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요일
흐림 서울 22˚C
흐림 부산 23˚C
흐림 대구 24˚C
흐림 인천 22˚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19˚C
흐림 제주 25˚C
IT

'창작툴 제왕' 어도비의 위기, '94조 증발'...생성형 AI 공세에 '흔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9-18 08:38:56

'독점의 시대' 끝, 어도비의 딜레마

"어도비 팔아라" 월가의 경고

어도비, AI 시대의 낙오자 되나

창작툴 제왕 어도비의 위기 94조 증발 사진은 어도비 이미지 생성 AI 파이어플라이사진어도비
'창작툴 제왕' 어도비의 위기, '94조 증발. 사진은 어도비 이미지 생성 AI 파이어플라이.[사진=어도비]

[이코노믹데일리] ‘포토샵’과 ‘프리미어 프로’로 크리에이티브 소프트웨어(SW) 시장을 30년 넘게 지배해 온 ‘제왕’ 어도비(Adobe)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이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서 흔들리고 있다. 오픈AI, 구글 등 빅테크들이 쏟아내는 혁신적인 AI 도구들이 어도비의 핵심 경쟁력을 위협하면서 월가에서는 연일 비관적인 전망과 함께 목표주가 하향 조정이 잇따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어도비의 주가는 지난 1년간 31.5% 하락하며 시가총액 약 94조원이 증발했다. 이는 같은 기간 S&P 500 지수가 상승한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어도비의 미래에 대한 경고등을 켜고 있다. UBS, 멜리우스 리서치, 레드번-아틀란틱 등은 잇달아 투자의견을 ‘매도’로 낮추고 목표주가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

레드번아틀란틱은 보고서에서 “생성형 AI 도구가 어도비의 경쟁 우위를 침식하고 있다”고 경고했으며 멜리우스 리서치의 벤 라이츠 애널리스트는 “어도비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시기는 지났다. AI가 기존 소프트웨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가의 비관론은 현실에 기반한다. 과거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이미지·영상 편집 작업이 이제는 간단한 텍스트 명령어만으로 가능한 시대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오픈AI의 영상 생성 AI ‘소라(Sora)’, 구글의 ‘비오(Veo)’,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Midjourney)’ 등은 이미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내놓으며 콘텐츠 제작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특히 구글이 최근 공개한 이미지 편집 AI ‘나노 바나나(Nano Banana)’는 어도비에게 직접적인 위협으로 다가온다. 복잡한 ‘레이어’ 개념이나 전문적인 기술 없이도 “사진에서 저 사람만 지워줘”와 같은 일상적인 대화만으로 정교한 편집이 가능해지면서 포토샵의 입지를 근본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위기에 직면한 어도비의 대응은 혁신보다 ‘가격 인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어도비는 올해 1월 포토그래피 플랜의 월 구독료를 9.99달러에서 14.99달러로 인상했으며 6월에는 북미 지역 주력 상품인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의 요금을 월 50달러에서 69.99달러로 약 40%나 올렸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AI 투자 비용을 구독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어도비가 이처럼 손쉽게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낼 수 있는 이유는 여전히 디자인·영상 업계에서 어도비의 SW가 ‘표준’으로 통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방송국, 광고회사 등 대부분의 기업이 어도비 기반의 워크플로우를 사용하고 있어 단기간에 다른 툴로 대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생성형 AI의 성능이 더욱 고도화되고 저렴한 대체재가 등장할 경우 어도비의 독점적 지위는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창작의 민주화’를 이끄는 AI 시대에 어도비가 과거의 영광에 안주하다 ‘혁신의 낙오자’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농협
미래에셋
하나금융그룹
KB금융그룹_3
NH농협은행
kt
KB국민은행_1
kb캐피탈
KB국민은행_2
DB그룹
콜마
컴투스
우리은행
KB금융그룹_2
우리은행
삼성물산
한국토지주택공사
신한카드
대신증권
신한은행
우리은행
한국증권금융
KB금융그룹_1
우리은행
하이닉스
KB국민은행_3
한화
과실비율정보포털
현대
다올투자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