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9˚C
구름 인천 4˚C
흐림 광주 6˚C
흐림 대전 5˚C
흐림 울산 7˚C
흐림 강릉 5˚C
흐림 제주 11˚C
생활경제

고물가에 '중국산 김치' 수입액 20% 급증…사상 최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아령 기자
2023-01-25 09:15:49

지난해 김치 수입액 1억6940만달러…전년比 20.4%↑

수입액 증가율 2010년 이후 최고치

[사진=김아령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김치 수입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여파 등 국산 김치의 가격도 오르면서 물가 부담이 가중됐기 때문이다. 이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산’ 김치를 찾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25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전년보다 20.4% 증가한 1억6940만달러(2092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수입액 증가율은 지난 2010년(53.8%) 이후 12년 만의 최고다.
 
김치 수입액은 2019년 1억3000만달러에서 2020년 1억5000만달러로 증가했다가 2021년 1억4000만달러로 줄었다. 수입 김치는 모두 중국 김치다.
 
그러나 지난해 중국산 김치 수입액이 20% 넘게 증가하며 1억6000만달러 선을 처음 넘어섰다. 김치 재료 가격이 올라 국산 김치 가격도 덩달아 인상돼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김치를 찾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상과 CJ제일제당의 경우 지난해 김치 가격을 10%가량 인상했다.
 
지난해 수입 김치의 t당 가격은 643달러로 수출 김치(3425달러)의 18.8% 수준이었다. 중국산 수입 김치가 수출 'K-김치' 가격의 5분의 1도 안 됐다.
 
김치 수입량이 늘어나면서 먹거리 안전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우려도 업계 안팎에서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원산지 표시 위반으로 적발된 중국산(2169건) 품목 중 72%는 배추김치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에서 팔리고 있는 중국산 김치 제품에 합성 감미료가 기준치 이상으로 포함돼 있는 지 여부와 인체 유해성 등에 대한 검사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수입김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입 김치에 해썹(HACCP) 준수를 단계적으로 의무 적용하고, 원산지 허위 표시 등 단속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NH
신한은행
하이닉스
롯데캐슬
SC제일은행
카카오
db
교촌
경주시
하나금융그룹
한화
신한투자증권
DB손해보험
삼성증권
포스코
씨티
한국투자증권
스마일게이트
삼성화재
kb금융그룹
한화투자증권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삼성전자
신한금융지주
NH투자증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