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안개
서울 7˚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6˚C
안개
인천 7˚C
맑음
광주 11˚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1˚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해고'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반도체 제국'이 어쩌다···24년 연속 세계 1위 인텔 '굴욕'
[이코노믹데일리] 한때 '반도체 제국'으로 불리며 1992년부터 2016년까지 24년간 반도체업계 세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던 인텔이 최근 안팎으로 굴욕을 경험하고 있다. 인텔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전 세계 임직원 15%에 해당하는 1만5000명을 대상으로 해고를 통보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26억7000만 달러(약 3조6500억원) 손실을 내며 역대 최악의 실적을 거둔 탓이다. 창사 이래 최대 규모 구조조정 조치이기도 하다. 내부 사정도 좋지 않은데, 외부에선 퀄컴의 '인텔 인수설'이 퍼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같은 날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종료에 맞춰 퀄컴이 인수를 추진할 것"이라 보도했다. 퀄컴은 지난해 기준 모바일 기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한 업체다. PC의 절대 강자 인텔이 모바일 강자에게 인수 당하는 굴욕적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 반도체 제국 인텔의 위기는 시장 흐름에 대한 오판에서 시작됐다. 지난 2006년 스티브 잡스 애플 전 최고경영자(CEO)는 인텔에 아이폰용 AP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으나, 인텔은 당시 모바일 시장의 성장성을 낮게 보고 거절했다. 이후 2011년 모바일 시장이 PC 시장을 추월하며 인텔은 큰 기회를 놓치게 됐다. 이후에도 인텔은 매출 중심 경영을 이어가며 독보적인 기술 경쟁력을 상실했다. 인텔의 실적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 연속 성장했으나, 반도체 공정은 2014년 14나노미터(1㎚= 10억분의 1m)를 끝으로 2020년까지 6년간 사실상 정체됐다. 그 사이 삼성전자, TSMC 등 경쟁사는 공정에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인텔은 2021년 매출로 790억 달러(약 107조원)를 벌어들이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나, 지난해엔 매출이 540억 달러(약 74조원)까지 떨어졌다. 불과 2년 사이 250억 달러(약 34조원)나 감소한 것이다. 다만 인텔도 반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 대규모 감원도 경영 효율화 조치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지난 15일엔 중앙처리장치(CPU) 경쟁사인 미국 AMD와 '반도체 설계 표준' 제정을 위한 공동 자문단을 만드는 등 주변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 오는 24일 미국을 시작으로 최신형 CPU인 15세대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도 출시할 예정이라 향후 신형 CPU에 대한 시장의 반응과 인텔의 행보가 주목된다.
2024-10-17 20:40:04
틱톡, 콘텐츠 검토 AI로 대체… 수백 명 해고 통보
[이코노믹데일리] 틱톡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검토 작업을 확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11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번 해고는 수백 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주로 콘텐츠 검토에 참여했던 직원들이 그 대상이다. 말레이시아 지사에서만 최대 7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틱톡은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사용자 콘텐츠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방식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콘텐츠 검토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들의 역할이 줄어들면서 해고가 불가피해졌다. 로이터 통신은 "틱톡은 지난 9일 이메일을 통해 수백 명의 직원에게 해고 통보를 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해고 조치의 주요 타격 대상은 말레이시아 지사였다.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약 7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틱톡 측은 감원 규모를 축소해 발표하며 "말레이시아 지사에서는 500명 미만의 직원이 해고됐다"고 밝혔다. 틱톡은 모기업 바이트댄스 산하로 전 세계 200개 이상의 도시에서 11만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틱톡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글로벌 운영 모델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이번 구조조정을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틱톡은 AI를 활용한 콘텐츠 검토 작업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다음 달 추가로 더 큰 규모의 구조조정을 계획 중이다. 이 같은 조치는 콘텐츠 검토 과정에서 인간의 개입을 줄이고 자동화 시스템의 비중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 측은 이러한 변화가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해고 사태에 대해 전문가들은 "AI 도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가 현실로 나타난 대표적 사례"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인력 재편이 더 많은 업계에서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전환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SNS 플랫폼의 급속한 변화가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는 만큼 향후 틱톡의 AI 전환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24-10-11 20:54:5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