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7건
-
환절기 악화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법과 관리법
[이코노믹데일리]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환절기에는 피부 건강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특히 이 시기에 아토피피부염은 수분 손실과 장벽 약화로 인해 악화되기 쉽다. 과도한 난방이나 뜨거운 물로 장시간 목욕을 할 경우 피부의 수분 손실이 더욱 심해져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악화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보습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2018년 약 92만명에서 2019년 95만명, 2020년 97만명, 2021년 99만명, 2022년 97만명으로 증가됐다. 아토피는 음식이나 흡입성 물질 등에 대한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아토피피부염 외에도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을 포함한다. 그중 아토피피부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가려움증과 피부 건조증이며 유아기부터 시작해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의 유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 반응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유아기의 아토피피부염은 생후 2~3개월 이후 양 볼에 가려움증과 함께 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머리와 팔다리의 펴는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소아기에 접어들면 팔다리의 접히는 부위, 엉덩이, 눈꺼풀, 손목, 발목, 목 등의 접히는 부위에 잘 생기며 심한 경우 진물이 나거나 딱지가 형성될 수 있다. 청소년기와 성인기에는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 증상이 나타나거나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 구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성인 환자의 경우 얼굴, 손, 유두 주변에만 국한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아토피피부염은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거나 사라질 수도 있지만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형태로 수십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어 육체적,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기본 원칙은 피부의 건조를 막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것이다. 피부가 가려워 긁게 되면 습진성 병변이 악화되고 이로 인해 더욱 심한 가려움증이 유발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보습제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뜨거운 물로 목욕하거나 직접적으로 드라이기를 피부에 사용하는 행위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보습제만으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피부과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 국소 스테로이드제나 국소 면역조절제를 처방받는 것을 권장했다. 김대현 고려대 안암병원 피부과 교수는 “봄철에는 꽃가루나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에 노출되기 쉬워 아토피피부염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피부 보습과 실내 환기에 신경 쓰고 침구류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 아토피피부염이 의심된다면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25-03-28 18:18:14
-
젊은 층도 '대상포진' 주의보…'맞춤형 보험'으로 대비
[이코노믹데일리] 기온이 낮은 겨울철 면역력 저하로 대상포진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기존 중장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던 질환인 대상포진이 최근 스트레스나 과중한 업무 등에 시달리는 20~30대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병하면서 보험사들은 관련 진단금 특약을 추가해 맞춤형 보장에 나서는 추세다. 2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대상포진 환자 수는 75만7539명으로 전년 대비 6.4% 늘었다. 이 중 20~30대 환자 수는 2023년에만 12만3660명으로 집계돼 전년(12만2554명)보다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상포진은 추운 날씨 면역력이 약해지는 시기에 발병 위험이 높고,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극심한 통증 및 합병증까지 유발해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보험사들은 대상포진, 갑상선 기능 저하, 통풍 등 생활 질환을 집중 보장하는 미니보험이나 필요로 하는 담보만 선택해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종합보험 등으로 다양하게 보장하고 있다. AXA손해보험(악사손보)은 일상의 다양한 질환·질병 및 상해사고 등 피해로부터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돕는 '(무)AXA올인원종합보험(갱신형)'을 판매 중이다. 이 상품은 고객이 선호하거나 필요한 담보만 골라 구성이 가능하다. 해당 상품 내 대상포진 진단금 및 대상포진눈병 진단금 특약에 가입하면, 보험기간 중 피보험자가 대상포진 및 대상포진눈병 진단 확정 시 최초 1회에 한해 진단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악사손보 관계자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질환 진단 시 폭넓게 보장받을 수 있는 특약 체계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KB손해보험은 개인 고객의 특성에 맞는 가입이 가능한 'KB 5.10.10 플러스 건강보험'을 판매 중이다. 대상포진 진단비 및 대상포진눈병 진단비 특약 가입 시 최초 1회에 한해 관련 진단비를 보장한다. DB손해보험은 관련 특약 가입 시 대상포진을 포함한 여러 성인 질환을 종합적으로 보장하는 '건강할 때 가입하는 행복플러스 종합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교보간편마이플랜건강보험(무배당)' 상품을 통해 대상포진과 통풍, 독감치료, 재해골절·깁스치료, 생활습관병수술, 응급실 내원 등 다양하게 보장한다. KDB생명의 '(무)버팀목New케어보험'은 각종 노인성 질환(욕창, 당뇨, 대상포진 등) 25종과 장기요양 진단 및 지원(생활비, 재가·시설지원 등), 간병 지원비 등 부가특약 가입으로 고객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맞는 보장을 선택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고객에게 다양하면서도 실용적인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관련 질환을 보장하는 상품에 미리 가입해 두면, 갑작스레 질병에 걸렸을 때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사전 대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2025-02-26 17:36:25
-
-
도박 중독 환자 수 급증...2030대 비중 가장 높아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5년간 2030대 청년층에서 도박 중독이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7일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1~11월)까지 도박 중독으로 치료받은 환자 수는 총 1만2702명에 달한다. 도박 중독 환자 수는 2020년 1767명에서 시작해 2021년 2186명, 2022년 2442명, 2023년 2942명, 2024년 3365명으로 해마다 늘어났다. 특히 최근 2년간 환자 수가 급증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와 20대가 도박 중독 환자 수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30대는 4476명, 20대는 4441명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는 40대(1857명), 10대(784명), 50대(696명), 60대(375명), 70대 이상(73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가운데 20대와 30대의 도박 중독 환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2020년 20대는 630명·30대는 629명이었으나, 2021년 800명·787명, 2022년 878명·876명, 2023년 999명·1054명, 2024년 1134명·1130명으로 해마다 도박 중독 환자가 늘어났다. 김도읍 의원은 “2030 청년들의 도박 중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은 심각하다”며 “도박 중독 그 자체가 큰 문제일 뿐만 아니라 도박과 관련된 2차 범죄로 이어질 우려가 커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박 중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중독에 빠진 이들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25-01-27 11:53:48
-
-
조용히 죄어오는 '뇌동맥류', 조기 발견이 생명을 구한다
[이코노믹데일리] 뇌동맥류는 뇌동맥 벽이 풍선처럼 부풀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관이 파열될 경우 뇌출혈로 이어져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질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사전에 발견이 어려워 사망률이 3명 중 1명에 이를 정도로 위험하다. 의료계는 뇌동맥류에 대해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뇌동맥류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0년 약 2만5000명에서 2022년 16만5194명으로 6배가 넘게 증가했으며, 입원 환자는 2011년 1만1005명에서 2022년 3만147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대가 32.0%로 가장 많았고 50대(29.8%), 70대(18.4%), 40(12.3%)대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뇌동맥류의 위험 요인으로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가족력 등을 꼽았다. 뇌동맥류의 크기는 작게는 2mm에서 크게는 50mm 이상까지 다양하며 40대에서 70대 사이에 흔히 발견된다. 현재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류역학적 원인에 의해 혈관벽 내에 균열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흡연과 고혈압 등이 뇌동맥류 발병 위험을 높이며 가족 중에 뇌동맥류가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약 4배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윤원기 고대구로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동맥류는 평소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지만 파열되면 인생에서 전혀 경험하지 못한 극심한 통증과 두통을 느끼게 된다”며 “오심, 구토, 뒷 목의 경직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심한 경우 두개골 내 압력이 상승해 의식 저하 또는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으므로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동맥류의 진단은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등을 통해 이뤄지며 만약 뇌동맥류가 발견되 수술 치료가 진행된다. 수술 치료 방법으로는 머리를 열고 부풀어 오른 혈관 부위를 클립으로 묶는 ‘클립결찰술’과 허벅지 부위 대퇴동맥을 통해 1mm 이하의 얇은 백금 코일을 삽입해 뇌동맥류에 혈액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혈관 내 수술인 ‘코일색전술’로 나뉜다. 두 가지 치료법에는 뚜렷한 장단점이 있다. 클립결찰술은 재발이나 합병증 가능성이 높거나 환자가 젊은 경우, 뇌 표피에 뇌동맥류가 생겼을 때 시행되며 재발률이 낮지만 뇌를 열고 수술해야 한다는 큰 부담이 따른다. 반면 코일색전술은 클립결찰술에 비해 부담이 적고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고령 환자에게 많이 시행되지만, 재발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클립결찰술의 경우 눈썹이나 관자놀이에 3cm 이하의 작은 구멍을 내는 ‘미니개두술’로 시행해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방법과 코일색전술로 치료하기 어려운 뇌동맥류나 25mm 이상의 거대뇌동맥류 치료에는 뇌동맥류에 스텐트를 삽입해 혈류 방향을 바꿔 치료하는 ‘혈류변환 스텐트 시술’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뇌동맥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다양한 고난이도 수술 및 시술법이 개발되고 있다. 윤원기 교수는 “뇌동맥류가 혈관이 겹쳐있는 부위 등에 발생해 시술 난이도가 높은 경우에는 ‘풍선을 통한 혈류변환 스텐트 시술’을 시행한다”며 “풍선과 스텐트 시술이 동시에 진행돼 난이도가 높지만 정교한 시술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혈관이 갈라지는 지점에 발생하는 분지형 뇌동맥류는 경부가 넓어 코일색전술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와이어를 촘촘하게 엮은 금속망인 ‘뇌혈류차단기’를 뇌동맥류 안에 채워 넣는 방식으로 시술한다”며 “기존의 결찰술과 코일색전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치료 효과를 높인 새로운 치료법들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뇌동맥류는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면 다른 부위에 재발할 수 있으므로 고혈압 등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특히 코일색전술이나 스텐트를 시술한 환자는 항혈소판제를 꾸준히 복용하고 주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 윤 교수는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병 자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면서도 “조기에 발견하면 파열되기 전에 뇌출혈을 예방할 수 있기에 가족력이 있거나 흡연, 고혈압 등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2024-10-10 06: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