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8 일요일
흐림
서울 21˚C
흐림
부산 18˚C
흐림
대구 22˚C
흐림
인천 15˚C
흐림
광주 21˚C
흐림
대전 21˚C
흐림
울산 19˚C
흐림
강릉 19˚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인프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오픈AI, '벤처 역대 최대' 59조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기업가치 442조원 달성
[이코노믹데일리] 오픈AI가 400억 달러(약 59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3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단일 투자로는 벤처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오픈AI의 기업 가치는 지난해 10월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3000억 달러(약 442조원)로 평가됐다. 이번 투자 유치는 미국의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의 일환으로 드러났다. 오픈AI는 지난 1월 소프트뱅크,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과 함께 스타게이트를 설립해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주도한다. 소프트뱅크는 먼저 7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투자자 컨소시엄이 25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한다. 컨소시엄은 마이크로소프트(MS), 알티미터 매니지먼트, 스라이브 캐피털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연말까지 300억 달러 규모의 2차 투자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 소프트뱅크는 225억 달러, 컨소시엄은 75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다. 다만 2차 투자는 오픈AI가 영리기업으로 전환을 완료해야만 진행될 예정이다. 오픈AI가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기업 재편을 완료하지 못하면 투자 규모가 축소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매주 수억 명이 챗GPT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번 투자는 AI를 일상에서 더 유용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AI는 인류 미래를 정의하는 힘"이라며 "오픈AI와 파트너십을 확장해 우리의 공동 비전인 AI 잠재력 극대화를 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픈AI는 추론 기능을 더한 '오픈 웨이트' 언어 모델을 수개월 내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픈 웨이트 모델은 일부 코드와 가중치를 무료로 공개하는 방식으로 모델 구조와 사용한 데이터 등 대부분의 내용을 공개하는 오픈소스 모델과는 차이가 있다. 오픈AI가 핵심 코드를 공개하는 것은 'GPT-2' 이후 처음이다. 최근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저비용·고성능 모델을 오픈소스 방식으로 선보이면서 전략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올트먼 CEO는 지난 1월 "우리가 (오픈소스와 관련해)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며 AI 모델 관련 기술 일부를 공개할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그는 "모델 출시 전 안정성과 유용성을 기준으로 평가해 철저히 검토할 예정"이라며 "아직 결정해야 할 사항이 남아 있다. 피드백을 모으고 초기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기 위해 개발자 이벤트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25-04-01 18:01:02
AI 반도체 유니콘 리벨리온, 日 도쿄 법인 설립… 현지 공략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AI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팹리스) 유니콘 리벨리온이 첫 해외 거점으로 일본 도쿄에 법인 설립을 마치고 현지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이번 법인 설립은 현지 기업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술 지원을 긴밀하게 제공하며 신규 고객 발굴에도 적극 나서기 위함이다. 일본 사업 총괄은 베인앤드컴퍼니를 거쳐 무신사의 초기 일본 사업을 담당했던 김혜진 전략 리드가 맡는다. 이와 함께 리벨리온은 일본 내 사업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현지 법인장 선임을 추진 중이며 기술 전담 인력도 함께 채용해 사업 추진력과 고객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리벨리온은 현재 일본 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CSP), 통신사 등과 진행 중인 AI 반도체 도입 개념검증(PoC) 등 사업 협력에 더욱 속도를 내고 이를 통해 일본 시장 내 입지를 확고히 다져나간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일찍이 일본 AI 인프라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여 현지 벤처캐피털(VC) DG 다이와 벤처스(DGDV)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를 발판 삼아 현지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잠재 고객을 확보해왔으며 지난해에는 일본에서 첫 매출을 기록하는 성과도 거뒀다. 최근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일본 AI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일본 정부 역시 AI 슈퍼컴퓨팅 관련 보조금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 등 일본 AI 데이터센터 산업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리벨리온은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AI 반도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커진 일본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일본 AI 데이터센터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 AI 반도체를 직접 개발하고 이를 실제 데이터센터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PoC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은 손에 꼽힌다”며 “리벨리온은 이미 현지 기업들과 사업협력을 진행하며 기술 협력을 상당 부분 진척시킨 만큼 이제 법인 설립으로 현지 시장에 깊숙이 들어가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일본을 시작으로 사우디 법인 설립도 연내 완료하며 글로벌 AI인프라 시장에서 리벨리온의 존재감을 확실히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31 10:19:0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3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4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5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6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7
[르포] 대한항공, AWS 서밋 서울 2025서 '생성형 AI 콜센터' 시연
8
[송도, 약속된 도시의 역설] ④ 아직도 개발 중…도시는 어디로 가고 있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1등의 관리는 다르다"…코웨이의 남다른 고객정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