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건
-
-
-
-
골드밴 ① 고품질 특장차 업계 선도기업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자동차 그룹의 특수 차량 제조 협력 파트너인 (주)골드밴은 유통 물류 분야 다양한 기업들의 특장차 공급 파트너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골드밴은 경기도 화성시에 약 1만3223㎡(약 4000평) 규모의 생산 공장과, 전북 완주군 테크노밸리에 약 2만5785㎡(약 7800평) 규모의 현대자동차 특장차 OEM 생산 공장을 운영하며 고품질의 특장차를 생산하고 있는 기술혁신 기업이다. 1999년 설립 이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차량용 샌드위치 패널을 개발한 이래, 특유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기반으로 △내장탑차 △냉동탑차 △윙바디 △냉동 및 냉장 윙바디 △마필 운송 차량 △접이식 리프트 게이트 등 다양한 특장차 등 물류 운송 장비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고성장을 일궈냈다. 특히 3.5t(톤) 화물차 기준 국내 최초로 가로×세로 1100㎜의 팰릿 10개 적재가 가능한 초장축 윙바디와 5t급 메인 냉동기를 적용한 냉동 탑차는 탁월한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한 대형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 전용 윙바디와 냉동탑을 독점 제조·공급하고 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강점으로는 특장차 품질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패널을 직접 생산하는 독자 설비를 개발해 국내 최고 수준의 품질을 확보하며 패널 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초경량이면서도 탁월한 압축 강도를 자랑하는 골드밴의 샌드위치 패널은 차량의 기계적 하중을 극대화하고, 냉동 효율을 높이는 기술력이 집약된 제품이다. 다양한 제품의 안전하고 신속한 운송에 쓰이는 내장탑차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며, 냉동탑차도 적재 제품의 용도에 맞춰 다양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전천후 화물 운송이 가능한 윙바디는 간편한 윙 개폐 장치 작동과 자유로운 윙 위치 조절 기능을 통해 편리성을 높였다. 냉동 및 냉장 윙바디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돼 신속한 상·하차와 수송 과정에서 변함없는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수차량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마필 운송 차량은 최적의 수송 설비 장착 및 환경 제공을 통해 안락한 운송을 실현하며, 접이식 리프트 게이트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하차 작업의 효율을 높여준다. 골드밴은 △쾌적한 공장 환경 △첨단 장비 △통합 관리 시스템 △엄격한 품질 관리로 가장 이상적인 특장차를 제조·공급하고 있다. 또한 자기인증 안전 검사장으로 지정된 사업장에서 완성된 차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검사 시설을 구축해 꼼꼼하게 검증하고 있다. 패널에서 완제품까지 일괄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골드밴은 각종 화물 차량의 모델별로 사용 목적과 용도, 사양, 사용 환경에 맞게 특장차의 기획-설계-제조-AS에 이르기까지 최적화된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골드밴은 업계 최초 벤처기업 선정에 이어 자동차 관련 제품의 해외 수출에 필요 요건인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과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ESG 경영을 통해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이행,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친환경 소재 및 기술 개발, 지역사회 공헌 활동 등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김수덕 골드밴 대표이사는 "고객이 지향하는 특장차의 본질을 이해하고, 시대를 초월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목표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특장차 업계의 선두 주자로서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최상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12-20 10:00:00
-
IBK기업은행, 중소기업 ESG 경영 지원
[이코노믹데일리] IBK기업은행은 '기본에 충실한 지속가능은행'이라는 비전 아래 ESG 경영을 적극 실천하며, 중소기업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전 사업 분야와 경영 활동에 ESG 가치를 내재화하고, 중소기업의 ESG 전환 지원을 확대하며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는 등 ESG 경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금융공공기관 최초로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신설해 기후, 환경 및 ESG 리스크 전반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또한 2040년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하고 단계적 이행을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금융권 최초로 환경경영·에너지경영 국제표준인증(ISO 14001, ISO 50001)을 동시에 획득하며 ESG 경영 실천을 위한 체계적인 내부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정책금융기관 최초로 '탈석탄금융 경영원칙'을 수립해 석탄발전 관련 산업에 대한 신규 PF·채권 투자를 배제하는 등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기후 리스크를 평가·관리하고, 탄소중립 목표 국제 인증(SBTi)을 획득해 ESG 경영의 공신력을 확보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과 확산을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맞춤형 ESG 교육, 무료 자가진단 도구, ESG 컨설팅 등을 통해 ESG 경영 역량 강화를 돕고 있다. 특히 EU 공급망 실사 등 규제 대응이 시급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 컨설턴트의 현장 실사를 통한 ESG 평가 등급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ESG 정밀 진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를 통해 금융기관 최초로 중소기업 CEO들의 구인난 해소를 지원하고 있으며, 누적 22만2994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IBK기업은행은 'OECD 지속가능 중기금융 플랫폼' 공동의장으로 참여해 중소기업의 지속가능금융 지원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기후변화공개협의체(TCFD), 탄소회계금융협의체(PCAF) 등 주요 ESG 경영 표준 도입 및 이니셔티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ESG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탄소배출권 최고 전문기관인 World Bank와 협력 체계를 구축해 신사업 동력을 확보하고, 탄소가격 시스템 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4-12-17 06: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