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2건
-
-
-
-
-
-
지난해 배당금 부자는 누구?…1조원 이상 배당금 준 기업은 7곳
[이코노믹데일리]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배당금을 받은 인물로 나타났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14일까지 현금 및 현물배당을 발표한 560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4년 배당금 총액은 40조70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의 36조8631억원보다 3조8458억원(10.4%) 증가한 수준이다. 이를 두고 리더스인덱스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배당금을 2배 가까이 늘리며 증가세를 주도한 가운데, 정부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에 발맞춘 기업들의 배당 확대 전략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51%인 285곳이 전년 대비 배당금을 늘렸으며, 94곳(16.7%)은 같은 금액을 유지했다. 181곳(32.3%)은 배당금을 줄였다. 아울러 2023년에는 배당을 하지 않았는데 2024년 배당을 한 기업은 54곳이었다. 개인별 배당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다. 그는 지난해 3465억원을 배당받아 배당금이 전년 3237억원 대비 228억원 늘었다. 이어 2~3위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과 정의선 회장이 차지했다. 정 명예회장은 전년보다 131억원 많은 1892억원을 배당금으로 수령했다. 3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전년보다 183억원 늘어난 1747억원을 받았다. 4∼6위는 삼성가 세 모녀가 차지했다.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 1483억원,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 1467억원,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1145억원 순이다. 이들 3명의 배당금은 감소했다. 이는 상속세 납부를 위해 일부 지분을 매각해서다. 7위 최태원 SK그룹 회장(910억원), 8위 구광모 LG그룹 회장(778억원), 9위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756억원), 10위 김남호 DB그룹 회장(439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24년 배당금이 1조원 이상인 기업은 총 7곳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9조8107억원, 현대차 3조1478억원, 기아 2조5590억원, SK하이닉스 1조5195억원, KB금융 1조2003억원, 신한지주 1조880억원, 하나금융지주 1조159억원 등이다.
2025-02-18 15:08:45
-
-
지난해 외국인 부동산매수 65%가 중국인... 1년 새 12% 증가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을 사들인 외국인이 전년보다 12% 늘어 1만7000명을 넘어섰다. 외국인 매수인 중 중국인이 65%가량을 차지하는데, 매수 부동산은 경기 부천, 화성, 안산 등 중국인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에 몰려 있었다. 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매수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집합건물·토지·건물 포함)을 매수한 뒤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한 외국인은 총 1만7478명이다. 이는 2023년의 1만5061명보다 11.9% 늘어난 수치다. 외국인 매수인은 부동산 시장 상승기였던 2020년 1만9371명까지 늘었으나 2021년 1만8798명, 2022년 1만4095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이후 2023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전체 부동산 매수인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1%로 2019년(1.6%)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작년에는 경기도에 부동산을 매수한 외국인이 784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2273명), 서울(2089명), 충남(1480명)이 뒤를 이었다. 세종의 외국인 부동산 매수인은 2023년 40명에서 지난해 75명으로 87.5% 늘고, 부산(238명)은 30.1%, 서울은 25.2% 증가했다. 인천(-2.4%), 광주(-12.4%), 대전(-22.2%)에서는 전년과 비교해 외국인 부동산 매수인이 줄었다. 지난해 부동산을 매수한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인이 1만1천346명으로 64.9%를 차지한다. 중국인 비중은 2020년 69.3%에 달했으나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중국인이 부동산을 가장 많이 산 곳은 부천시 원미구(817명)였다. 화성시(745명), 안산시 단원구(649명), 시흥시(632명), 인천시 부평구(589명), 부천시 소사구(449명), 인천시 미추홀구(397명), 안산시 상록구(351명)가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구로구(190명)와 금천구(144명)에 부동산을 산 중국인이 많았다. 지난해 강남 3구 부동산을 산 중국인은 강남(22명), 서초(16명), 송파(12명) 등 50명이었다. 중국인 다음으로는 미국인의 부동산 매수가 많았다. 지난해 2천528명으로 전체 외국인 매수인의 14.5%를 차지한다. 미국인 매수 부동산은 강남·용산 등 서울 인기 지역에 집중됐다. 작년에는 미군 부대가 있는 경기 평택시에 부동산을 산 미국인이 206명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아산(118명), 서울 서초(96명), 강남(80명), 용산(70명), 경기 용인시 처인구(52명), 인천시 연수구(46명), 경기 성남시 분당구(45명) 순이었다.
2025-01-08 09:39:10
-
-
'전무 승진' 오리온 3세, 초가성비 캡슐 커피 CU
유통업계는 먹고사는 일과 아주 밀접한 분야입니다. ‘김아령의 주간 유통가(家)’는 한주간 생활경제 속 벌어진 이슈들을 소개하기 위해 만든 코너입니다. 핵심 내용부터 화제 이야기까지 놓치면 아쉬운 잇(Eat)슈들을 모아봤습니다. <편집자 주> ◆ 오리온 오너 3세 담서원, 입사 3년 만에 전무 됐다 [이코노믹데일리]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의 장남이자 오너 3세인 담서원 씨가 입사 이후 3년5개월 만에 전무로 승진했다. 1989년생인 담 전무는 담철곤 오리온 회장과 오너 2세 이화경 부회장 부부의 장남이다. 그는 2021년 7월 오리온 경영지원팀 수석부장으로 입사했으며, 1년5개월 만인 2022년 12월 인사에서 경영지원팀 상무로 승진한 바 있다. 이번 전무 승진은 상무 승진 후 2년 만이다. 담 전무는 뉴욕대학교를 졸업한 뒤 베이징대에서 경영학석사(MBA)를 취득했다. 오리온 입사 직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근무한 이력도 있다. 담 전무는 오리온그룹의 사업전략 수립과 관리, 글로벌 사업 지원, 신수종 사업 등 경영 전반에 걸친 실무 업무를 수행하며 사실상 경영 수업을 받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오리온의 전사적 관리시스템(ERP) 구축 과정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계열사로 편입된 리가켐바이오의 사내이사로서 주요 의사결정에도 직접 참여하고 있다. ◆ “커피 한 잔에 290원”…CU, 초저가 캡슐 커피 출시 편의점 CU가 개당 290원짜리 초저가 캡슐커피인 ‘290 블렌드 캡슐커피’를 출시했다. CU는 290 블렌드 캡슐커피 10개입을 2900원에 선보였다. 캡슐 1개에 290원, 그램(g)당 단가는 58원이다. 네스프레소 호환 캡슐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며 브라질, 파푸아뉴기니, 콜롬비아산 원두를 적절히 블렌딩 해 깔끔하면서도 고소한 단맛의 밸런스와 부드럽고 풍부한 크레마가 특징이다. CU는 국내 최저가를 맞추기 위해 지난 1년간 협력사와 함께 원두 가격 추이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원두 수매를 진행했다. 특히 즉석원두커피 ‘get커피’에 들어가는 브라질, 콜롬비아산 원두를 이번 캡슐커피 물량과 더해 대량 구매함으로써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원가를 절감했다. 생산라인 변경 없이 제조사의 기존 라인을 사용하며 가동률을 최대로 높이는 등 공정 효율화를 통해 생산 단가를 낮췄으며,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과감하게 자체 마진까지 최소화해 초가성비 제품을 선보였다. ◆ 윤영달 크라운해태 회장, 영동세계국악엑스포 조직위원장 취임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이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 공동조직위원장에 취임했다. 영동세계국악엑스포 조직위원회는 위촉 배경으로 크라운해태제과를 세계적 제과 기업으로 성장시킨 리더십과 국악에 대한 열정 등을 꼽았다. 윤 회장은 지난 2004년부터 국악공연인 ‘창신제’를 열고 2007년 기업 최초의 ‘락음국악단’을 창단하는 등 국악 저변 확대에 애정에 쏟고 있다. 국악 영재 발굴을 위한 ‘영재한음(국악)회’ 정기공연을 매주 개최하고, 국악 명인들과 함께하는 ‘양주풍류악회’ 공연도 열고 있다. 윤 회장은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함께 영동세계국악엑스포 공동조직위원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국악엑스포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고 공연프로그램과 행사 기획 및 운영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영동세계국악엑스포는 ‘국악으로 만나는 미래문화, 희망으로 치유받다’를 주제로 내년 9월 12일부터 10월 11일까지 영동 레인보우힐링관광지 일원에서 열린다. ◆ 대상, ‘소비자 ESG 혁신대상’ 동반성장 부문 상생협력상 대상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소비자이니셔티브가 주관하는 ‘2024 소비자 ESG 혁신대상’에서 동반성장 부문 상생협력상을 수상했다. 대상은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 노력을 인정받아 상생협력상을 받았다. 대상은 상생협력기금 출연, 금융기관과 연계한 상생펀드 조성, 상생결제시스템 운영 등 동반 협력사를 대상으로 금융 지원을 하고 있다. 또 자사몰 정원e샵과 해외동반진출 지원사업으로 협력사의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성과공유제 및 협력이익공유제도 운영 중이다. 협력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활동도 활발하다. 외부 전문가를 통한 컨설팅 지원, 온·오프라인 품질협의체 등이 대표적이다. 우수협력사를 대상으로 해외연수도 지원한다. 해외 선진기업과 유수기업의 설비, 품질, 생산관리 등 벤치마킹 기회까지 제공한다.
2024-12-28 06:00:00
-
대우건설,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 견본주택 개관
[이코노믹데일리] 대우건설은 오는 27일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충남 아산시 탕정면 아산 탕정테크노 일반산업단지 C1블록 일원에 들어서는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16개동, 전용면적 59~136㎡ 총 1416가구로 공급된다. 3.3㎡당 평균 분양가는 1340만원이며, 입주는 2028년 3월 예정이다. 전용면적별로는 △59㎡A 198가구 △59㎡B 58가구 △84㎡A 559가구 △84㎡B 297가구 △84㎡C 59가구 △109㎡ 240가구 △136㎡PH 5가구 등이다.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는 앞서 조기에 완판된 '탕정 푸르지오 리버파크'와 함께 총 3042가구 대단지 '푸르지오' 브랜드 타운으로 조성된다. 또 공공택지에 분양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다. 청약 일정은 오는 30일~31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내년 1월2일 1순위, 3일 2순위 청약접수를 받는다. 당첨자 발표는 1월9일이며, 정당 계약은 1월20일~22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특별공급은 이전 기관(산업단지) 종사자, 기관추천, 다자녀가구, 신혼부부, 생애 최초, 노부모 부양 등이 있으며 807가구가 배정됐다. 각 모집 유형에 맞는 세부 조건에 부합해야 하며, 이전 기관 종사자는 청약통장 없이도 청약이 가능하다. 일반공급은 609가구가 배정됐다. 1순위 청약은 전국 청약이 가능하며 청약통장 가입 6개월 이상, 지역별 예치금액 조건을 충족한 만 19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는 삼성디스플레이 캠퍼스의 배후 주거지에 조성되면서 전국 청약 접수가 가능하고,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만큼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2024-12-26 10:23:38
-
내년 전국 입주 23만74가구…올해보다 30% 감소
[이코노믹데일리] 2025년 새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보다 30% 가까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입주 물량은 23만74가구로 올해보다 29.3% 감소했다. 입주 물량은 지난해 30만8299가구, 올해 32만5367가구로 2년 연속 30만 가구를 넘겼지만 내년들어 20만가구대로 내려앉는 것이다. 시도별로 보면, 올해 3616가구가 입주했던 세종시의 새해 입주물량은 876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인 75.8% 감소할 전망이다. 세종에 이어 대구의 입주 물량은 1만1334가구로 올해보다 53.4% 줄었다. 충남(-46.9%) 경북(-46.2%)도 절반 수준으로 입주 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남 천안의 경우 4875가구로 올해보다 50.2%가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연말 12월 막차 신규 분양단지들의 공급이 예고돼 있다. 먼저 충남 천안시 신두정지구 일대에 12월 '천안 두정역 양우내안애 퍼스트로'가 분양 예정이다. 천안 두정역 양우내안애 퍼스트로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6개동, 전용 64·84㎡, 총 41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세종시에서는 양우건설이 짓는 ‘세종5-1 L12BL 양우내안애 아스펜’이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세종에서는 2년 만의 신규 공급 단지이며, 지하 2층~지상 최고 18층, 18개 동, 전용면적 84㎡ 단일 구성에 총 698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대구에서는 태영건설이 '더 팰리스트 데시앙'을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신천동 동부정류장 후적지 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단지로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일원에 공급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0층, 8개 동, 전용 100~117㎡, 아파트 418가구 및 전용 97·109㎡ 오피스텔 32실 규모로 조성된다. GS건설은 충남 아산시 탕정면에서 ‘아산탕정자이 퍼스트시티’를 공급 중이다. 3개 블록(A1·A2·A3)에서 총 3673가구로 조성된다. 이달 A1블록 지하 2층~지상 35층, 6개 동, 797가구를 먼저 선보인다. 12월 20일(금) 1순위 청약접수를 받으며, 이후 A2·3블록 물량도 차례로 분양할 계획이다.
2024-12-17 10:16:41
-
"사업 재편하고 시너지 강화하고"…SSG닷컴, 내년 반등 성공할까
[이코노믹데일리] 신세계그룹 이커머스 플랫폼 SSG닷컴(쓱닷컴)이 수익성 확보를 위한 행보에 나서면서 내년 실적이 기대되고 있다. 마케팅·물류비 감축 등 사업 효율화에 나서는 한편 새벽배송 강화, 계열사 시너지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어서다. 또 신세계가 CJ와 온·오프라인 전방위 협업에 나선 만큼 향후 성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출범 이후 한 번도 흑자를 내지 못한 SSG닷컴은 누적 적자 개선과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올해 6월 새롭게 부임한 최훈학 대표이사가 내년 적자 고리를 끊고 새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SSG닷컴은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4510억원의 누적 영업손실을 냈다. 매출액은 2019년 8442억원에서 2022년 1조7447억원까지 늘어났지만, 지난해 1조6784억원으로 3.8% 감소했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7조19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했고, 474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티메프 사태 여파가 이어진 데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까지 국내 내수 시장에 참전해 치열한 경쟁구도가 만들어지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SSG그룹은 올해 사업구조 개편 등을 통해 수익성 확보를 위한 영업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신세계그룹은 지난 6월 SSG닷컴 새 대표이사로 최훈학 전무를 선임했다. 이후 SSG닷컴은 조직 통합 및 재편을 통해 규모를 축소했다. DI본부의 경우 1본부-2그룹-6담당에서 1본부-6담당 체제로 그룹을 폐지했다. 라이프스타일1담당과 2담당은 패션&뷰티담당으로, 라이프스타일3담당은 라이프&컬쳐담당으로, 광고마케팅담당과 그로스전략담당은 마케팅담당으로 통합·재편됐다. SSG닷컴은 명품·패션·뷰티 등 핵심 카테고리 상품만을 집중적으로 판매하는 ‘버티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신규 브랜드를 발굴해 경쟁력을 높이고 미식관과 쓱배송 클럽을 발판으로 장보기 영역에서도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다. 명품 버티컬의 경우 해외 명품 플랫폼 연동 입점을 확대하고, 명품 디지털 보증서 ‘SSG 개런티’ 적용 상품을 늘렸다. 패션에서는 MZ세대 타깃 디자이너 브랜드를 발굴하고 대중적인 내셔널 브랜드를 통해 일상 패션 영역까지 강화했다. 식품 버티컬은 전국 각지의 초신선 제품을 선보이는 ‘신선직송관’과 프리미엄 그로서리 전반을 다루는 ‘미식관’을 통해 소비자를 끌어모으고 있다. SSG닷컴은 신세계 온라인 자매사 G마켓과도 시너지 창출에 나선다. SSG닷컴은 내년 1월부터 자사 앱에서 G마켓 상품을 연동해 판매한다. 양사는 이를 위한 ‘제휴사이트 판매대행 서비스’ 계약을 맺었다. SSG닷컴과 G마켓은 연동을 통해 추가적인 매출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SSG닷컴 셀러는 오픈마켓에서도 입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G마켓 셀러는 SSG닷컴이라는 유통 채널로 판로를 확장해 추가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객 입장에서는 한 플랫폼에서 SSG닷컴과 G마켓의 상품을 모두 구매 가능해 편의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SSG닷컴은 CJ대한통운의 물류 인프라를 기반으로 새벽배송 지역을 충청권까지 넓혔다. 지난 2일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 아산·청주·천안시 등의 충청권과 경기 평택시에서 새벽배송 서비스를 개시했다. 9일부터는 동탄 신도시를 포함한 경기 화성시와 하남·오산·이천시 등이 서비스 지역에 추가됐다. SSG닷컴은 약 400만 가구가 추가로 새벽배송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번 새벽배송 권역 확대는 지난 6월 신세계그룹과 CJ그룹이 맺은 포괄적 사업제휴 합의(MOU) 이후의 물류 협업이 토대가 됐다. 이를 통해 SSG닷컴이 내년 수익성 개선과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두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기대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은 2022년 말 기준 쿠팡과 네이버가 각각 24.5%, 23.3%를 기록하고 있고 G마켓(G마켓·옥션·SSG닷컴)이 10.1%로 3위에 랭크됐다.
2024-12-10 06:00:00
-
-
호반그룹, 충남 당진 고대지구에 해저케이블 2공장 투자
[이코노믹데일리] 호반그룹이 2027년까지 약 1조원을 투입해 충청남도 당진시에 해저케이블 2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호반그룹은 이날 충남도청에서 충남도, 당진시, 대한전선과 함께 해저케이블 2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태흠 충남지사, 오성환 당진시장, 김선규 호반그룹 회장, 송종민 대한전선 부회장, 정광섭 충남도의회 부의장, 김영명 충남 경제기획관, 김대헌 호반 그룹 기획총괄사장, 김준석 대한전선 경영부문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호반그룹과 대한전선은 충남 당진시 아산국가산업단지 고대지구에 해저케이블 2공장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다. 충남 당진은 대한전선의 케이블공장과 해저케이블 1공장 등 국내 모든 생산시설이 집적돼, 기존 공장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지 선정 초기부터 최우선 후보지로 꼽혀 왔다. 2027년 준공이 목표인 해저케이블 2공장에서는 전세계적인 해저케이블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620㎸급의 초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과 외부망 해저케이블을 생산할 수 있도록 수직연속압출시스템(VCV) 타워 등 최첨단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역의 우수 인력을 우선 채용하고, 지역 생산 농수축산물의 소비를 촉진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함께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지역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가족 친화적 기업 문화 조성에도 앞장설 계획이라고 호반그룹은 밝혔다. 충남도와 당진시는 호반그룹이 계획하는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기로 약속했다. 이에 호반그룹도 대한전선의 해상풍력 사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협약식에서 "호반그룹과 대한전선은 이번 투자를 통해 글로벌 해저케이블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한편, 국가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안보에 기여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라며 "호반그룹의 대한전선이 충남에서 더 성장하고, 더 크게 발전할 수 있도록 충남도와 당진시가 함께 돕겠다"고 밝혔다. 김선규 호반그룹 회장은 "호반그룹과 대한전선이 충청남도 당진시에 해저케이블 공장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호반그룹과 대한전선은 단순한 투자를 넘어 충남도와 당진시와 함께 상생하며 성장할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한편 대한전선은 당진시에 주요 생산시설인 케이블공장, 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솔루션공장, 올해 5월에 1단계 준공을 완료한 해저케이블 1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해저케이블 1공장 2단계는 2025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2024-11-19 09:56:00