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이 16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신규 공급이 급감하면서 전세시장 불안과 가격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일반분양 물량은 총 1만235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3만5215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는 2009년(5682가구) 이후 가장 적은 분기 물량이다.
월별로 보면 1월 5947가구가 분양된 데 이어 2월에는 2371가구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3월에는 4040가구로 소폭 늘었으나, 이 역시 2023년 2월을 제외하면 최근 2년간 가장 낮은 수치다.
그간 분양시장을 이끌어온 경기도의 감소폭은 더 컸다. 1월 388가구, 2월 726가구, 3월 65가구 등 3개월간 총 1179가구에 그치며,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 역시 2월 482가구가 전부였으며, 경남, 전남, 제주에서는 1분기 동안 단 한 가구도 분양되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충남이 3330가구를 공급하며 전국의 27%를 차지했고, 전북이 1703가구로 뒤를 이었다. 1분기 동안 분양 물량이 1000가구를 넘긴 지역은 충남, 전북, 경기 3곳뿐이다.
이처럼 전국적인 공급 위축에 따라 전세시장 불안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중심으로 새 아파트 품귀 현상이 심화될 경우 전세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KB 부동산에 따르면 3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평균 가격은 3.3㎡당 2519만원으로, 1년 전(2348만원)보다 171만원 상승했다. 이는 경기지역 아파트의 평당 매매 평균 가격(2260만원)보다도 높은 수치로, 2022년 11월 통계 개편 이후 최고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