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상반기 서울 1순위 청약경쟁률 167대 1... '6.4대 1' 지방과 격차 심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석진 기자
2024-06-26 15:26:46
서울시내 한 아파트 단지 전경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아파트 단지 전경[연합뉴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분양시장에서 서울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작년보다 3배 이상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경쟁률이 떨어져 서울과 지방간 부동산 시장 양극화 양상이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2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반분양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67.09대 1로 집계됐다.
 
총 642가구 공급에 10만7271명이 몰려든 결과로, 작년 상반기 51.86대 1, 작년 하반기 58.31대 1과 비교하면 경쟁률이 3배 이상 치열해진 것이다.
 
당첨 시 수십억원의 시세 차익이 예상돼 '로또 청약'으로 불린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과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의 분양이 경쟁률을 끌어올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지난 2월 분양한 메이플자이는 분양가 상한제로 주변 시세 대비 수억원 이상 저렴한 가격에 공급돼 경쟁률이 442.32대 1에 달했다.
 
또 지난달 진행된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은 3만5천76명이 몰린 끝에 '만점 통장' 보유자에게 돌아갔다. 올해 청약시장에서 만점 통장이 등장한 첫 사례였다.
 
이에 더해 서울의 아파트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도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서울의 일반분양 물량은 작년 상반기 1033가구, 작년 하반기 3800가구였으나, 올해 상반기는 642가구에 불과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광진구 '강변역 센트럴 아이파크'(494.11대 1), 서대문구 '경희궁 유보라'(124.37대 1), 강동구 '더샵 둔촌포레'(93.06대 1), 강동구 '에스아이팰리스 올림픽공원'(10대 1) 등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분양한 9개 단지 중 6개 단지가 두 자릿수 이상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비수도권 1순위 경쟁률은 6.39대 1로, 작년 상반기(7.53대 1)는 물론 작년 하반기(9.12대 1)보다 낮아졌다.
 
서울과 지방의 청약시장 온도 차가 올해 들어 더욱 커진 셈이다.
 
이러한 지방 분양시장 침체에 전국 1순위 경쟁률도 작년 하반기 12.28대 1에서 올해 상반기 7.01대 1로 하락했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수치상으로 보면 서울 청약시장은 불패 수준"이라며 "서울은 수요가 꾸준한데 공급이 줄어드니 상반기 경쟁률이 치솟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분양업계 관계자는 서울 부동산 시장이 바닥을 다졌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청약시장에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해석했다. 반면 지방은 시장이 위축된 데다 분양가 상승 여파로 더욱 가라앉은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요즘 청약시장은 서울과 지방 분위기가 '극과 극'"이라며 "서울은 고분양가에 나와도 시간이 지나면 그 이상으로 오를 것이라는 생각에 수요가 몰리지만, 지방은 분양가 부담이 가중되면서 수요가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농협
LGxGUGGENHEIM
수협
DB그룹
삼성증권
셀트론
M-able
SK하이닉스
대신증권_이코노믹데일리
동아쏘시오홀딩스
이편한세상
한국토지공사
하나증권
롯데카드
KT
한국조선해양
신한라이프
신한은행
KB금융그룹1
교보증권
여신금융협회
신한금융그룹
우리은행
KB손해보험
농협
종근당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미래에셋자산운용
메리츠증권
롯데캐슬
하나금융그룹
KB증권
KB금융그룹3
삼성전자 뉴스룸
NH
엘지
한국투자증권
쿠팡
신한카드
포스코
KB금융그룹2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