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7건
-
-
-
-
-
한화·LIG넥스원, UAE 방산전시회 참가… 중동 집중 공략
[이코노믹데일리] 한화, LIG넥스원 등 국내 대표 방산기업들이 중동·아프리카 최대 규모 방산전시회에 참가해 통합 방공망 시스템 등 앞선 기술을 선보이며 'K방산' 역량을 선보인다. 한화와 LIG넥스원은 오는 17~21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IDEX 2025’에 참가한다고 13일 밝혔다. 1993년 시작된 IDEX는 올해 65개국·1350개 업체가 참여하는 중동·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 방위산업 전시회다. 한화와 LIG넥스원은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시스템(L-SAM)을 해외 방산전시회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한화는 유도탄, 발사대, 발사관, 다목적 레이다를 생산하고, LIG넥스원은 이를 통합 운영할 통제소를 만든다. 한화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등 2개 계열사가 참여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통합전시관을 운영한다. 한화는 L-SAM과 함께 지대공 요격미사일, 안티드론 시스템 등 다양한 고도를 방어할 수 있는 통합 방공망을 선보여 글로벌 대공망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이 밖에도 한화에어로는 이번 전시회에서 국산 엔진을 탑재한 K9 자주포 실물을 전시한다. 한화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도를 자랑하는 0.25m급 소형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을 중동 시장에 처음 선보인다. SAR 위성은 야간 및 악천후에서도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해 주목받고 있다. LIG넥스원 역시 중거리·중고도 요격체계 '천궁Ⅱ', 장사정포요격체계 'LAMD' 등을 선보이며 중동 시장 확대에 나선다. 다양한 모듈형 장비를 탑재 가능한 무인수상정(USV), 유도무기, 미래 병사용 스마트 무장 등도 소개한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K방산의 지평을 넓히는 것은 물론 수출국가와의 신뢰를 더욱 돈독히 하는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2-14 09:25:45
-
NH투자증권, 'NHIS Korea Corporate Day' 콘퍼런스 실시
[이코노믹데일리] NH투자증권이 아시아 지역 주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NHIS Korea Corporate Day 2025' 콘퍼런스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행사는 11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싱가포르 콘래드 센테니얼호텔(Conrad Centennial)과 홍콩 아일랜드 샹그릴라(Island Shangri-La) 호텔에서 진행된다. 콘퍼런스에는 기아, 제이앤티씨, 카카오페이, 포스코홀딩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현대글로비스, 현대자동차, LS일렉트릭 등 국내 주요 산업 상장사 9곳이 참석했다. 이들은 미팅을 통해 기업을 홍보하고 글로벌 투자 수요 저변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아시아 투자기관인 알리안츠(Allianz), 캐피탈 글로벌(Capital Global), 싱가포르투자공사(GIC), 피델리티(Fidelity) 등 40곳이 참여한다. NH투자증권은 관세정책, 금리인하 등 글로벌 거시경제 및 정치환경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 기업들의 전망과 사업 방향성을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NH투자증권은 지난 2005년 이후 뉴욕,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런던, 싱가포르, 홍콩 등 해외 주요 금융 거점에서 기업활동(IR) 행사를 실시해 왔다. 이번 행사로 상장사의 신규 글로벌 투자수요 발굴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02-11 18:26:38
-
-
-
-
올해 대기업 M&A 투자 40% 급감…"글로벌 불안·내수 침체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대기업의 올해 인수합병(M&A) 투자 규모가 40%가량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처럼 1조원 이상 대형 M&A가 성사되긴 했지만, 대체로 글로벌 시장 불안과 내수 침체 등으로 M&A 투자를 줄인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8일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361곳을 대상으로 2022년부터 지난 13일까지의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M&A 투자 규모는 총 8조5808억원으로 지난해 14조1297억원 대비 39.3%(5조5489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까지 완료된 M&A 건수도 총 50건으로 전년 87건보다 42.5% 급감했다. 이는 지난 2022년 M&A 건수가 150건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3분의1로 쪼그라든 수치다. 올해 1조원 이상 대형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가 유일할 정도로 주요 대기업은 M&A 투자에 인색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22년 15건, 2023년 8건 등 그간 공격적 M&A를 통해 영토를 확장했던 카카오는 올해 테인스밸리 인수 1건에 그쳤다. SK(2022년 7건, 2023년 6건)와 네이버(2022년 6건, 2023년 3건) 역시 올해는 눈에 띄는 M&A를 하지 않았다. 올해 가장 큰 M&A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를 인수하겠다고 공시한 후 4년 만에 기업 결합 최종 승인을 받았다. 지난 11일 신주인수 대금 잔금 8000억원을 마지막으로 총 1조5000억원을 납입해 지분 63.88%를 인수했다. 총 인수 금액은 2020년 매입한 전환사채 3000억원을 포함한 1조8000억원이다. 다음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대규모 M&A를 실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과 함께 싱가포르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부유식 해양 설비 전문업체 ‘다이나맥’ 지분 95.15%를 8207억원에 인수했다. 추후 잔여 지분 취득을 위한 강제매수 절차가 이어질 예정이다. 조사 대상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M&A를 진행한 곳은 LS일렉트릭이었다. LS일렉트릭은 KOC전기(592억원), 티라유텍(385억원), 한국이엔엠(108억원), 씨엑스솔루션(18억원), 엘펨스(2억원) 등 총 5곳을 인수했다. 뒤이어 E1, 사조대림, SK케미칼, DB손해보험, LX인터내셔널, 티케이지태광 등 6곳이 각각 2건의 M&A를 진행했다. 이 외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33곳이 올해 1건씩 M&A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인수가 완료되지 않았거나 취득 예정일이 미정인 거래는 제외됐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한온시스템 인수는 일정 중이다. 우리금융지주의 동양생명·에이비엘생명보험 인수, 한화시스템-한화오션의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 등 굵직한 거래도 대기 상태다.
2024-12-18 15:31:58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