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7 월요일
맑음
서울 6˚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6˚C
맑음
대전 6˚C
맑음
울산 8˚C
맑음
강릉 9˚C
맑음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석유수출국기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트럼프發 정책혼란 속 국내 정유·석화업계 '반사이익' 기대…유가 안정화·종전 기대감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로 인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져가고 있지만 오랜 침체를 겪어온 국내 정유·석유·화학 업계에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제 원유 공급 증가로 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되면 중국의 원가 경쟁력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수혜 대상은 에쓰오일, 롯데케미칼 등이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10일 발간한 '화학, 롯데케미칼 다음은 에쓰오일' 보고서에서 "상대적 경쟁력·수요·원가·공급 변수 등을 바꿀 수 있는 거시경제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며 "유가가 하락하고 배럴당 정제 마진이 오르면서 석유화학 업체와 에쓰오일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원유 가격이 하락하며 정유·석학 업계의 원가 경쟁력이 강화되는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영향이 크다. 미국은 석유·천연가스 시추를 전면 확대하는 등 원유 가격 하락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 간 협의체(OPEC+)도 오는 4월부터 일평균 13만8000 배럴을 증산한다. 이처럼 원유 공급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지난 8일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키리시에 위치한 정유시설이 드론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업계의 기대감은 커져 가고 있다. 해당 정유소의 생산 여력이 악화되면 늘어나는 원유 물량이 그대로 국내 정유업계의 수요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실제 최근 원유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 후 가파르게 하락 중이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브렌트유(Brent)·오만산(OMAN)·두바이산(Dubai) 원유 모두 전년 동일 대비 약 12% 하락했다. 그 결과 전주 대비 평균 복합정제마진은 8.7 달러로 상승했다. 이는 배럴당 정제 마진이 3.6 달러였던 지난해 3분기에 비하면 두 배에 달하며 전 주와 비교해도 2.1달러 상승한 수치다. 원유를 PP·PC 등 플라스틱 제품으로 가공하는 화학 업체들의 숨통도 트일 예정이다. 지난 4일 미국이 캐나다산 원유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캐나다가 수출처 다변화를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롯데케미칼 등 우리 석화 업계는 값싼 캐나다 원유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하게 추진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과 관세 전쟁도 수익성을 강화해줄 것으로 보인다. 종전 협상이 마무리되면 수출 규제로 전쟁 기간 동안 중국 등 일부 국가가 독점하던 값싼 러시아 원유가 다시 세계 시장에 풀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유가 안정화로 인한 물류 비용 감소도 산업 전반의 수익성 개선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강준영 한국외대 중국학과 교수는 "중국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에 수출이 제한된 값싼 러시아 원유를 확보하며 원가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며 "종전으로 중국의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면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도 일부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03-11 17:00:02
K석화, 중국발 공급 과잉에 '빨간불'...LG화학·롯데케미칼 무너졌다
LG화학 여수 NCC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석유화학산업이 중국발 공급 과잉과 저가 공세로 심각한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LG화학, 롯데케미칼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의 지난해 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기 위해 장기적으로는 구축 기반을, 단기적으로는 기업에 자금을 지원해 줘야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세계 4위 석유화학 기업인 LG화학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48조9161억원, 영업이익 9168억원을 기록했다다. 이는 2023년 대비 매출액 11.46%, 영업 이익 63.75% 감소한 수치다. 국내 2위 기업 롯데케미칼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20조 4304억원으로 2023년 대비 2.4% 소폭 상승했지만, 영업손실을 8948억원 기록했다. 이는 2023년 대비 157.3% 악화한 실적이다. 업계는 이러한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발 공급 과잉과 저가 공세를 지목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중국은 동부 연안 7곳에 석유화학 기지를 육성해 에틸렌 생산 능력을 크게 키우고 있다고 2023년 5월 발표했다. 중국의 에틸렌 생산량은 2020년 3218만톤(t), 2023년 5174만t을 기록했으며 2027년에는 7225만t까지 확대할 전망이다. 이러한 중국의 공급 확대로 인해 저가 중국산 화학제품이 세계 시장에 쏟아져 나오면서 국내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 또한 고유가에 따른 원가 부담 증가가 주요 요인이다. 지난해 12월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OPEC+의 감산 연장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공급 제한으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유가가 87 달러까지 치솟은 바 있다. 배럴당 71 달러 이상의 고유가가 지속되며 원가 경쟁력이 낮아졌으며 기업들은 원가 부담이 증가해 수익성 악화를 초래했다. 다만 미국, 캐나다 등 비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가들의 생산 증가와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해 올해 유가는 다소 안정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하지만 트럼프 2기에 따른 무역 정책 변화 등 불확실성 요인도 존재해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교수는 "중장기적으로 해외든 국내든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 대응해야 한다"며 "에너지 자원에 대한 안보적 차원에서 공급망을 확보하는 등 기반을 세워 산업이 재생할 로드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수익성 악화로 재무 상태가 나빠진 석유화학업체들에 정부 차원에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LG화학이 지난해 1조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고 롯데케미칼이 1조 4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강 교수는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처럼 자금 지원이 뒷받침해주면 단기적으로 구축 기반을 다지는 하나의 좋은 정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첨언했다.
2025-02-10 16:54:0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3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4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5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6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7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8
헌재,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헌정 두 번째 파면 여부 결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