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
삼성전자 가전 제품의 핵심...DX부문 한 눈에 '쏙' 알아보기
삼성전자가 중국 최대 가전 전시회 'AWE2025'에 참가해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등 다양한 비스포크 AI가전을 전시한다. [사진=삼성전자]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電'代未聞 코너에서는 그동안 헷갈리셨을만한, 또는 한주간 이슈가 됐던 '전'자에 '대'한 '미'더운 소식을 '문'제 없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자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 중 하나는 DX(디바이스 경험) 부문이다. DX 부문은 모바일경험(MX)사업부,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생활가전(DA)사업부 등으로 구성돼 있다. MX 사업부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를 생산하며 VD 사업부에서는 TV와 모니터를, DA 사업부에서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 제품을 생산한다. DX 부문은 지난 2021년 조직 개편을 통해 출범했으며 기존의 CE(소비자 가전)와 IM(IT·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부문을 통합한 것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난해 DX 부문은 매출 174조8877억원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다만 4분기 매출은 40조5000억원으로 지난 분기 대비 10% 감소했는데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지난해 DX 부문 매출액은 삼성전자 전체 매출 중 58.1%를 차지했는데 절반 이상의 비중을 지닌 만큼 삼성전자의 주요 사업으로 분류된다. 실제로 지난해 각 제품별 매출은 TV·모니터는 30조9316억원, 스마트폰은 114조4249억원을 차지했다. 올해 삼성전자 DX 부문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가전 제품 개발을 통해 매출 증대를 꾀하고 있다. 박순철 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 콜에서 "DX 부문은 갤럭시S25 및 기타 프리미엄 AI 제품군 판매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5'에 참가한 삼성전자는 더 프레임 프로 TV, S95F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갤럭시 북 5 프로 360, AI 반려 로봇 볼리 등을 선보인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19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스마트폰, TV 등 모든 제품군에 AI 기반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라며 "삼성전자 자체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개발하고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2025-03-22 07:45:00
-
-
-
현대차, 삼성에 이어 젠슨 황도 주목한 '이것'...승승장구 이어가려면?
[이코노믹데일리] 영화 속 허상과도 같았던 로봇 산업이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삼성전자의 로봇 산업 투자에 이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CES 2025' 기조연설에서 로봇을 언급하면서다.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기조연설에 선 젠슨 황 CEO는 '코스모스'라는 새로운 로봇 개발 플랫폼을 선보이며 로봇 시대의 도입을 알렸다. 그는 "로봇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지만, 모든 개발자나 전문가들이 로봇 개발에 필요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건 아니다"며 "로봇·자율차의 개발은 통상적으로 시간이 많이 들고, 돈도 많이 드는데, 그런 문제를 우리가 해결할 것"이라고 했다. 엔비디아만 로봇에 관심을 보인 건 아니다. 삼성, LG,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들도 로봇 산업 진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먼저 삼성전자는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하며 로봇 산업에 신호탄을 쐈다. 대표 직속 미래로봇추진단도 신설했다. 삼선전자는 지난해 868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해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 14.7%를 확보했다. 이후 삼성전자는 보유 중인 콜옵션(우선매수청구권)까지 행사하면서,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을 35.0%로 확대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가정용 인공지능(AI) 로봇 '볼리'도 공개했다. 집사 로봇 볼리는 세계 최초 원·근접 투사가 모두 가능한 듀얼렌즈 기술 기반의 프로젝터를 탑재해 벽, 천장, 바닥 어디든 최적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렌즈를 전환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영상 콘텐츠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도록 돕는다. 가정 내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컨트롤하고 아이와 반려동물 등을 살피는 역할도 가능하다. 시야 밖에 있는 아이나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해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필요한 조치를 한다. 집사 로봇을 공개한 건 삼성전자만이 아니다. 가전계 라이벌 LG전자는 지난해 CES 2024에서 이동식 AI 홈 허브 'Q9'을 공개했으며 올해 출시가 예정돼 있다. 현대차그룹은 로봇 전문기업 보스턴다이나믹스를 계열사로 두고 로봇 개발에 힘쓰고 있다. 실제 이들은 로봇개 '스팟' 등을 개발해 '스마트 팩토리'란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듯 최근 국·내외 기업들이 로봇 산업 진흥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성장 가능성'에 있다. 산업연구원이 지난해 11월 공개한 '글로벌 로봇산업 동향 분석과 우리의 발전 방향'을 보면 제조업, 가정용 등 로봇 모두가 성장이 예측됐다. 세계 제조용 로봇 신규 판매 대수 추이를 보면 △2020년 389만5000대 △2021년 526만1000대 △2022년 552만9000대 △2023년 541만3000대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정용 돌봄로봇 시장도 성장세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돌봄 서비스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향후 가정용 돌봄로봇 시장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전 세계 기업들이 로봇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일각에선 국내 로봇 산업의 성장을 위해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위한 데이터 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박철완 한국로봇산업협회 부회장은 "첨단 로봇의 발전을 위해선 인공지능과 자율주행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데이터 센터 구축 등 산업 고도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5-01-08 15:5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