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관IT온라인부
seon@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
-
-
-
-
-
국내 게임 시장 23조원...전년比 3.4% 성장…수출은 감소세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7일 발표한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게임 산업 매출액이 전년 대비 3.4% 증가한 22조 9642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국내 게임 시장이 꾸준히 외형을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보고서는 모바일 게임 매출이 13조 6118억원으로 전체 게임 매출의 59.3%를 차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PC 게임 매출은 5조 888억원(25.6%), 콘솔 게임은 1조 1291억원(4.9%)으로 뒤를 이었으며 아케이드 게임은 2852억원(1.2%)으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아케이드 게임을 제외한 모든 플랫폼에서 매출이 증가했으며 특히 모바일 게임은 4.1% 성장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수출액은 83억 9400만 달러(한화 약 10조 9785억원)로 전년 대비 6.5% 감소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수출 국가별 비중은 중국이 25.5%로 가장 높았지만 전년 대비 4.6%p 감소한 수치다. 동남아시아는 19.2%로 5.0%p 상승하며 중국의 감소분을 일부 상쇄했다. 북미(14.8%), 일본(13.6%), 대만(10.4%), 유럽(6.7%)이 뒤를 이었다. 수입액은 2억 5376만 5000달러(한화 약 3313억원)로 2.5% 감소했다. 게임 산업 종사자 수는 8만 4970명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게임 제작 및 배급업 종사자 수는 5만 1783명(60.9%), 게임 유통업 종사자 수는 3만 3187명(39.1%)으로 제작 및 배급업 종사자 수가 유통업 종사자 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게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 성장한 2051억 8900만 달러로 추정된다. 한국은 세계 시장 점유율 7.8%로 4위를 유지했으며 미국, 중국, 일본이 1, 2, 3위를 차지했다. 플랫폼별 점유율에서는 PC 게임이 13.2%, 모바일 게임이 11.6%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모바일 게임은 세계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콘진원은 2024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를 25조 1899억원으로 전망하며 게임 산업이 IP 다각화와 장르 확장을 통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는 콘진원 누리집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2025-03-17 10:24:18
-
-
SK스퀘어 자회사 FSK L&S, 美 배터리 벨트 풀필먼트 센터 운영하며 도약
SK스퀘어의 물류 자회사 FSK L&S가 미국 ‘배터리 벨트’에 진출, 풀필먼트 센터 운영으로 실적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 SK온 물류 전문가 출신 김용직 대표이사 선임 후 첫 대규모 수주로 SK스퀘어의 밸류업 전략이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FSK L&S는 17일 SK온과 포드 합작법인 블루오벌SK(BOSK)의 미국 내 배터리 공장 풀필먼트 센터 운영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 6년이며 최대 2034년까지 연장 가능하다. FSK L&S는 이번 계약으로 BOSK 및 협력사로부터 매년 수백억원 규모의 신규 매출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북미 반도체 낸드 물류 서비스 확대도 추진 중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FSK L&S는 블루오벌SK 켄터키 1, 2공장 및 테네시 공장 등 3개 배터리 공장의 제조 지원을 위한 풀필먼트 센터 운영을 총괄한다. 원자재 보관 및 적시 공급, 완성된 배터리 보관 및 검수 등 전반적인 물류 운영을 담당한다. 이는 FSK L&S가 ‘전담 물류 매니저’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같다. 이번 수주는 FSK L&S의 첫 미국 ‘배터리 벨트’ 진출로 사업 영역 확장의 의미가 크다. 블루오벌SK는 3개 공장의 총 생산 규모가 연간 127GWh에 달하며 켄터키 공장은 미국 최대 규모의 배터리 생산 기지다. 켄터키 1공장은 2025년, 테네시 공장은 2026년 내 가동 목표이며 켄터키 2공장 가동 시점은 미정이다. FSK L&S는 자체 개발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 ‘KEROL(케롤)’의 경쟁력으로 미국 현지 기업들을 제치고 이번 사업을 수주했다. ‘케롤’은 재고 실시간 모니터링, 최적 부품 배치, 자동 출하 순서 결정 등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고 및 인건비 절감 등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FSK L&S의 사업 확장과 수익성 강화는 SK스퀘어의 밸류업 성과를 가시화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SK스퀘어는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번 미국 배터리 벨트 진출은 밸류업 전략의 일환이다. 미국의 관세 정책 강화로 현지 생산 거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이번 수주는 시의적절하다는 평가다. SK스퀘어는 지난해 말 SK온 출신 김용직 대표이사를 FSK L&S 수장으로 선임, 글로벌 물류 기업 도약 발판을 마련했다. 김 대표는 디지털 전환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는다. 김용직 FSK L&S 대표이사는 “IT 플랫폼을 접목하여 물류 전 과정을 실시간 통합 관리하고 고객 중심의 공급망 관리 최적화 및 물류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디지털 물류 서비스를 적극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2016년 설립된 FSK L&S는 운송 및 창고 관리 등 물류 BPO 사업을 전문으로 하며 다양한 제품의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체 개발한 ‘케롤’을 통해 물류 과정을 데이터화하고 실시간 추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2025-03-17 09:2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