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미금융부
kgm1@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미래에셋증권, 고객맞춤형 가입액 3조 돌파
미래에셋증권이 이달 4일 기준 고객맞춤형랩 가입액이 3조원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고객맞춤형랩 상품의 총 평가금액은 4조2000억원으로, 가입액이 3조원, 수익이 약 1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또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지점운용형 고객맞춤형랩 점유율 45%를 기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혁신기업에 대한 장기 투자 철학, 글로벌 자산배분전략,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가 결합된 결과라고 평가한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웰스테크(Wealth-Tech) 서비스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를 제공했고, 이를 고객맞춤형랩에 적용했다. 대표적인 고객맞춤형랩 상품인 '프리미어 글로벌 랩'은 국내·해외 주식, 채권, 펀드, 본사랩 등 여러 자산에 투자가 가능한 글로벌 종합자산관리 플랫폼이다. 투자자산운용사 자격증을 보유한 자산관리사가 고객과 1:1로 VIP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산관리사가 상담을 통해 고객의 투자성향, 투자목적(재산증식, 상속) 등을 파악한 뒤 포트폴리오를 설계해 운용한다. 박건엽 미래에셋증권 고객자산운용본부장은 "프리미어 글로벌 랩의 성장은 미래에셋의 글로벌네트워크, 자산 관리에 최적화된 인프라, 자산관리(WM) 운용 역량이 뒷받침된 결과"라며 "이를 통해 고객의 성공적인 자산관리와 평안한 노후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02-12 10:52:14
-
-
NH투자증권, 'NHIS Korea Corporate Day' 콘퍼런스 실시
NH투자증권이 아시아 지역 주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NHIS Korea Corporate Day 2025' 콘퍼런스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행사는 11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싱가포르 콘래드 센테니얼호텔(Conrad Centennial)과 홍콩 아일랜드 샹그릴라(Island Shangri-La) 호텔에서 진행된다. 콘퍼런스에는 기아, 제이앤티씨, 카카오페이, 포스코홀딩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현대글로비스, 현대자동차, LS일렉트릭 등 국내 주요 산업 상장사 9곳이 참석했다. 이들은 미팅을 통해 기업을 홍보하고 글로벌 투자 수요 저변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아시아 투자기관인 알리안츠(Allianz), 캐피탈 글로벌(Capital Global), 싱가포르투자공사(GIC), 피델리티(Fidelity) 등 40곳이 참여한다. NH투자증권은 관세정책, 금리인하 등 글로벌 거시경제 및 정치환경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 기업들의 전망과 사업 방향성을 공유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NH투자증권은 지난 2005년 이후 뉴욕,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런던, 싱가포르, 홍콩 등 해외 주요 금융 거점에서 기업활동(IR) 행사를 실시해 왔다. 이번 행사로 상장사의 신규 글로벌 투자수요 발굴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02-11 18:26:38
-
-
-
-
-
-
증권사 역대급 실적에 신입 공채는 언제쯤
지난해 증권사들이 역대급 실적을 경신하며 5개사가 '1조클럽(영업이익 1조원 이상)' 영예를 누렸다. 최대 실적에도 경력직·계약직 채용 위주로 인력을 충원하면서 신규 인재 발굴에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날까지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증권사 중 삼성증권이 누적 영업이익 1조2058억원으로 선두를 달렸다. 전년 대비 62.7% 증가하며 1조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뒤이어 작년 연간 영업이익이 △미래에셋증권 1조1590억원 △키움증권 1조982억원 △메리츠증권 1조549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적 발표를 아직 하지 않은 한국투자증권은 이미 작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1조1587억원을 기록하며 가장 먼저 영업이익 1조원을 넘겼다. 당기순이익은 같은기간 67.13% 오른 1조416억원으로 실적 1위가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증권사 1조클럽은 지난 2022년 이후 2년 만에 출현했다. 이렇듯 증권사의 지난해 역대급 실적에도 직원 수는 오히려 줄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 확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진 등으로 인원을 감축하면서 공개 채용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61개 증권사의 임직원 수는 3만8854명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216명 줄었다. 국내 10대 증권사 중 가장 적극적인 채용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한국투자증권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작년 상반기 신입사원 6급, 채용연계형 인턴, 전역장교 공채를, 하반기 신입사원 5급 일반 공채를 진행했다. 특히 신규 채용을 중시하면서 김남구 한국금융지주 회장이 22년째 대학교 채용설명회에 참석해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이에 "증권업도 얼마나 좋은 인력이 있는 지가 중요한 비즈니스이기 때문에 업황과 관계없이 신입사원 충원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과 삼성증권은 작년 반기별로 신입사원을 공개 채용했다. 그 외 상반기에는 하나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이, 하반기에는 신한투자증권이 1차례 공개 채용을 진행했다. 작년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인재(해외대 학생 한정) 부문만, 메리츠증권은 자본시장·트레이딩본부, FICC전략팀에서 계약직 신입채용만 진행했다. 대신증권은 지난 2022년을 마지막으로 신입 공개채용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로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 허모 씨(25·남)는 "증권사의 경우 은행, 보험업권과 비교할 때 신입 채용이 아예 없는 수준"이라며 "진입 장벽이 너무 높아 계약직으로 경력을 쌓아 이직하는 길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달 수도권 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이모 씨(25·남)는 “금융권 전체 채용 규모가 줄고 중소 규모의 금융회사마저 신입 사원 채용을 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금융권 신입 사원이 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고 탄식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증권업은 다른 금융권과 달리 성과제 업무 중심 체제로 업의 특성과 전문성이 많이 요구된다"며 "개인 역량과 딜소싱이 중요한 요소다 보니 신입 정기 채용보다는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계약직, 경력직 형태가 부합하는 면이 있어 공채 횟수를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신규 채용 없는 증권사는 인력 개발보다는 당장 인력 투입으로 빈자리를 매꾸고 업무를 해결하는 게 긴박한 상황이라 여력이 없었다"며 "인력 투자 등한시하는 회사들은 올해도 신규 채용 안 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황 교수는 "정상적 조직이라면 신규 채용을 정기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인력을 개발할 수 있는 채용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신규·경력을 적절히 나눠 병행으로 채용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5-02-11 06:00: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