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요일
흐림 서울 7˚C
맑음 부산 6˚C
구름 대구 6˚C
흐림 인천 9˚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맑음 울산 9˚C
맑음 강릉 10˚C
흐림 제주 12˚C
IT

'오일머니'가 'AI 인프라'로…빅테크, 사우디 국부펀드와 잇단 '빅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11-20 08:11:28

xAI·엔비디아, 사우디에 500MW 데이터센터 구축

매출 0원 스타트업…젠슨 황도 놀란 사우디의 '이 기업'

2024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AI 행사에서 한 참석자가 대화형 로봇 시연에 참여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2024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AI 행사에서 한 참석자가 대화형 로봇 시연에 참여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일론 머스크의 xAI와 엔비디아를 필두로 AMD, 시스코 등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사우디아라비아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와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 

일론 머스크와 젠슨 황은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압둘라 알스와하 사우디 정보통신기술부 장관과 대담을 갖고 사우디 현지에 500MW(메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착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신설 AI 기업 '휴메인(Humaine)'이다.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의장을 맡는 휴메인은 차세대 데이터센터, AI 인프라·클라우드, 고급 AI 모델·설루션을 포함한 포괄적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 중이다.

지난 5월 설립된 휴메인은 설립과 동시에 엔비디아의 최신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 'GB300' 칩 1만 8천 개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xAI와 엔비디아는 우선 50MW 규모의 1단계 사업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용량을 500MW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19일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미국-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대화하고 있다 Getty Images via AF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19일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미국-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대화하고 있다. [Getty Images via AFP=연합뉴스]

젠슨 황 CEO는 이날 대담에서 "매출 0억 달러 규모의 스타트업(휴메인)이 이제 일론 머스크의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게 됐다"며 "이 회사는 시작부터 상상을 초월하며 500MW는 엄청난 규모"라고 파트너사를 치켜세웠다. 머스크 CEO는 발표 도중 데이터센터 규모를 500GW(기가와트)로 잘못 언급했다가 웃으며 정정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양사는 데이터센터 외에도 양자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위한 슈퍼컴퓨터 구축에도 협력한다. 이 슈퍼컴퓨터는 로봇이 가상 물리 환경에서 학습하며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하고 고도화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사우디를 향한 러브콜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AMD와 시스코 역시 휴메인과 AI 합작사를 설립해 100M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별도로 건설할 예정이다. 타리크 아민 휴메인 CEO는 해당 합작사가 이미 AI 동영상 생성 스타트업 '루마AI'를 고객사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빅테크들의 잇따른 사우디행은 막대한 자금력을 갖춘 '오일머니'와 전력 수급의 용이성 그리고 미국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앞서 휴메인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도 50억 달러(약 7조원) 규모의 'AI 존' 건설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알스와하 장관은 AWS와의 협업 또한 100MW로 시작해 향후 GW(기가와트) 수준으로 확장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전날 백악관 회담에서 사우디가 미국의 첨단 AI 기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AI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기술 협력의 물꼬를 텄다. 이번 투자 발표는 양국 정상 간 합의가 민간 차원의 거대 프로젝트로 즉각 구체화된 첫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삼성증권
SC제일은행
한국투자증권
스마일게이트
교촌
NH
롯데캐슬
KB국민은행
신한투자증권
씨티
DB손해보험
db
삼성전자
하나금융그룹
한화
포스코
하이닉스
한화투자증권
경주시
우리은행
신한은행
삼성화재
카카오
신한금융지주
NH투자증
kb금융그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