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공개하는 항공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제주공항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전체 운항편수는 4만5148편, 여객수는 653만9718명이었다. 그러나 올해 1분기에는 운항편수는 3만9177편, 여객수는 550만3801명으로 각각 13.2%, 15.8% 감소했다. 김포공항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제주~김포 노선은 366만7784명에서 319만2688명으로 줄며 약 12.95% 감소했다.
지방공항의 운항편 감소율은 이보다 훨씬 컸다. 제주~군산 노선은 333편에서 206편으로 38.1% 감소했다. 이어 포항경주(-34.4%), 원주(-28.3%), 여수(-26.9%), 청주(-22.2%) 순으로 대부분의 지방 노선이 20~40%대의 급격한 감편을 겪었다. 유일하게 운항이 증가한 노선은 사천공항뿐이었다.
이처럼 지방 노선이 줄어든 요인으로 항공사들의 채산성 악화에 따른 자체 구조조정이 꼽힌다. 지방공항 노선은 비행 거리에 비해 고정비 비중이 높아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다. 비행시간이 짧아도 정비·공항료·인건비 등은 장거리 노선과 비슷하게 들어가 탑승률이 조금만 떨어져도 적자로 전환되기 쉽다. 특히 지방공항은 수요 기반이 약해 일정 수준 이상의 탑승률을 유지하기 어렵고 회전율도 낮다. 이 때문에 항공사들은 구조조정 시 가장 먼저 지방 단거리 노선을 감축 대상으로 삼는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지방 노선은 전체 수요가 적은 데다 회전률도 떨어져 수익 구조가 맞지 않는다”며 “기체 한 대를 띄워도 좌석당 매출이 적고 인건비·정비비·공항료는 동일하게 들어가 결국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국토교통부의 운항 감축 권고도 지방 노선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참사 이후 운항편수를 감축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무안공항 활주로 사고나 에어부산 기체 결함 이후 정부가 안전관리 차원에서 항공사들에게 감편을 권고하는 분위기가 생겼다”며 “특히 정비 여건이 부족한 소형 노선일수록 자발적으로 감축이 유도되고 있다”고 말했다.
항공사들이 수익성 저하와 국토부의 운항편수 감축 권고 등을 이유로 지방 노선을 대거 줄이면서 국토부가 지난해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국토부는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지방공항에 대한 슬롯 배분을 늘린 바 있다. 그러나 슬롯은 운항 가능성을 보장할 뿐 실제 운항 확대는 항공사의 수익성 판단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전문가는 “지방공항 슬롯 확대는 하드웨어를 늘린 것에 불과하다. 실제 항공편이 뜨게 만들려면 항공사가 운항을 결심할 만한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며 “지방노선은 구조적으로 수익성이 낮기 때문에 단순한 인프라 공급만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