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8 화요일
맑음
서울 13˚C
맑음
부산 15˚C
맑음
대구 14˚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9˚C
구름
대전 11˚C
구름
울산 11˚C
맑음
강릉 11˚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KTOA'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통신사와 금융사 협력...AI 사업 구상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금융사들이 알뜰폰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는 인공지능(AI) 사업을 위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목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지난 21일 서울 강남구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서 열린 '미디어 스터디데이'에서 김민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금융사들의 알뜰폰 시장 진출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금융사들이 통신사의 이용자 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사업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사업을 육성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KB국민은행 등 금융사가 자체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데이터를 직접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김 교수는 "금융사가 통신사와의 협업 없이 알뜰폰 사업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보했다"며 "금리 우대 쿠폰 등 다양한 혜택을 통해 고객을 멤버십으로 묶어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금융사는 고객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휴 서비스를 연결하거나 가족 결합 서비스 등으로 금융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이런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고려하면 금융사의 알뜰폰 요금제가 더 저렴해질 가능성도 크다"고 전망했다.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금융사의 협력도 활발하다. SK텔레콤은 글로벌 AI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해외 기업과 연맹을 맺고 있으며, KT는 사물인터넷(IoT)과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B2B(기업 간 거래)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 교수는 AI 산업이 무한한 가능성을 지녔지만 학습 데이터와 GPU(그래픽 처리 장치)의 부족으로 효율성 문제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금융사들이 데이터를 축적해 AI 사업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2024-11-22 09:25:1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7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8
마비노기 모바일, 차트 역주행 성공… '협력·생활형 콘텐츠' 통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