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가 오픈AI와 공동 개발 중인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오는 9월 공개하고 연내 출시한다. 이와 함께 카카오톡에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해 ‘국민 AI 서비스’ 시대를 열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반기 대대적인 카카오톡 개편과 함께 AI를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삼아 ‘성장주’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전략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정 대표는 “9월 ‘이프 카카오’에서 실제 프로덕트의 형상을 공개하고 늦어도 다음 실적발표 전에는 모두가 직접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글로벌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한 AI 서비스와 국내에서 가장 압도적인 모바일 플랫폼이 만나 한국 B2C AI 서비스 시장을 빠르게 선점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카카오의 AI 전략은 크게 세 갈래로 추진된다. 첫째는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한 AI 에이전트 서비스 출시다. 기존 챗GPT의 경험 위에 카카오가 보유한 방대한 데이터와 국내 이용자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결합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둘째는 카카오톡에 녹아드는 자체 온디바이스 AI 서비스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 내 대화의 맥락 속에서 작동하는 AI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며 “별도의 서비스라기보다는 미들레이어(중간 계층)처럼 작동하며 이용자 의도에 맞는 액션을 추천하고 향후 필요한 액션들이 톡 안에서 완결되도록 설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의 자체 경량화 모델을 기반으로 해 개인정보 보호와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
셋째는 장기적인 AI 에이전트 플랫폼 생태계 구축이다. 정 대표는 “AI 에이전트 시대에서도 강력한 플랫폼 역할을 하기 위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생태계 구축을 시작한다”며 초기에는 카카오 자체 서비스와 연동하고 향후 외부 파트너까지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 모든 AI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카나나(Kanana)’라는 통합 브랜드로 선보일 예정이다.
이러한 AI 전략은 대대적인 카카오톡 개편과 맞물려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카카오는 기존 친구 탭을 ‘일상 공유형 피드’로 세 번째 탭을 ‘숏폼 비디오’ 공간으로 바꿔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대폭 늘리고 이를 톡비즈 광고 매출 성장으로 잇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정 대표는 “모바일 시대의 퍼스트 무버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AI 시대에서도 첫 번째 국민 B2C AI 서비스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