매겨진다. 전 영역에서 평가 대상은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일부) 시장에 상장된 회사로 한정하는데 금융사 지배구조법이 적용되는 비상장 금융회사의 경우 ESG 중 G부문에 대한 평가가 이뤄진다. 증권사들의 올해 G부문 등급 현황은 △신한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이 A등급 △SK·교보·다올투자·대신·메리츠·미래에셋·삼성·신영·키움·하나·iM증권(옛 하이투자증권)·한국투자·한화투자·현대차증권이 B+등급을 획득했다. 또한 △유안타·유진·IBK투자·LS증권(옛 이베스트투자증권)이 B등급 △부국·상상인·유화·한양증권이 C등급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은 모두 ESG위원회를 구성해 지배구조를 관리했다. 신한투자증권은 △ESG 전략·정책을 승인하고 △이행 사항을 관리·감독해 △지배구조 선진화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사항들을 이사회에 보고하는 ESG위원회를 마련했다. 또 ESG전담조직, ESG실무협의회도 구성해 운영 중이다. KB증권은 지난 2020년 국내 증권사 최초로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한 바 있다. ESG 전략 방향성·목표 수립, 정책·주요사항 모니터링 등 최고 의사결정기구의 역할을 수행하며 ESG 경영 활동을 담당해 왔다. NH투자증권은 ESG와 관련한 회사의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이행을 관리·감독하고자 ESG위원회를 뒀다. 또 KCGS의 기업 지배구조 모범 규준인 △임원 윤리규범 제정 △정기적 이사회 개최 △외부감사인 독립성 유지 등을 준수해왔다. 전년보다 등급이 높아진 곳은 3곳으로 삼성증권과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이 B에서 B+로 한 단계 상향됐다. 이들은 지배구조 관행 개선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 체계적으로 실행했다는 점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다. 환경·사회·지배구조를 종합한 ESG 통합부문(상장사 한정)에서는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A등급을 획득해 증권사 중 가장 우수한 평가를 얻었다. 미래에셋증권은 3년, 한화·NH투자증권은 2년 연속 A등급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 발생한 신한투자증권의 1300억원대 파생상품 손실 금융사고로 향후 등급이 조정될 수 있다는 우려한다. KCGS가 분기별로 실시하는 ESG 등급 조정에서 내부통제가 미흡하다고 판단하거나 금융당국의 제재가 확정됐을 경우 등급을 하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iM뱅크(옛 대구은행)는 계좌 불법개설 관련 금융위원회 제재로 G부문에서 A에서 B+로 하향됐다. 또 우리은행도 같은 부문에서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및 관련 내부통제 미흡을 근거로 A에서 B+로 조정됐다. 향후 신한투자증권의 금융당국 제재 수준에 따라 등급이 재평가될 가능성도 있다. 또 증권사 중 4가지(통합, 환경, 사회, 지배구조) 모든 부문에서 A+ 등급을 받은 곳이 전무하면서 ESG 경영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통합부문 A+등급을 받은 경우도 전체 23사 중 금융사는 신한지주 한 곳뿐으로 타업권 대비 부진한 실정이다. KCGS 관계자는 "금융사 지배구조 평가의 경우 등급 구간별 기업 분포는 전년 수준과 비슷하나 상위권 기업에서조차 기후리스크 식별 등 국제기준 수준의 선진 지배구조 체계 도입이 미흡해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24-10-29 06:00:00
-
-
-
-
-
-
-
-
-
-
-
-
-
문 닫는 증권사들…자산관리·디지털 강화 주력
[이코노믹데일리] 증권사 지점 수가 5년 사이 30% 넘게 줄어든 가운데 증권사들은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과 디지털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곳이 늘고 있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61개 증권사의 국내 지점 수(1분기 기준)는 735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3개 줄어 7.9% 감소한 수치다. 국내 증권 점포 수는 1076곳이었던 지난 2019년에 비해 5년 사이 31.69% 떨어지면서 감소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국내 지점 수(1분기 기준)는 △미래에셋증권·KB증권 각각 69곳 △신한투자증권 64곳 △한국투자 59곳△유안타·NH투자증권 각각 55곳 △하나증권 49곳 △대신·한화투자증권 각각 40곳 △삼성증권 29곳 △ 40곳 △교보증권 25곳 △하이투자증권 21곳으로 집계됐다. 1년간 증권사 지점 중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NH투자증권으로 1년간 14곳 폐점하며 20.29% 감소했다. 다음으로 많이 준 곳은 신한투자증권이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3월 75곳에서 올해 64곳까지 감소했다. 특히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는 10곳이 감소하며 13.51% 급감했다. 이렇듯 점포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임대료, 인건비 등 비용 절감을 위해 점포를 폐점하거나 권역별로 통합하는 전략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올 1분기 당기순이익 59억원 손실을 기록한 SK증권은 최근 구조조정에 따라 10개 지점에 점포 통폐합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NH투자증권은 지난해 7월 구로자산관리(WM)센터를 서울 여의도 파크원 NH금융타워 영업부금융센터로 통폐합했다. KB증권도 같은 기간 광화문지점, 신설동지점, 종로지점을 통합해 광화문금융센터로 이전 오픈했다. 일반 고객의 지점 방문이 줄면서 우량고객(VIP)을 위한 전문 특화 점포로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증권사도 늘고 있다. 고액 자산가 거주단지인 서울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상가에는 미래에셋증권(투자센터 반포), 삼성증권(반포WM지점), 한국투자증권(반포PB센터), 유안타증권(GWM반포센터), NH투자증권(반포 프랜치), KB금융(KB골드앤와이즈더퍼스트 반포센터) 등 올해까지 6곳이 입점했다. 특히 KB골드앤와이즈더퍼스트 반포센터는 KB금융이 지난 5월 은행과 증권을 통합해 VIP를 위한 복합 점포로 개점한 곳이다. 추가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사용자 수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비대면에 주력하고자 증권사들은 MTS, HTS 관리·유지 보수를 위한 전산운용비를 지난해 611억원(7927억원→8538억원) 증대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고액 자산가의 경우 아직까지 지점에 방문해 프라이빗뱅커(PB) 직원에게 맞춤형 WM 서비스를 받기를 희망하는 수요가 있다"며 "비대면 이용자 수도 매년 상승세를 보여 증권사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투트랙 전략으로 경쟁력 키우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2024-07-25 06: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