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4건
-
-
-
T1 우승 쾌거 이을 VCT1, 22일 개막… 7일부터 티켓 예매
[이코노믹데일리] 발로란트 최강자를 가리는 VCT 퍼시픽 리그의 새로운 시즌, 스테이지 1이 오는 22일(토) 서울에서 막을 올린다. 최근 T1이 마스터스 방콕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VCT 퍼시픽 리그의 위상을 드높인 가운데, 리그 열기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라이엇 게임즈는 5일, VCT 퍼시픽 스테이지 1이 오는 22일(금) 서울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개최되며 7일(금) 낮 12시부터 티켓 예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VCT 퍼시픽은 발로란트 이스포츠 국제 리그 중 하나로, 아메리카스, EMEA, CN 리그와 함께 발로란트 최강팀을 가리는 국제 대회인 마스터스와 챔피언스 진출의 중요한 관문이다. 특히 스테이지 1 상위 3팀에게는 오는 6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마스터스 토론토 진출 자격이 주어진다. VCT 퍼시픽은 최근 국제 무대에서 연이어 낭보를 전하며 강력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지난 2일 T1이 마스터스 방콕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4년 하반기 마스터스 상하이에서는 젠지가 우승하는 등 VCT 퍼시픽 소속 팀들이 두 개의 마스터스에서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이번 VCT 퍼시픽 스테이지 1과 스테이지 2는 모두 서울 상암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진행된다. 에스플렉스센터는 2023년 VCT 퍼시픽 리그 출범 당시 개최 장소이자 최근 킥오프 토너먼트가 열렸던 곳으로 발로란트 팬들에게 친숙한 공간이다. 특히 스테이지 1 개막을 기념하여 에스플렉스 11층에는 VCT 퍼시픽 팬들을 위한 특별 공간인 ‘전략가 곰’과 ‘지원봇’ 라운지가 마련될 예정이다. 오는 22일 개막하는 VCT 퍼시픽 스테이지 1은 5월 11일(일)까지 약 7주간 진행되며 총 12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 타이틀과 마스터스 토론토 진출 티켓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참가팀들은 킥오프 성적에 따라 두 개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별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각 그룹 상위 4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플레이오프에서 최종 3위 안에 든 팀은 마스터스 토론토에 진출하게 된다. VCT 퍼시픽 스테이지 1 티켓은 인터파크 티켓 사이트 및 글로벌 인터파크(해외 팬 대상)를 통해 7일 낮 12시부터 예매할 수 있다. 온라인 중계는 유튜브(VCT KR), SOOP(VALORANT공식), 치지직(발로란트 코리아) 채널에서 한국어 해설과 함께 시청할 수 있다.
2025-03-05 17:46:18
-
-
-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2월 20일 개막…DRX-T1 출전, 챔피언십 향한 열기
[이코노믹데일리] 2025년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의 서막을 알리는 국제 대회, 마스터스 방콕이 오는 2월 20일 태국 방콕에서 화려하게 개막한다. 라이엇 게임즈는 5대5 대전형 캐릭터 기반 전술 슈팅 게임 ‘발로란트’의 첫 국제 e스포츠 행사인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을 2월 20일부터 3월 2일까지 10일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마스터스 방콕은 VCT 퍼시픽, 아메리카스, EMEA, CN 등 4개 국제 리그의 킥오프 토너먼트에서 우승 및 준우승을 차지한 최정상 8개 팀이 격돌하는 무대다. VCT 퍼시픽 킥오프에서는 DRX가 T1을 3대 2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며 VCT 아메리카스에서는 G2 이스포츠가 센티널즈를, VCT EMEA에서는 팀 바이탈리티가 팀 리퀴드를, VCT CN에서는 에드워드 게이밍이 트레이스 이스포츠를 각각 제압하며 마스터스 방콕 진출 티켓을 거머쥐었다. 마스터스 방콕에 출전하는 8개 팀은 스위스 스테이지를 통해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한 첫 번째 관문을 넘게 된다.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에서는 VCT 퍼시픽 킥오프 우승팀인 DRX와 VCT 아메리카스 준우승팀 센티널즈가 맞붙는다. 또한 퍼시픽 준우승팀 T1은 EMEA 우승팀 팀 바이탈리티와 격돌하며 아메리카스 우승팀 G2 이스포츠는 CN 준우승팀 트레이스 이스포츠, CN 우승팀 에드워드 게이밍은 EMEA 준우승팀 팀 리퀴드와 각각 1라운드 경기를 치른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2월 20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며 2승을 먼저 달성하는 팀이 플레이오프 스테이지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각 라운드마다 승패가 동일한 팀끼리 대결하며 1라운드에서는 동일 지역 팀 간의 맞대결은 피한다. 총 3라운드로 진행되는 스위스 스테이지를 통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4팀이 최종 결정된다. 플레이오프 스테이지는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 첫 번째 대진은 무작위 추첨으로 결정되며 하위조 결승과 최종 결승은 5판 3선승제로 치러진다. 마스터스 방콕은 트위치, 유튜브, 틱톡 라이브를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될 예정이다. 시청자들을 위한 특별한 혜택도 마련됐다. 생방송 시청자에게는 ‘크리스피’ 칭호와 ‘툭툭’ 스프레이가 제공될 예정이다. 마스터스 방콕은 단순한 국제 대회를 넘어 발로란트 챔피언십 파리 진출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라이엇 게임즈는 챔피언십 포인트 시스템을 통해 챔피언십 진출 팀을 결정하며, 마스터스 방콕은 챔피언십 포인트 획득의 주요 무대다. 올해 챔피언십 포인트 배분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라이엇 게임즈는 마스터스와 각 국제 리그 플레이오프에 더 많은 포인트를 배정하고 국제 리그 스테이지를 독립적으로 운영한다. 정규 시즌 경기 승리 시 1포인트가 주어지는 것은 동일하지만, 킥오프, 플레이오프, 마스터스와 같은 주요 이벤트에서는 상위 팀들에게 더 많은 포인트가 배분된다. 특히 마스터스 방콕과 마스터스 토론토는 상위 6개 팀까지 챔피언십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변경됐다. 이러한 변화는 시즌 초반 부진하더라도 후반 라운드를 통해 챔피언십 진출을 노릴 수 있도록 설계된 전략적 요소다.
2025-02-12 13:37:09
-
-
-
-
VCT 퍼시픽 킥오프, T1-붐 이스포츠 빅뱅으로 개막
[이코노믹데일리] 라이엇 게임즈가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 퍼시픽의 개막전 대진표를 확정했다. 새해 들어 처음 열리는 킥오프 대회는 1월 18일 서울 상암 콜로세움에서 막을 올린다. 전력을 대폭 보강한 T1이 개막전에서 붐 이스포츠와 맞붙는다. T1은 '버즈' 유병철, '메테오' 김태오, '실반' 고영섭을 영입하며 전열을 가다듬었다. 최근 레드불 홈 그라운드 대회 우승으로 상승세를 입증한 T1의 새 시즌 첫 경기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시즌부터는 VCT 퍼시픽 어센션 우승팀 농심 레드포스와 준우승팀 붐 이스포츠가 합류하면서 총 12개 팀이 경쟁을 펼친다. 농심 레드포스는 개막일 제타 디비전과의 경기를 통해 리그 데뷔전을 치른다. 2024 챔피언스 출전팀이었던 젠지, DRX, 탈론 이스포츠, 페이퍼 렉스는 시드 배정을 받아 2라운드부터 참가한다. 대회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며 하위조 결승과 최종 결승은 5전 3선승제, 나머지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치러진다. 대회 티켓 예매는 12월 27일 오후 2시부터 인터파크를 통해 시작된다. 해외 팬들을 위한 영어, 일본어 티켓 구매 페이지도 별도로 운영된다. 경기는 유튜브 VCT KR, SOOP 발로란트 공식 채널, 치지직, 네이버 이스포츠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될 예정이다.
2024-12-23 17:37:18
-
라이엇 게임즈, 2024년 VCT 성과 발표...발로란트 역대 최고 기록 경신
[이코노믹데일리] 라이엇 게임즈는 2024년 발로란트 이스포츠 공식 리그인 VCT(VALORANT Champions Tour)가 역대 최고의 성과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고 19일 밝혔다. 2024년 VCT는 퍼시픽, 아메리카스, EMEA, 중국(CN) 등 4개 국제 리그를 중심으로 대규모 성장세를 보였다. 아메리카스 리그의 최대 동시 시청자 수는 전년 대비 53% 증가한 81만 명을 기록했고 한국이 포함된 퍼시픽 리그는 24% 상승한 48.1만 명에 달했다. EMEA 리그는 40.9만 명(41% 증가), 중국 리그는 180만 명이라는 압도적 성과를 냈다. 국제 대회에서도 눈부신 기록이 이어졌다. 마드리드와 상하이에서 열린 마스터스 대회는 각각 최대 동시 시청자 수 310만 명, 역대 최다 현장 관객 수를 경신했다. 특히 상하이 대회는 개최 22초 만에 모든 티켓이 매진됐다. 서울에서 개최된 발로란트 챔피언스는 역대 최고 성과를 기록하며 대미를 장식했다. 세계 16개 팀이 참여한 이번 대회는 최대 동시 시청자 수 913만 명, 순 시청자 수 4438만 명을 기록하며 이전 기록을 5배 이상 경신했다. VCT는 경제적 성과에서도 큰 진전을 이뤘다. 디지털 상품 판매를 통해 약 636억 원(4430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으며 참가 팀들에게 총 1125억원(7840만 달러)을 분배했다. 후원과 상품 판매, 팬 멤버십 프로그램 등 추가적인 수익 모델이 더해지며 VCT는 독자적인 경제 생태계를 구축했다. 한편 VCT는 2025년 1월 각 국제 리그의 킥오프 대회를 시작으로 새로운 시즌에 돌입한다. 한국의 젠지, DRX, T1, 농심 레드포스 등이 참여하는 퍼시픽 리그는 1월 18일 개막한다. 레오 파리아 발로란트 이스포츠 글로벌 총괄은 “플레이어와 팬들의 열정에 감사하며 2025년에도 더 큰 성장을 이루고 새 기록을 함께 경신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4-12-19 21:08:1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