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요일
맑음 서울 22˚C
부산 21˚C
안개 대구 20˚C
맑음 인천 24˚C
흐림 광주 20˚C
흐림 대전 21˚C
울산 20˚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26˚C
IT

[UDC 2025] '친-크립토' 맥헨리 美 前의원 "혁신과 소비자보호는 양립 가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9-09 13:33:37

한국 크립토, K팝처럼 세계 제패할 것

美 맥헨리, '규제' 풀고 '기회' 잡으라 조언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와 패트릭맥핸리 전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의장사진선재관 기자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와 패트릭맥핸리 전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의장[사진=선재관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의회 내 대표적인 ‘친-디지털 자산’ 정치인 패트릭 맥헨리 전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의장이 “디지털 자산은 더 이상 주변부가 아닌 이미 메인스트림”이라며 “혁신과 소비자 보호는 양자택일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맥헨리 전 의장은 9일,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5’에서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와의 대담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의회에서 디지털 자산 시장구조 법안(FIT 21) 통과를 주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규제 환경의 변화와 한국이 맞이한 기회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했다.

그는 혁신과 소비자 보호가 상충한다는 이분법적 시각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깊고 유동적인 투명 시장, 사이버보안과 명확한 공시·소유권 규칙이야말로 최고의 소비자 보호이자 동시에 최고의 혁신 촉진제”라며 건전한 시장 구조를 만드는 것이 두 가치를 동시에 달성하는 길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그는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며 과감한 규제 혁신을 주문했다. 윤 CBIO가 국내 규제 환경을 설명하자 맥헨리 전 의장은 “지금이야말로 ‘퍼스트 프린서플(최초 원리)’로 시장구조를 재정렬할 타이밍”이라며 “미국의 전환은 세계에 대한 웨이크업 콜(Wake-up call)”이라고 말했다.

그는 “업비트는 세계 최대 현물 거래소인데 왜 수출되지 않는지 의문”이라며 “규제가 진화하면 글로벌화를 선도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에너지와 기술 인재, 강력한 소비자 시장을 갖췄고 약간의 ‘언락(unlock)’만으로 글로벌 경쟁이 가능한 국가”라고 덧붙였다.

 
UDC 2025 패트릭 맥헨리 기조강연 사진선재관 기자
UDC 2025 패트릭 맥헨리 기조강연 [사진=선재관 기자]

디지털 자산의 미래에 대해서는 △실물자산 토큰화(RWA) △전통 금융의 본격적인 유입 △AI와의 결합을 핵심 키워드로 꼽았다. 그는 “AI와 디지털 자산의 결합은 자연스러운 다음 물결”이라며 “마이크로 결제, 기여 보상 등 ‘디지털 상호작용의 정산 레이어’를 재구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맥헨리 전 의장은 K팝에 빗대어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밝은 미래를 전망했다. 그는 “K-팝이 세계에 한 일을 한국의 크립토가 글로벌 시장에서 해낼 수 있다. 아직 초기이고 너무 이른 것도 너무 늦은 것도 아니다. 빌더들이 만드는 미래가 곧 펼쳐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콜마
신한카드
컴투스
신한은행
NH농협은행
DB그룹
우리은행
한화
우리은행
대신증권
IBK
KB금융그룹_2
우리은행
삼성물산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KB국민은행_1
과실비율정보포털
한국토지주택공사
KB국민은행_2
KB국민은행_3
미래에셋
현대
KB금융그룹_3
하이닉스
KB금융그룹_1
kt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