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3대 수출품이 돌아왔다…"올해 수출 최대 예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성상영 기자
2024-06-24 13:56:22

수출, 전년比 9.1% 증가한 6900억 달러

반도체·자동차·선박 호조에 수지도 개선

서울 강남구 한국종합무역센터 한국무역협회 현판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한국종합무역센터 한국무역협회 현판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우리나라의 수출이 지난해보다 9% 넘게 증가하며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할 것이 전망이 나왔다. 3대 수출 품목 중 하나인 반도체가 두 자릿수 비율로 늘어나고 또 다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와 선박 역시 성장세가 예상됐다.

한국무역협회(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올해 수출액이 전년(2023년) 대비 9.1% 늘어난 6900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입액은 1년 전보다 1.0% 증가한 6490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10억 달러 흑자로 예측됐다.

수출 전망치는 무역협회가 지난해 말 전망한 7.5%보다 1.6%포인트(P) 상향됐다. 올해 수출 실적이 무역협회 예상과 맞아 떨어진다면 이는 역대 가장 많은 금액이 된다. 수출·입을 합친 무역 규모(1조3390억 달러)는 2022년에 이은 두 번째가 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올해 수출 성장의 가장 큰 동력으로 반도체를 포함한 정보기술(IT) 기기와 자동차, 선박을 꼽았다.
 
2024년 연간 수출입 예상 실적과 하반기 수출입 전망 자료무역협회
2024년 연간 수출입 예상 실적과 하반기 수출입 전망 [자료=무역협회]
반도체는 인공지능(AI) 산업 급성장과 중국의 IT 제품 수요 증가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31.8%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컴퓨터(53.0%), 디스플레이(10.3%), 무선통신 기기(8.0%) 등도 글로벌 IT 경기 회복에 힘입어 효자 수출품 지위를 되찾을 것으로 기대됐다.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침체) 우려에도 하이브리드·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3.7% 성장이 전망됐다.

선박은 올해 하반기 유럽과 아시아 선사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예정돼 14.3%의 수출 실적 증가가 예상됐다.

그러나 철강 수출은 상반기 단가 하락과 수요 부진 탓에 지난해보다 0.8%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보고서는 하반기 들어 중국의 감산과 수요 회복으로 수급 상황이 개선되며 상반기 대비 양호한 수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봤다.

조상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원장은 "5월까지 우리 수출은 주요국 대비 가장 빠르게 증가하며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이러한 흐름을 유지한다면 올해 최고 수출 실적은 물론 양대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의 수출 신기록 달성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롯데케미칼
이마트_데일리동방
KB손해보험
삼성증권
삼성전자 뉴스룸
KT
신한은행
SK하이닉스
여신금융협회
메리츠증권
대신증권_이코노믹데일리
KB증권
종근당
농협
우리은행
DB그룹
한국토지공사
신한라이프
LGxGUGGENHEIM
신한금융그룹
동아쏘시오홀딩스
엘지
한국투자증권
셀트론
우리은행
M-able
농협
하나증권
신한카드
KB국민은행
하나금융그룹
KB금융그룹2
쿠팡
롯데카드
롯데캐슬
교보증권
포스코
미래에셋자산운용
NH
수협
이편한세상
KB금융그룹3
한국조선해양
KB금융그룹1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