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요일
흐림 서울 20˚C
흐림 부산 22˚C
흐림 대구 23˚C
흐림 인천 21˚C
구름 광주 19˚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1˚C
흐림 강릉 19˚C
흐림 제주 22˚C
건설

규제 쏟아져도 집값 상승…성수동 아파트 한 달 새 1억 뛰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차유민 기자
2025-09-30 16:47:07

규제 역설·공급 부족·'똘똘한 한 채' 심리가 집값 밀어올려

서울 성동구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 사진차유민 기자
서울 성동구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 [사진=차유민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대출 상한을 낮추고 전세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서울 집값은 오히려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성수동의 한 아파트는 한 달 사이 매매가가 1억원 뛰었다.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 성수동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 전용 59㎡는 지난 20일 29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한 달 전보다 1억원 오른 값이다. 같은 구 금호동 신금호파크자이 59㎡도 9월 들어 연달아 신고가를 경신하며 18억원 후반대에 팔렸다.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세의 배경으로 규제 역설, 공급 불확실성, ‘똘똘한 한 채’ 선호를 꼽는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와 9·7 공급 대책을 발표했지만 시장에서는 “지금 아니면 못 산다”는 불안 심리가 확산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출 규제가 오히려 조급함을 키워 거래를 부추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공급 부족도 주요 원인이다. 국토교통부와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달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41가구에 불과하다. 올해 전체 입주 물량은 4만6738가구였지만 내년은 2만8614가구, 2027년에는 8516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정부의 135만 가구 공급 계획은 부채 170조원을 넘는 LH가 주도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며 “서울시의 31만 가구 공급 계획도 당장 착공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어서 실효성 논란이 따른다”고 지적했다.
 

우량 입지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도 뚜렷하다. 성동·마포·광진 등 한강 벨트 지역은 강남 접근성이 좋아 규제 지역 확대 가능성이 꾸준히 거론된다.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입지를 선점하려는 수요가 전국적으로 몰리며 신고가 행진을 이끌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집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 22일까지 성동구 아파트값은 11.15% 올라 지난해 연간 상승률(9.87%)을 이미 넘어섰다. 마포구도 같은 기간 8.63% 상승해 작년(7.03%)을 웃돌았다.
 

정부는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과 세제 강화를 예고했지만 효과는 불투명하다. 한국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6·2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하락 폭이 과거 주요 대책에 비해 작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규제가 되레 매수세를 자극할 수 있다”며 “공급 계획에 대한 신뢰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불안 심리, 공급 부족, 선호 입지가 겹치면서 서울 아파트값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우리은행
KB국민은행_1
삼성증권
LG
컴투스
kb캐피탈
신한금융지주
하나카드
부광약품
하나증권
하나금융그룹
하이닉스
농협
우리은행
바이오로직스
신한라이프
DB그룹
GC녹십자
kt
우리은행
농협
포스코
동아쏘시오홀딩스
신한은행
LG
삼성물산
다올투자증권
KB국민은행_2
국민카드
신한카드
sk
삼성화재
빙그레
한국토지주택공사
콜마
롯데케미칼
미래에셋자산운용
KB국민은행_4
HD한국조선해양
KB금융그룹_2
KB국민은행_3
대신증권
기업은행
KB금융그룹_3
신한라이프
한화
부영그룹
한화
현대
롯데카드
KB금융그룹_1
한국증권금융
쿠팡
미래에셋
우리은행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