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서희생활경제부
ash990@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제약·바이오업계, '주총 시즌' 돌입…주주환원 정책 강화
제약·바이오업계가 3월 정기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 주총에서는 배당금 확대를 비롯해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핵심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14일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시작으로 유한양행, 녹십자홀딩스, JW중외제약, 셀트리온, 동화약품, 일동홀딩스, 한미약품 등이 연이어 주총을 개최한다. 제약사 가운데 가장 먼저 주주총회를 여는 유한양행은 올해 배당금을 전년 대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주총에서 보통주 1주당 500원, 우선주 1주당 510원으로 배당금을 확정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11.1%, 10.9% 증가한 금액이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렉라자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계기로 매출 2조원을 돌파하며 ‘2조 클럽’에 합류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실적 성장을 이뤄냈다. 이에 따라 주주들에게 보다 많은 수익을 환원하며 주주 친화적인 경영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도 배당을 대폭 확대했다. 이번 주총에서 보통주 1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결정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100% 상승한 규모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경영권 분쟁으로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지만 실적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특히 이상지질혈증 복합 신약 로수젯이 2103억원의 처방 매출을 기록하며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또한 조만간 출시될 비만치료제에도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어 향후 실적 확대와 함께 주주 환원 정책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GC녹십자는 1주당 배당금이 제약사 중 가장 높은 규모인 1500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주주친화 정책 강화를 위한 결정으로 GC녹십자는 적극적인 환원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셀트리온의 1주당 배당금은 지난해 500원에서 50% 인상한 750원이다. 이 같은 주주 환원 정책 강화는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실적 성장과 맞물려 배당 성향을 높인 것이다. JW중외제약은 이번 주총에서 이사회 개편과 함께 주주환원 정책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배당금액은 전년대비 50원 증가한 450원으로 결정됐다. 같은 날 주총을 여는 동국제약과 삼진제약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배당 확대를 논의할 예정이다. 동국제약의 경우 1주당 배당금 200원, 삼진제약은 800원으로 책정됐다. 다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배당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삼바는 지난해 연매출 4조원을 돌파하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고 실적을 기록했지만 주주환원 정책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회사 측은 "2025년 중 배당 정책에 대한 검토 및 안내가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주주는 “배당금은 기업과 주주 간 신뢰의 연결고리”라며 “어려운 국내시장 환경에서도 투자한 주주들을 기업이 외면한다면 지속적인 공존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제약·바이오업계는 최근 배당 확대와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주총 시즌에서는 배당 확대를 포함한 주주친화 정책이 핵심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2025-03-12 21:51:18
-
-
-
-
-
한미약품 GLP-1 삼중작용제 'HM15275', 비만·대사질환 치료 새 지평 연다
한미약품이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혁신 신약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11일 한미약품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연구개발 투자금액은 2021년 1615억원에서 2022년 1779억원, 2023년 205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투자로 한미약품은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과 글로벌 제약사 도약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한미약품은 2023년 9월부터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가동하며 비만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했다. H.O.P 프로젝트는 비만 치료의 전주기적 접근을 통해 맞춤형 치료제를 순차적으로 선보이는 한미약품의 핵심 전략이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 치료제 중 하나가 바로 ‘HM15275’다. HM15275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GIP(위 억제 펩타이드), GCG(글루카곤)의 삼중작용 기전을 통해 기존 치료제 대비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근 손실을 최소화하는 특장점을 갖추고 있다. 또한 고도 비만뿐만 아니라 이상지질혈증, 제2형 당뇨 등 대사 장애 치료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GLP-1 단독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 치료 기전으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GLP-1은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위 배출 속도를 늦춰 체중감량 효과를 제공하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 조절을 개선한다. 또한 GLP-1과 함께 작용해 인슐린 분비 촉진 및 혈당 조절 효과를 극대화하며, GLP-1 치료제의 일반적인 위장관 부작용(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완화한다. GCG(글루카곤)는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포만감 증가, 에너지 소비 촉진, 지질 대사 개선을 통해 비만 및 대사 질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킨다. 한미약품은 비임상 연구를 통해 HM15275가 비만뿐만 아니라 심혈관, 신장, 대사질환 치료에 강력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현재 HM15275는 올해 하반기 임상 2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향후 임상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새로운 게임 체인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이외에도 가장 먼저 H.O.P 프로젝트로 진행됐던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현재 국내 임상 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임상 종료 예상 시점은 2026년 하반기로 빠르면 2027년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12월 열린 주주총회 기자 간담회에서 “2026년 비만 치료제 출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2030년까지 에페글레나타이드를 비롯한 체중 감량 신약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3-11 20:37:23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