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요일
맑음 서울 15˚C
맑음 부산 18˚C
맑음 대구 18˚C
맑음 인천 14˚C
흐림 광주 17˚C
맑음 대전 16˚C
흐림 울산 17˚C
맑음 강릉 17˚C
흐림 제주 18˚C
금융

지난해 사업보고서 제출 기업 76% ‘비재무사항 기재 소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호민 기자
2019-06-03 08:20:1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기업의 76%가량이 비재무 사항에 대해 미흡하게 공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12월 결산법인 중 1899곳(상장사 1763개사, 비상장사 136개사)의 2018년 사업보고서에 대해 비재무사항 중점점검 7개 항목을 점검한 결과 1건 이상의 기재 미흡이 발견된 회사가 1441곳(75.9%)에 달했다고 2일 밝혔다.

특히 2건 이상의 기재 미흡이 지적된 회사도 480개사로 25.2%를 차지했다.

점검 항목별로 보면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MD&A)은 100곳의 점검 대상 회사 중 23곳만 적정하게 기재했다. 이에 따라 미흡률은 77%로 가장 높았다.


MD&A는 경영진이 회사의 경영 상황에 대해 투자자의 이해를 돕고자 회사 재무상태, 영업실적, 사업전망 등을 공시하는 것이다.

이 항목에서 발생한 기재 미흡 사례로는 중대한 자금지출의 목적이나 예상 지출 내역 미기재, 영업활동 현금흐름 같은 유동성 변동의 원인 미기재 등이 있었다.

또 점검 항목 중 이사회 구성 및 활동내용도 미흡률이 65.8%에 달했으며 임직원 보수(59.0%), 특례상장사 사후실적(57.1%) 등 순으로 미흡률이 높았다.

다만 제약·바이오 기업의 주요 계약 및 연구개발 관련 항목 미흡률은 36.4%에 그쳐 작년 3분기 때의 65.0%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제약·바이오 산업 특유의 투자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가 사업보고서에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기재되도록 모범사례를 마련해 작년 3분기에 도입했으며, 이번에 이 모범사례가 제대로 적용됐는지를 따져 기재 적정 또는 미흡으로 판단했다.

한편 2481곳(상장사 2089개사, 비상장사 392개사)을 대상으로 벌인 재무사항 점검에서는 684곳(27.6%)의 사업보고서에서 기재 미흡 사항이 발견됐다.

재무사항 기재 미흡 비율은 2016년 50.3%, 2017년 33.7% 등 점차 개선되는 추세다.

금감원은 이번에 미흡 사항이 발견된 기업에 대해서는 자진 정정을 요구하고 특히 기재 미흡 사항이 많거나 주요 공시를 누락한 경우에는 회계 심사 대상 선정시 참고할 방침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씨티
롯데캐슬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삼성전자
DB손해보험
db
한국투자증권
교촌
한화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지주
스마일게이트
SC제일은행
카카오
KB국민은행
한화
삼성화재
우리은행
NH투자증
NH
신한투자증권
포스코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