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995건
-
-
주담대 변동금리 또 인상…10월 코픽스 0.05%p↑
[이코노믹데일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57%로 전월(연 2.52%) 대비 0.05%p 증가했다. 지난 9월 당시 전월보다 0.03%p 오르며 1년 만에 반등한 뒤 연이어 상승세를 지속했다. 반면 잔액 기준 코픽스는 2.89%에서 2.84%로 0.05%p 내려갔다. 코픽스는 농협, 신한, 우리, SC제일, 하나, 기업, 국민, 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를 말한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해 코픽스도 상승 또는 하락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규 취급액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후순위채 및 전환사채 제외) 수신상품의 금리 등을 바탕으로 산정된다. 2019년 6월 새로 도입된 신(新)잔액기준 코픽스 역시 지난 9월 2.49%에서 지난달 2.48%로 0.01%p 하락했다. 신 잔액 코픽스에는 기타 예수금과 차입금, 결제성 자금 등의 금리도 추가로 포함된다. 시중 은행들은 이르면 오는 18일부터 신규 주담대 변동금리에 이날 공개된 코픽스 금리를 반영할 예정이다. 국민은행의 주담대 신규 취급액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6개월)는 기존 연 3.88~5.28%에서 3.93~5.33%로 0.05%p 높아진다. 우리은행 역시 연 3.77~4.97%에서 3.82~5.02%로 오르게 된다.
2025-11-17 16:14:18
-
-
-
-
"1년 만에 250만명"…올리브영N 성수, 'K뷰티 체험'으로 외국인 이끌다
[이코노믹데일리] “올리브영N 성수가 오픈 1년 만에 방문객 250만명을 기록하며, K뷰티 체험·구매가 동시에 이뤄지는 ‘K뷰티 핵심 허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CJ올리브영은 17일 서울 성수동에서 ‘올리브영N 성수’ 오픈 1주년을 기념해 성수 상권에 미친 긍정적 영향화 주요 성과를 공유했다. 올리브영N 성수는 연무장길 ‘팩토리얼 성수’ 건물 전체 5개 층을 리뉴얼해 조성한 올리브영의 첫 대형 혁신 매장이다. 총 1400평 규모의 공간에 테스트존·케어존·멤버스 라운지 등 체험 중심 콘텐츠를 층별로 배치했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작년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올리브영N 성수 누적 방문객은 250만명을 돌파했다. 매장 내 뷰티케어 서비스 이용 고객은 3만명을 넘었고, 이 가운데 외국인 비중은 54%에 달했다. 피부·두피 진단 등 진단형 서비스에서는 외국인 비중이 87%까지 올랐다. 체험 수요가 외국인 관광객 유입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회원 전용 ‘몰리스 멤버스 라운지’ 이용 고객도 4만명을 넘어섰다. N성수가 제공하는 체험형 서비스는 총 6개로 △파인 유어 컬러 △퀵 터치업 △맨즈브로우 바 △스킨스캔은 현장 예약제로 운영되고 △홈케어 레슨 △픽 유어 바이브는 사전예약으로 진행된다. 특히 스킨스캔·픽 유어 바이브 등 스킨케어 카테고리 프로그램은 주 평균 예약 건수가 300건에 달하며, 이용 고객 중 외국인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매일 오전 10시 오픈 전 형성되는 대기줄도 외국인 방문 패턴을 보여준다. K뷰티 진단·체험 서비스를 받기 위해 개점 전부터 줄을 서는 오픈런 현상이 자리 잡았다. CJ올리브영에 따르면 매장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일본·동남아·중국 순으로 비중이 높다. 일본인 고객은 트렌드 제품을 다양하게 소량 구매하는 경향이 강하고, 중국인은 선호 브랜드 중심의 대량 구매가 많다. 동남아·영미권 고객은 발색 테스트 등 체험형 소비가 두드러졌다. CJ올리브영은 올리브영N 성수를 ‘고정된 포맷’이 아닌 ‘실험형 매장’으로 규정했다. 회사 관계자는 “N성수는 새로운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실험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성공한 요소는 표준 매장과 해외 매장으로 확산할 것”이라며 “국내외 소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K뷰티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올리브영은 N성수를 K뷰티 트렌드를 검증하고 확산하는 ‘리테일 허브’로 지속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N성수의 성과를 포함한 전반적인 수요 확대로 올해 실적도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CJ올리브영의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1조55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2% 증가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매출은 전 분기보다 각각 약 22%, 37% 늘었고 순이익은 1516억원으로 31.8% 증가했다. 누적 기준 1∼3분기 매출은 4조2531억원, 순이익은 4219억원으로 각각 20.8%, 25.2% 성장했다. 체험형 매장 확대와 온·오프라인 채널의 동반 성장, 외국인 관광객 유입 증가가 실적 개선을 이끈 핵심 요인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성수 상권의 성장과 외국인 유입 확대는 K뷰티가 가진 체험·구매의 힘이 결합된 결과”라며 “내년에도 새로운 트렌드를 제안하고 브랜드 실험 기능을 강화해 K뷰티의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7 13:55:21
-
-
중산층 고혈만 쥐어짜나…은행권, 이례적 '금리 역전' 논란
[이코노믹데일리] 중·저신용자 대상 포용금융을 강조하는 정부 기조를 반영한 은행들이 최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늘리는 동시에 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문턱을 높이자, 신용점수가 높은 사람이 저신용자보다 금리가 높은 '금리 역전' 현상이 현실화돼 논란이다. 17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9월 신규 가계대출 기준 NH농협은행의 신용점수 601∼650점 대출자의 평균 금리는 연 6.19%로 600점 이하 대출자(5.98%) 대비 0.21%p 높았다. 지난 8월 당시엔 600점 이하 대출자에게 적용된 평균 금리는 7.10%였으나, 한 달 새 이자 부담이 1.12%p 감소된 것이다. 다른 은행도 상황은 같았다. 신한은행의 601∼650점 대출자의 금리는 7.72%로, 600점 이하(7.49%)보다 0.23%p 높았다. IBK기업은행 역시 601∼650점 대출자에게 600점 이하(4.73%)보다 0.4%p 높은 5.13%의 금리를 책정했다. 이 외에도 SC제일은행의 경우 600점 이하(4.80%)보다 601~650점(4.85%) 대출자의 금리가 높았고, iM뱅크(600점 이하 5.18%, 601~650점 8.72%)와 제주은행(600점 이하 7.37%, 601~650점 8.51%)도 마찬가지였다. 통상 은행 대출은 보유 자산, 소득, 연체 이력 등을 기준으로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상환 능력이 좋다고 판단돼 저신용자보다 대출금리가 낮게 책정되는데, 이런 원칙이 뒤집힌 것이다. 업계에선 정부의 포용금융 압박으로 은행들이 취약계층 대출 상품의 이자혜택을 늘린 영향이 크다고 분석한다. 앞서 KB국민은행은 서민금융 상품 'KB 새희망홀씨II'의 신규 대출 금리를 10.5%에서 9.5%로 낮췄고, 신한은행도 '새희망홀씨대출 특별지원 우대금리'를 1.0%p에서 1.8%p로 올린 바 있다. 은행권의 금리 역전 현상은 더 심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앞서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는 향후 5년간 생산적·포용금융에 약 508조원 지원하는 방안을 내놨는데, 포용금융 정책이 확대되면 취약계층 대출 금리 역시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이번 주 금융지주 임원들을 소집해 포용금융 실천계획도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현재 금융제도는 가난한 사람이 비싼 이자를 강요받는 '금융계급제'"라고 언급하며 소득이 낮은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 개혁 필요성을 또다시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이처럼 취약계층에 쏠린 정책들은 성실 상환자 역차별이란 우려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금융사가 감당해야 하는 위험 비용이 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성실히 빚을 갚아온 사람 등 일반 금융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전가될 수 있단 지적이다. 아울러 저신용자와 저소득자의 차이에 대한 지적도 일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점수는 소득외에도 상환 이력이나 신용거래 조건 등을 종합해 산출하기 때문에 소득 수준과 신용점수는 비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즉 저신용자에게 흘러가는 자금이 저소득자를 위한 당초 정책 취지에서 벗어난단 것이다.
2025-11-17 10:57:51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