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14˚C
흐림
부산 14˚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13˚C
맑음
광주 15˚C
맑음
대전 16˚C
흐림
울산 11˚C
구름
강릉 10˚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DB형'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갈아타기 가른 수익률…미래·하나證 선두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금융업계 퇴직연금시장에서 업권별 가르마를 탄 것은 수익률이었다. 증권업계가 타 업권 대비 가장 높은 장기수익률을 보이며 적립금 성장을 뒷받침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과 하나증권은 우수한 장기수익률로 두각을 나타냈다.금융업권 퇴직연금 적립금·원리금 비보장 상품 운용수익률 [제작=아주경제 편집부] 5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14곳(대신·미래에셋·삼성·신영·신한·우리투자·유안타·하나·한국·한화·현대차·iM·KB·NH투자증권)의 확정급여형(DB)·확정기여형(DC)·개인형퇴직연금제도(IRP)의 원리금비보장 상품 평균 수익률은 7.75%로 집계됐다. DB형은 퇴직연금 적립금을 사용자가 운용하고 근로자는 사전 확정된 퇴직급여를 수령하게 된다. 개인이 직접 운용하는 DC형과 IRP는 근로자의 선택에 따라 적립금과 운용 손익이 결정된다. DB나 DC형으로 퇴직연금이 설정된 사업장 근로자라면 노후 대비를 위해 추가로 IRP에 가입할 수 있다. IRP는 소득이 있는 모든 취업자라면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다. 같은 기간 업권별 퇴직연금 원리금 비보장 상품 평균 수익률을 비교할 때 은행권(12곳)이 7.34%, 보험권(16곳)이 4.76%로 증권업권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상품별로 살펴볼 때 DB형에서는 유안타증권이 10.17%로 수익률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유안타증권은 7억원의 적립금을 보유하면서 규모 자체가 적었다. 뒤이어 △KB증권 9.73%(6473억원) △NH투자증권 8.78%(1994억원) △삼성증권 7.97%(8433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DC형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이 12.17% 수익률을 기록하며 선두를 달렸다. 현대차증권(11.84%), 삼성증권(11.67%), 한국투자증권(9.82%), 한화투자증권(9.52%)이 그 뒤를 쫓았다. IRP에서도 미래에셋증권이 12.48% 수익률을 보이며 상위에 올랐고 삼성증권(11.99%), 유안타증권(11.72%)이 뒤를 이었다. 원리금비보장 상품으로 10년 장기수익률 기준으로 살펴보면 하나증권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증권은 DB형에서 5.5%, DC형에서 4.55% 평균 수익률을 보이며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하나증권의 DB형 3·5·7·10년 장기수익률은 모든 증권사 중 가장 높았다. 개인 IRP에서는 대신증권의 장기수익률이 4.6%로 14곳 증권사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증권사의 퇴직연금은 이 같은 높은 수익률로 인해 작년 적립금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증권사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해 4분기 기준 103조7368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업계 적립금 운용액이 10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최초로, 전년 동기(86조7397억원) 대비 19.6% 급증했다. 전문가는 장기 수익률이 퇴직연금 시장에서 증권사로 자금이 이동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올해도 머니무브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증권사의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다른 금융기관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보니 증권사가 퇴직연금 수익률 향상에 큰 노력을 한 결과로 보인다"며 "증권사 수익률이 은행보다 높기 때문에 고객들이 몰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이어 "퇴직연금은 수익률이 높아야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증권사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높으면 계속해 머니무브가 진행되겠지만 수익률이 떨어지게 되면 선택의 폭이 넓은 은행 상품으로 현금이 이동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타 업계와 비교할 때 고수익을 내는 증권사에서 적립금이 순증하면서 선전했다"며 "몇몇 증권사는 작년 말 연금 조직을 개편하거나 상품 출시, 이벤트 운영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02-06 06:00:00
치열한 퇴직연금 시장…'名家' 증명한 하나은행
[이코노믹데일리]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10년 안에 9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은행들의 자금 확보 경쟁이 치열한 양상이다. 그 가운데 '자산관리 명가(名家)'로 불리는 하나은행이 2년 연속 전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액이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강자임을 입증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약 42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178조7913억원으로 전년 동기(155조3394억원) 대비 23조4519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10월부터 퇴직연금 실물(현물)이전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서 은행들은 고객 유치를 위해 힘쓰고 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이란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 현재 가입된 퇴직연금 상품 그대로 다른 금융사에 옮길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중도해지에 따른 비용, 손실 발생을 막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유지한 채 금융사만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은행권이 퇴직연금 시장 선점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하나은행이 지난해 전 금융권 퇴직연금 증가율 1위를 기록해 눈길을 끈다. 금감원의 통합연금포털 퇴직연금 비교공시를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0조2000억원으로, 이는 전년 대비 6조6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구체적으로 IRP는 3조원, DC형은 1조9000억원, DB형은 1조7000억원 늘었다. 특히 IRP와 DC형의 경우는 원리금 비보장 상품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도 은행권 1위를 차지했다. 앞서 하나은행은 2023년에도 퇴직연금 적립금이 6조4000억원 증가하면서 전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하나은행 연금사업단 관계자는 "당행을 믿고 소중한 연금자산을 맡겨주신 고객들 성원 덕분에 2년 연속 성과를 이뤄낼 수 있었다"며 "올해도 저희만의 차별화된 상품 구성과 세심한 연금자산관리 서비스로 퇴직연금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실제 하나은행은 2021년 은행권 최초로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판매 개시한 데 이어 2022년에는 은행권 최초 채권 직접투자를 도입했고, 퇴직연금 전 업권에서 유일하게 원금보존추구형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상품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퇴직연금 투자 선택지를 제공 중이다. 아울러 1대1 맞춤형 연금자산관리 서비스를 위해 대면·비대면 채널 모두 강화했다. 퇴직연금 고객을 위한 전문 상담센터인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서울·경기·대구·부산 등 전국 7개 주요 거점에 설치했고, 올해도 자산관리에 최적화된 다양한 퇴직연금 상품 안내와 연금 설계를 받을 수 있는 전용 공간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을 위해 △카카오톡 '퇴직연금 스마트 안내장' △모바일 은퇴설계 솔루션 '하나더넥스트 연금플래너' △모바일 연금진단 서비스 '하나원큐 연금닥터' 등 쉽고 편리한 비대면 퇴직연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국내 퇴직연금 시장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노후 대비를 위한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늘면서 점차 확대될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퇴직연금 시장이 연평균 약 9.4% 성장하고 있어 오는 2033년엔 940조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5-01-23 06:00:00
퇴직연금 실물이전 한 달째…은행에 밀린 증권사 연말 역전할까
[이코노믹데일리]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났다. 올해 퇴직연금 시장에서 은행이 수익률 우위를 보인 가운데 연말 증권사가 역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42곳 가운데 은행권의 퇴직연금 수익률(3분기 기준)이 가장 높았다. 퇴직연금은 △사측이 정한 운용 방법에 따라 정해진 퇴직급여를 수령하는 확정급여형(DB)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 방식을 결정하는 확정기여형(DC) △근로자가 퇴직 시 수급하는 퇴직 일시금을 직접 적립·운영할 수 있는 개인형 퇴직연금(IRP)으로 구분된다. 지난 10월 31일부터 시행된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는 퇴직연금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예금, 상장지수펀드(ETF), 펀드 등 금융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 그대로 다른 금융회사로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다. 본래 금융회사를 옮기려면 모두 매도하고 현금으로 이전해야 했다. 단 실물이전 제도는 동일한 유형에서만 이전이 가능하다. 퇴직연금 원리금 비보장 상품 중 DB의 수익률은 3분기 기준 △은행 10.04% △보험 9.77% △증권 9.27%로 순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원리금 비보장 DC 수익률은 △은행 13.06% △증권 12.42% △보험 11.24%, IRP 수익률은 △은행 12.98% △증권 12.53% △보험 11.33%로 은행과 증권사 간 1% 안팎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본래 퇴직연금 수익률은 증권사가 강자였다.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 업권별 연간 수익률은 △증권 7.11% △은행 4.87% △보험 4.5%를 기록했다. 증권사들은 퇴직연금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보여왔다. DB형 원리금비보장 상품에서 KB증권(적립금 6064억원)이 12.63%로 증권사 중 3분기 기준 최고 수익률을 달성했다. 이어 NH투자증권(적립금 1763억원)이 11.74%로 2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DC형 수익률은 하나증권(적립금 738억원)이 14.42%, 미래에셋증권(적립금 6조7375억원)이 13.77% 순으로 높았다. IRP 유형에서 우리투자증권(적립금 1836억원)이 18.37%의 수익률로 선두를 차지했고 삼성증권(적립금 2조8624억원)이 13.85%로 뒤를 이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 이후 증권사가 은행을 다시 앞설 수 있을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증권사는 연말을 맞아 이전 고객을 확보하고자 사활을 걸고 나섰다.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 퇴직연금의 신규 가입·납입 수요가 연말에 몰리면서 자금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우리투자증권과 iM증권은 오는 31일까지 타 금융기관에서 연금 자산을 이전하는 고객에게 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대신증권도 같은 기간 IRP 이전 신청을 한 고객 선착순 3000명에게 스타벅스 모바일 쿠폰을 증정하며 IRP나 개인연금계좌에 연금을 납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2000명에 지원금을 지급한다. KB증권은 내년 1월 31일까지 퇴직연금 계좌에 순입금액별로 배달의민족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하며, 연금저축계좌에 순입금한 고객 전원에게 금액에 따라 신세계백화점 상품권을 증정한다. 특히 KB증권은 은행이나 보험사에서 자사로 퇴직연금을 이전할 경우 이전 금액을 1.5배로 인정한다. 신한투자증권도 내년 3월 31일까지 타사 IRP 계좌에서 100만원 이상 이전할 경우 고객 전원에서 백화점 상품권 3만원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운영한다. 전문가는 퇴직연금 납입 규모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수익률이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홍원구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말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4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며 "현재까지의 적립금 증가에는 가입자 증가로 인한 사용자 납입액 증가가 주요한 역할을 했으며 향후 수익률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커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현재 퇴직연금사업자(KB·NH·대신·미래에셋·삼성·신영·신한·유안타·하나·iM·한국·한화·현대차·우리·DB) 14곳이 실물이전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하나증권은 전사적 차세대 전산시스템 구축으로 내년 1월 20일부터 실물이전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2024-12-03 06:00:00
퇴직연금 갈아타기 D-1…증권사 수수료 진짜 최저는 어디?
[이코노믹데일리] 한 차례 미뤄졌던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증권사들이 최저 수수료율을 내세우면서 고객 유치 경쟁에 돌입했다. 30일 금융감독원·고용노동부에 따르면 31일부터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44개 중 37개 사에서 실물이전 제도(퇴직연금 갈아타기)가 시행된다. 퇴직연금은 △사측이 정한 운용 방법에 따라 정해진 퇴직급여를 수령하는 확정급여형(DB)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 방식을 결정하는 확정기여형(DC) △근로자가 퇴직 시 수급하는 퇴직 일시금을 직접 적립·운영할 수 있는 개인형 퇴직연금(IRP)으로 나뉜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는 퇴직연금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예금, 상장지수펀드(ETF), 펀드 등 금융상품을 환매하지 않고 그대로 다른 금융회사로 갈아탈 수 있는 제도다. 본래 금융회사를 옮기려면 모두 환매하고 현금으로 이전해야 했다. 단 동일한 제도 내에서만 이전이 가능하다. 고용노동부의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를 살펴보면 금융투자업계의 지난해 수수료(총비용부담률)는 0.333%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의 퇴직연금 비교공시 사이트에서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발표한 일시금수령 계좌 평균 수령액(1645만원)을 기준(10년 이상)으로 비교해 보니 증권사 중 DB형은 대신증권의 수수료율이 0.300%(운용관리 0.165%, 자산관리 0.135%)로 가장 낮았다. 같은 조건으로 DC형의 수수료를 비교할 때도 대신증권이 0.338%(운용관리 0.188%, 자산관리 0.150%)로 낮은 수수료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화투자증권이 0.340%(운용관리 0.255%, 자산관리 0.085%)로 뒤를 이었다. 가입자가 부담하는 개인형 IRP에서는 신한·유안타·하나·한화·NH투자증권의 수수료율이 0%로 집계됐다. 사용자가 부담하는 개인형 IRP에서도 신한·유안타·한화투자증권은 수수료율을 0%로 적용하고 있었다.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지난해 기준 382조)가 급성장하면서 제도 이전을 앞두고 증권사들의 수수료 경쟁을 더욱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삼성증권은 업계 최초로 퇴직연금 운용관리 수수료와 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펀드 보수는 별도)인 '다이렉트 IRP'를 선보였다. 또 오는 12월 31일까지 삼성증권 DC형으로 100만원 이상 이전한 고객에게 신세계 모바일상품권 3만원을 제공하는 'DC 신규이전' 이벤트도 진행한다. IRP에 100만원 이상 순입금하는 고객을 위한 'IRP 순입금' 이벤트도 병행한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2021년 5월부터 기존 최대 0.25%였던 자산·운용 관리 수수료를 무료로 적용해 오고 있다. IRP 고객의 경우 지점이나 모바일 개설 상관없이 관리 수수료를 평생 무료로 제공한다. 신한투자증권은 오는 31일까지 '신한투자증권 SAVE IRP' 이벤트도 운영해 순입금액에 따라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신세계 상품권을 증정한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열린 우수 퇴직연금사업자 발표에서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는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의 약 64%인 약 276조원을 이전 대상으로 우선 추진한다"며 "앞으로 DC에서 IRP로도 실물 이전이 가능하도록 범위를 확대하여 가입자의 선택권 확대와 퇴직연금 사업자의 서비스 질 향상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2024-10-30 18:30:4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7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