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이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의 슈퍼컴퓨터 Eos와 양자컴퓨팅 플랫폼 CUDA-Q를 도입한다. 엔비디아는 구글의 양자컴퓨팅 연구 조직인 퀀텀 AI가 이 기술을 활용해 양자 처리장치(QPU) 설계의 복잡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고 1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여러 기업이 양자컴퓨터 기술에서 돌파구를 찾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상용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술적 진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반도체 기술 기반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연산 속도를 제공하지만 양자역학적 특성으로 인해 ‘노이즈’ 문제가 발생한다. 노이즈는 처리 과정에서 진짜 정보와 혼재해 결과의 정확성을 저하시킨다.
엔비디아는 Eos 슈퍼컴퓨터를 통해 이러한 노이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에 일주일이 걸리던 노이즈 억제 시뮬레이션 작업을 몇 분 내로 단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 퀀텀 AI 연구자인 구프레 비달은 “양자컴퓨팅의 상업화를 위해서는 노이즈를 억제하면서 양자 처리장치의 규모를 키우는 것이 핵심”이라며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기술은 더 큰 규모의 양자 프로세서 설계에서도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가 제공하는 Eos는 초고속 연산 능력을 가진 슈퍼컴퓨터로 AI 가속기 칩을 기반으로 구동된다. 이 컴퓨터는 복잡한 양자 시뮬레이션을 신속하게 처리하며 구글이 개발 중인 양자 처리장치 설계를 지원한다.
양자컴퓨팅 플랫폼 CUDA-Q는 양자컴퓨팅 프로세서의 시뮬레이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플랫폼을 통해 구글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양자컴퓨팅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자컴퓨팅은 기존 반도체 기술보다 수백 배 빠른 계산 능력을 제공하며 금융, 약물 개발, 기후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대규모 상용화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김다경의 전자사전] 스마트폰 두뇌 대결...스냅드래곤 vs 엑시노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33544352736_388_136.jpg)
![[정보운의 강철부대] 제주항, 57년 만에 다시 닻 올리다…중국 칭다오 향하는 오션로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30342760176_388_136.jpg)
![[김아령의 주말 장바구니] 가을 제철특가 한판승부…마트업계 할인 경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092006572914_388_136.jpg)
![[류청빛의 車근차근] 한정판 차량 판매 전략 펼치는 자동차업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30704969256_388_136.jpg)
![[장소영의 오일머니]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 톺아보기](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65209776635_388_136.png)

![[지다혜의 금은보화] 어릴 때부터 돈 관리 배워요…하나銀, 미성년자 전용 상품·플랫폼 강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05756554799_388_136.jp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