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금융노조는 △주 4.5일제 전면 도입 △연봉 5% 인상 △정년 연장 △신입 채용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금융노조는 지난 1일 실시한 전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찬성률 94.98%로 총파업을 결의한 뒤, 지난 23일 열린 마지막 대대표교섭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임금 인상안을 기존 7.1%에서 3.9%로 낮춰 제안했지만, 사용자 측은 2.4%를 고수하면서다.
특히 주 4.5일제 도입을 두고는 사용자 측에선 주 4.5일제를 교섭 의제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갈등이 커지고 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실질임금 인상과 주 4.5일제 도입은 금융노동자의 생존을 위한 요구이자, 대한민국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해법"이라며 "2002년 금융노동자가 주 5일제를 시작했을 때 대한민국은 달라졌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번 총파업은 일부 지점에서 1~2명 정도 나서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2022년 총파업 당시 전체 은행권 참여율은 9.4%였고,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참여율은 0.8%에 불과했다.
아울러 은행 내부 반응은 대체로 호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2002년 주 5일제를 시작했던 당시와 지금의 분위기는 많이 달라진 데다, 지난해 평균 연봉 1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된 은행 직원들이 총파업 총대를 메는 듯한 모습이 여론에 안 좋게 비칠 수 있어서다. 또 단축 근무로 인한 고객의 업무 불편이나, 보안 사고 대응력 약화 등의 우려도 나온다.
따라서 시중은행들은 은행 본점을 비롯한 전국 영업점 등에 외근 자제와 업무 집중을 당부하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하고, 파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업무 공백에 단계별로 대응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역별 거점점포를 지정해 이를 중심으로 관할 지역 내 고객 서비스를 차질 없이 제공한다. 가용 인력이 70% 미만으로 줄어들 경우 일반 영업점의 정상 운영이 어려울 수 있어 인력 상황에 따른 단계별 대응 방안을 구축했다.
하나은행은 영업점에 외부 영업이 많은 인력들은 총파업 당일 외근을 자제하고 고객 피해가 없도록 업무에 집중해 달라는 취지의 공문을 보냈다. 농협은행과 신한은행은 인력 부족에 따른 영업점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주요 조직·업무별 사전 대응 방안을 준비했다. 필요시엔 대고객 안내문도 게시한단 방침이다.
또 업계에 따르면 농협은행과 한국산업은행 인사부는 이번 총파업에 참여한 직원에 대해선 '무노동·무임금' 원칙을 적용해 유급 휴가를 썼더라도 급여를 지급할 수 없다는 취지의 공문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들 은행 노조 측은 "근로기준법상 휴가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라며, 이는 정당한 쟁의행위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